구미 버스 72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5년 개편 전 72번에 대한 내용은 구미 버스 883 문서
구미 버스 883번 문단을
구미 버스 883#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노선 정보
2. 개요
2.1. 가지노선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시내버스 72번
기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종점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산촌리(산촌마을입구)
종점행첫차13:30기점행첫차13:55
막차20:20막차20:45
배차간격1일 3회
노선선산터미널 - (→ 선산문화회관삼거리 → 선산읍행정복지센터 → 이문네거리 →) - 죽장리 - 봉곡 - 덕촌 - 선산휴게소밑 - 대원 - 태봉리 - 산촌마을입구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시내버스 72-1번
기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종점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신오리(용포분교)
종점행첫차08:00기점행첫차08:30
막차19:00막차19:30
배차간격1일 2회
노선선산터미널 - (→ 선산문화회관삼거리 → 선산읍행정복지센터 → 이문네거리 →) - 죽장리 - 봉곡 - 덕촌 - 선산휴게소밑 - 대원 - 태봉리 - 산촌마을입구 - 용포분교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시내버스 72-2번
기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종점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낙동정류장)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07:10
막차막차
배차간격일 1회
노선선산터미널 - 교리e편한세상 - 생곡3거리 - 신기리 - 신풍진마을입구 - 구미시공설숭조당 - 초곡리 - 농소리 - 옥성 - 추모공원입구 - 옥관1리 문정자 - 구미원예공사 - 구봉리 - 낙동정류장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시내버스 72-2번(옥관2리)
기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종점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낙동정류장)
종점행첫차13:00기점행첫차13:30
막차막차
배차간격일 1회
노선선산터미널 - 교리e편한세상 - 생곡3거리 - 신기리 - 신풍진마을입구 - 구미시공설숭조당 - 초곡리 - 농소리 - 옥성 - 추모공원입구 - 옥관1리 문정자(→ 옥관1리구평 → 옥관2리) - 구미원예공사 - 구봉리 - 낙동정류장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시내버스 72-3번
기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종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
종점행첫차06:20기점행첫차-
막차07:00막차-
배차간격1일 2회
노선선산터미널 - 선산읍행정복지센터 - 이문네거리 - 죽장리 - 봉곡 - 덕촌 - 선산휴게소밑 - 대원 - 태봉리 - 산촌마을입구 - 신오리석거실 - 산촌리 - 옥관2리 - 구봉리 - 낙동정류장 - 구봉리 - 구미원예공사 - 옥관1리 - 추모공원입구 - 옥성 - 농소리 - 초곡리 - 구미시공설숭조당 - 신풍진마을입구 - 신기리 - 생곡3거리 - 교리e편한세상앞 - 선산읍행정복지센터 - 이문네거리 - 선산터미널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시내버스 72-4번
기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종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
종점행첫차17:50기점행첫차-
막차막차
배차간격1일 1회
노선선산터미널 - 교리e편한세상 - 생곡3거리 - 신기리 - 신풍진마을입구 - 구미시공설숭조당 - 초곡리 - 농소리 - 옥성 - 추모공원입구 - 옥관1리 - 구미원예공사 - 구봉리 - 낙동정류장 - 구봉리 - 옥관2리 - 어구산입구 - 산촌리 - 신오리석거실 - 산촌마을입구 - 태봉리 - 대원 - 선산휴게소밑 - 덕촌 - 봉곡 - 죽장리 - 선산터미널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시내버스 72-5번
기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종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
종점행첫차15:00기점행첫차-
막차막차
배차간격1일 1회
노선선산터미널 - 교리e편한세상 - 생곡3거리 - 신기리 - 신풍진마을입구 - 구미시공설숭조당 - 초곡리 - 농소리 - 옥성 - 추모공원입구 - 옥관1리 - 구미원예공사 - 구봉리 - 옥관2리 - 어구산입구 - 산촌리 - 신오리석거실 - 산촌마을입구 - 태봉리 - 대원 - 선산휴게소밑 - 대원2리 - 덕촌 - 봉곡 - 죽장리 - 선산터미널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시내버스 72-6번
기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종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
종점행첫차09:30기점행첫차-
막차막차
배차간격일 1회
노선선산터미널 - 교리e편한세상 - 생곡3거리 - 신기리 - 신풍진마을입구 - 구미시공설숭조당 - 초곡리 - 농소리 - 옥성 - 추모공원입구 - 옥관1리 - 옥관2리 - 어구산입구 - 산촌리 - 신오리석거실 - 산촌마을입구 - 태봉리 - 대원 - 선산휴게소밑 - 대원2리 - 덕촌 - 봉곡 - 죽장리 - 선산터미널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시내버스 72-7번
기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종점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선산터미널)
종점행첫차11:15기점행첫차-
막차19:25막차-
배차간격1일 2회
노선선산터미널 - 선산읍행정복지센터 - 이문네거리 - 죽장리 - 봉곡 - 덕촌 - 주아가라골 - 옥성 - 농소리 - 초곡리 - 구미시공설숭조당 - 신풍진마을입구 - 신기리 - 생곡3거리 - 교리e편한세상 - 선산문화회관삼거리 - 선산터미널


2. 개요[편집]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선산터미널과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일대를 잇는 구미시 일반(지선)버스.

2.1. 가지노선[편집]


  • 72-1번 : 본선에서 고개를 넘어 상주시 낙동면 용포분교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용포까지는 시계외요금이 발생한다. 용포서 상주시 시내버스로 환승이 가능하나 배차가 매우 드물다. [1]

  • 72-2번 : 선산 - 낙동정류장을 잇는 노선이다. 상주를 가려면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하루 한 번 낙동으로 갈 때 옥관2리를 경유한다.

  • 72-3번 : 72번의 본선대로 산촌마을입구까지 간 후 산촌리, 옥관리, 구봉리를 거쳐 낙동정류장에서 회차하여 72-2번의 경로와 같이 선산으로 돌아오는 노선이다. 다만 돌아올때도 선산읍행정복지센터를 경유한다.

  • 72-4번 : 72-3번의 역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선산에서 낙동정류장까지는 72-2번과 마찬가지로 최단시간으로 끊어주나, 돌아올때는 산촌마을로 돌아오기 때문에 시간이 다소 걸린다.

  • 72-5번 : 72-4번의 단축 노선 격. 72-4번과 경로가 거의 같으나 구봉리에서 낙동정류장까지 가지 않고 회차하며, 선산휴게소를 지나 대원2리를 경유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 72-6번 : 72-5번의 단축 노선 격. 72-5번이 구봉리에서 회차한다면 이 노선은 아예 구봉리까지도 가지 않고 구봉삼거리에서 바로 산촌마을로 들어간다.

  • 72-7번 : 72-6번에서 더 단축하면서 역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 대원2리도 경유하지 않고, 덕촌2리에서 주아고개를 넘어 주아리를 거쳐 옥성에서 바로 선산으로 돌아온다.

3. 역사[편집]


  • 2013년 8월 1일, 39-1 노선이 신설되었다.
  • 2015년 9월 구미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 개편 전 72번, 72-1번은 39-1번, 72-2번은 24번, 72-3번, 72-4번은 37번, 72-5번, 72-6번은 37-1번, 72-7번은 39번이었다.


4. 특징[편집]


  • 선산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지선 격 노선으로 선산에서 옥성면 일대를 잇는 노선이다.

  • 다른 선산발 지선 노선처럼 개편을 통해 노선번호를 바꾸었다. (선산읍일대 순환 - 70번대 / 무을, 안곡방면 71번대 / 옥성, 낙동방면 72번대 / 도개, 소보방면 73번대 / 해평, 경운대방면 74번대 / 장천방면 78번대)

  • 72번, 72-1번, 72-3번, 72-4번, 72-5번, 72-6번이 지나가는 산촌마을입구 정류장에서 상주여객이 운행하는 상주 - 용포 - 산촌마을입구 노선과 연계가 가능하며, 72-1번은 여기서 고개를 넘어 상주시 낙동면 용포까지 운행한다.

  • 72-2번, 72-3번, 72-4번은 상주시 낙동면 낙동정류장을 경유한다. 선산 - 낙동 구간은 시계외요금이 존재하며 낙동정류장에서 상주/안계/다인으로 갈 수 있다.


  • 선산터미널에서 선산경유 동서울 노선을 놓칠경우 72번 지선을 타고 선산휴게소 앞에 내려서 휴게소로 올라가면 버스를 탈 수 있으나, 배차가 매우 나쁜 편이다. 72-5/6은 돌아가기 때문에 휴게소까지 40분이나 걸린다.

  • 옥관2리 경유 72-2의 낙동 회차시각은 시간표상 13:30이나, 이보다 늦는 경우가 허다하다. 정시 도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5분 지연될 수도 있다.


4.1. 시계외요금[편집]


  • 상주시로 넘어가는 노선은 상주시에서 탑승 시 환승할인을 받을 수 없다.

표 이외의 구간요금은 구미시 버스정보시스템 참고.

선산 - 용포 구간 (72-1번)
종류성인청소년어린이
현금1700원1400원900원
카드1600원1300원800원

선산 - 낙동 구간 (72-2번, 72-3번, 72-4번)
종류성인청소년어린이
현금1800원1400원900원
카드1700원1300원800원


4.2. 시간표[편집]


구미 버스 72, 72-1번 운행시간표
횟수선산터미널산촌마을입구[2]
108:0008:30
(용포분교)
72-1번
213:3013:5572번
315:5516:2072번
419:0019:30
(용포분교)
72-1번
520:2020:4572번

구미 버스 72-2, 72-3, 72-4번 운행시간표
횟수선산터미널낙동정류장[3]
106:2006:5072-3번
206:4007:1072-2번
307:0007:3072-3번
413:00
(옥관2리경유)
13:3072-2번
517:5018:1572-4번

구미 버스 72-2, 72-3, 72-4번 운행시간표
횟수선산터미널
106:2006:5072-3번
206:4007:1072-2번
307:0007:3072-3번
413:00
(옥관2리경유)
13:3072-2번
517:5018:1572-4번

구미 버스 72-5/6/7 시간표
횟수선산터미널 출발노선번호
109:3072-6
211:1572-7
315:0072-5
419:2572-7


5. 연계 철도역[편집]


  • 없음.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6:13:41에 나무위키 구미 버스 7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상주에서 용포를 거쳐 선산으로 가는 것은 1일 1회 뿐이다.[2] 회차지로 상황에 따라 시간이 다를 수 있음.[3] 회차지로 상황에 따라 시간이 다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