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푸리

최근 편집일시 : (♥ 0)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파일:945MS.png 945 태깅구르파일:946MS.png 946 그푸리
파일:947MS.png 947 공푸리
파일:948MS.png 948 들눈해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펼치기 · 접기 ]

팔데아도감
파일:876MS.png 241 에써르파일:946MS.png 242 그푸리
파일:947MS.png 243 공푸리
파일:948MS.png 244 들눈해


1. 정보
2. 소개
3. 포획
4. 대전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6. 기타
7. 삽화
8. 국가별 명칭



1. 정보[편집]



파일:946 그푸리.png파일:947 공푸리 dex.png
그푸리공푸리

기본 정보
이름도감 번호타입
파일:946MS.png
그푸리
アノクサ(아노쿠사)
Bramblin
전국: 946
팔데아: 242




파일:947MS.png
공푸리
アノホラグサ(아노호라구사)
Brambleghast
전국: 947
팔데아: 243

특성(숨겨진 특성은 *)
바람타기순풍이 불거나 바람 계열 기술을 받으면 공격을 무효화하고 공격이 1랭크 상승한다.
*틈새포착리플렉터, 빛의장막, 신비의부적, 오로라베일, 대타출동의 효과를 무시한다.

세부 정보
포켓몬분류신장체중포획률
946 그푸리회전초 포켓몬0.6m0.6kg190
947 공푸리1.2m6.0kg45

유전 정보
성비알 그룹부화 걸음수최대 경험치량
수컷: 50%
암컷: 50%
식물5,120걸음1,000,000

진화
진화파일:946.png
946 그푸리
레츠고 모드에서
1,000보 이상 걷고 레벨 업
파일:947.png
947 공푸리


종족치
포켓몬HP공격방어특수공격특수방어스피드합계
파일:946MS.png
그푸리
406530453560275
파일:947MS.png
공푸리
5511570807090480

울음소리
파일:946MS.png
그푸리
파일:947MS.png
공푸리

도감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파일:946MS.png
946 그푸리
스칼렛성불하지 못한 영혼이 바람에 날리다가 마른 풀과 엉키면서 포켓몬이 되었다.
바이올렛바람에 날려 황야를 구르며 어디로 가는지는 자신도 모른다. 몸이 젖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파일:947MS.png
947 공푸리
스칼렛머리의 가지를 열어서 먹이를 삼킨다. 생기를 실컷 흡수한 다음 그대로 뱉어 버린다.
바이올렛건조 지대를 떠돈다. 매우 드물지만 대량발생하여 마을 전체를 뒤덮어 버릴 때도 있다.


2. 소개[편집]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처음 등장한 새로운 포켓몬. 모티브는 회전초이다. 넓은 공터에서 레츠고 모드로 빙글빙글 도는 방법이 추천된다.


3. 포획[편집]


레벨과 상관없이 레츠고 모드로 1000보를 걸은 후 레벨업하면 진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꼼수를 쓰더라도 상당히 귀찮은 작업이기 때문에 야생에서 굴러다니는 공푸리를 잡는 게 편하다. 스토리 후반부 사막쪽을 잘 둘러보면 굴러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누룽지 숲길에서 고스트 조우 샌드위치 먹으면 많이 나온다.

4. 대전[편집]


타입은 풀/고스트. 타타륜, 원종 모크나이퍼 등과 같다. 생긴 것도 타타륜과 비슷하며, 같은 물리 어태커라는 점도 같다. 다만 타타륜과는 종족값 차이가 37이나 나서 이쪽은 타타륜에 비해 좀 빈약한 편. 또 공격은 115로 준수한 편이지만, 특공에 80이나 낭비되는 바람에 55-70-70이라는 저속한 내구에다 스피드도 90으로 격전지에 위치해 있다.

기술폭도 다른 풀/고스트에 비해 상당히 좁다. 풀 자속기는 파워휩을 쓰면 되지만 고스트 자속기로는 섀도클로를 배우지 못해 고스트다이브를 써야 하며, 견제기는 위력이 낮은 구르기달려들기뿐이다. 그나마 나이트헤드, 힘흡수, 야습, 씨뿌리기를 배울 수 있어 남는 기술칸을 채울 수 있다.

신 특성 바람타기를 지녔는데, 효과는 순풍이 불 때 공격을 올리거나, 바람 기술을 맞았을 때 공격을 무효로 하고 공격을 올린다. 바람 기술은 다음의 16개이다.

찌리비크의 풍력발전과 비슷한 효과를 지녔지만, 찌리비크와는 달리 이쪽은 특성의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다. 가장 큰 장점은 바람 기술, 즉 폭풍 데미지를 입지 않고 역으로 공격이 올라간다는 점. 바람 기술을 무효화해 공격이 올라가는 효과가 순풍일 때 공격이 올라가는 효과와 중복 적용되는지는 나와봐야 알 듯 하다. 또한 찌리비크는 전기/비행타입이라 주요기술 중 눈보라 정도만 약점을 무효화하는 반면 풀의 약점인 폭풍/열풍/눈보라를 무효화할 수 있으므로 특성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편집]




6. 기타[편집]


  • 생명체를 모티브로 했지만 같은 타입의 타타륜처럼 무생물적인 모습을 가졌다. 다만 타타륜과는 달리 이쪽은 성비가 존재한다.

  • 베라카스랑 더불어 주인 포켓몬도 아니고 그렇다고 네임드 트레이너가 사용하지도 않는 포켓몬이다.

  • 진화체 공통적으로 가지가 얼굴로 묘사되었다. 그푸리는 씨앗으로 눈만 표현한 데 반해, 공푸리는 떠다니는 가시덤불로 눈꺼풀 모양도 만들었으며 앞모습으로 코와 입까지 모두 구현되었다. 또한 입 부분의 가시덤불은 공격 모션을 취할 때 찡그리기도 한다.

  • 레츠고 모드로 걸음 수를 쌓아야 진화하는데, 스스로 바람을 타고 굴러다니는 회전초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그푸리의 울음소리는 모티브답게 서부극의 대표격 영화인 석양의 무법자의 메인 테마 인트로를 패러디한 것이다.

  • 공푸리는 네크로즈마와 더불어 오드아이 속성의 포켓몬이다. 또 눈을 감거나 깜빡이는 대신 눈을 180도 뒤집는다.

7. 삽화[편집]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파일:946 그푸리 dex.png파일:947 공푸리 dex.png
그푸리공푸리

8. 국가별 명칭[편집]


언어이름유래
한국어그푸리그 + 풀
일본어アノクサあの(그) + 草(くさ, 풀)
영어BramblinBramble(가시나무) + Rambling(떠돌아다니는)

언어이름유래
한국어공푸리공포 + 풀
일본어アノホラクサあの(그) + ホラー(호러) + 草(くさ, 풀)
영어BrambleghastBramble(가시나무) + Ghastly(무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