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댐

덤프버전 : (♥ 0)

||


괴산댐
槐山댐|Goesan Dam
파일:괴산댐.jpg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착공1952년 11월
완공1957년 2월
관리기관한국수력원자력
유형수력 발전
하천남한강
위치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사은리


1. 개요
2. 사건 사고
3. 기타



1. 개요[편집]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에 위치한 발전전용댐. 남한강의 지류인 달천(達川)의 물을 가로막아 건설되었다. 1952년 11월 착공하여 1957년 2월 완공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최초로 순수한 자력 기술로서 설계 및 시공된 댐이다.

중력식 콘크리트 댐으로 댐의 높이 28m, 길이 171m, 부피 4만9555㎥ 이며, 상시 만수위는 135.65m, 계획 홍수위는 136.92m, 월류 수위[A]는 137.65m이다. 댐의 유역 면적은 671㎢, 저수용량은 15,329,000㎥이다. 댐 좌안 직하부에 설비용량 1,300㎾의 카플란 수차발전기 2대가 설치되어 있어서 총 발전용량은 2,600㎾이다.


2. 사건 사고[편집]


괴산댐은 1950년대에 건설된 댐으로, 달천의 유역 면적에 비해 댐의 저수용량이 작아 홍수 피해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있다. 한국 최대의 댐인 소양강댐과 비교하였을 때, 유역 면적은 4분의 1인 반면, 저수용량은 19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 여기에 한국의 하천은 하상계수(유량변동계수)가 매우 크기 때문에 극단적인 수위 변화로 인한 수재가 빈번하며,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사고가 발생했다.






3.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3:19:20에 나무위키 괴산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 월류(越流, overflow)는 물이 둑 위로 넘쳐 흐르는 것을 가리킨다. 월류한다고 당장 댐이 붕괴되는 건 아니나 물이 넘치는 상황 자체가 이미 댐이 버틸 수 있도록 상정하고 설계한 무게를 넘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고 그만큼 물의 무게로 인해 댐에 부담을 주게 되기 때문에 붕괴 위험이 커진다.[1] 한국수력원자력 괴산댐 관리사무소는 월류가 발생해도 8m 높이까지는 댐이 안전하다며 그 이상 수위가 높아지진 않을 것으로 예상하여 붕괴 우려는 없을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