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주대구고속도로/구간

덤프버전 :

||


1. 나들목, 분기점정보



1. 나들목, 분기점정보[편집]


진한 글씨: 고속도로 이정표에 표시된 거리 선정 기준지이다.

광주광역시 - 담양군 - 순창군 - 남원시 - (장수군) - 남원시 - 함양군 - 거창군 - 합천군 - 고령군 - 대구광역시(달성군)이다.[1]

문흥 분기점고서 분기점 에서 호남고속도로와 겹치는 것을 시점으로 하여 담양 분기점에서 고창담양고속도로, 남원 분기점에서 순천완주고속도로, 함양 분기점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 고령 분기점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 옥포 분기점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접속한다. 추가로 3년후에 게통하는 거창 분기점에서 함양울산고속도로와 접속한다.

고서JC에 진입하면 작은 사각형으로 4.6을 볼수 있는데 4.6 이전꺼는 없다. 문흥JC부터 고서JC 진입전까지는 호남선의 이정 숫자가 적혀 있다.

현재 이 고속도로는 176.2km지만 광주대구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된 날 뉴스에서는 기존 182km에서 172km로 10km 단축됐습니다. 라고 말했다. 실제로 호남선 중첩 구간이 4km 이므로 호남선 중첩구간을 뺀것 같다.

소재지번호이름접속
노선
비고이정
광주북구11문흥JC파일:Expressway_kor_25.svg
29


파일:Cityroad_kor_77m.svg
[2]0km
TG
동광주2.3km
전남담양군12고서JC파일:Expressway_kor_25.svg[3]4.8km
13담양JC파일:Expressway_kor_253.svg7.7km
14담양IC
29

11.2km
전북순창군
SA
강천산양방향26.8km
15순창IC
27


730

29.2km
남원시16남원JC파일:Expressway_kor_27.svg46.8km
SA
남원양방향50.4km
17남원IC
19


24

55.8km
18동남원IC
743

65.4km
SA
지리산양방향75km
19지리산IC
37

77km
경남함양군19-1서함양IC
하이패스
1691.6km
20함양IC
1084

94.8km
21함양JC파일:Expressway_kor_35.svg96.6km
SA
함양동서만남의광장양방향100.4km
거창군거창JC파일:Expressway_kor_14.svg 공사중
22거창IC
24


26


37


1084


1089

120.8km
23가조IC
1099

131.4km
SA
거창양방향134km
합천군24해인사IC
1084

146.6km
경북고령군25고령IC
907

152.6km
26동고령IC
26


905

164.8km
27고령JC파일:Expressway_kor_45.svg165.9km
대구달성군
SA
논공양방향169km
28 [4]옥포JC파일:Expressway_kor_451.svg[5]176.2km

당초 2015년 12월 21일까지 고서JC가 기점이었으나, 2015년 12월 22일부로 호남고속도로의 문흥JC-고서JC 구간이 중첩되면서 기점은 광주 문흥분기점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시점 비석은 고서JC에 있고 종점 비석은 말 그대로 옥포JC에 있으나 '88올림픽선 고속국도 12호 종점' 이라고 적혀 있다. 중부내륙지선 금호방향 은 네이버지도에서 잘 보이지 않고 창원방향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가 자세히 볼수 있다.




[1] 문흥 분기점 - 고서 분기점 구간은 호남고속도로 중첩구간 이다.[2] 이 고속도로의 시점이지만 비석은 다음 분기점 대구방향 입구에 세워져있다.[3] 예전에 여기가 시점이었으며 현재는 전 분기점이 시점이다. 하지만 비석은 여기에 세워져 있다. [4] 번호만 28번일뿐 표지판에는 4번이라고 적혀있다. 비슷한 사례로 중부고속도로 38-2번이 7번으로 표기된 사례도 있다.[5] 이 분기점에서 바로 중부내륙지선과 직결되며 종점 비석이 세워져 있다. 하지만 옛 이름인 '88올림픽선 고속국도 제12호'이라고 적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