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빈 이씨

덤프버전 : (♥ 0)

조선의 후궁
중종 ~ 고종
[ 펼치기 · 접기 ]
역대 국왕 · 역대 왕비 · 환조 ~ 연산군 후궁
※ 정식 후궁 첩지가 있는 사람만 기재
※ 고종의 후궁 보현당 귀인 정씨, 광화당 귀인 이씨, 복녕당 귀인 양씨, 삼축당 김씨, 정화당 김씨는 대한제국 멸망 이후에 후궁이 되었으므로 조선의 후궁이었던 적이 없다.




조선 명종의 후궁
경빈 이씨 | 慶嬪 李氏
파일:서삼릉후궁묘역.jpg
서삼릉 빈·귀인 묘역 전경
출생1541년[출처]
사망1595년 음력 6월 (향년 55세)
조선 황해도 연안부 우사
(現 황해남도 연안군)
능묘경빈이씨묘(慶嬪李氏墓)
재위기간조선 숙원
미상 ~ 미상
조선 숙의
미상 ~ 1595년 음력 6월
[ 펼치기 · 접기 ]

본관전의 이씨
부모부친 - 이첨정(李添貞)
모친 - 전주 이씨 이효성(李孝性)의 딸[1]
배우자명종
자녀없음
봉작숙원(淑媛) → 숙의(淑儀) → 경빈(慶嬪)

[1] 효령대군의 5대손.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조선 명종의 후궁. 그녀의 이종사촌이 인빈 김씨이다.


2. 생애[편집]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조모 나씨(羅氏)가 데려다가 키웠다. 나이 16세에 문정왕후의 시녀로 있다가 1558년(명종 13년) 18세의 나이로 명종의 후궁이 되었다. 명종 말년에 종4품 숙원에 책봉되었으나 슬하에 자식은 없었다.

이씨는 인순왕후보다 오래 살아서 임진왜란의 발발까지 보았다. 강화도황해도 연안으로 피란 생활을 하면서 많은 고초를 겪은 듯 하다. 결국 한창 전쟁 중인 1595년 황해도 연안(延安)의 우사(寓舍)에서 사망하여 열악한 상황에서 장례를 치렀다.[1] 전쟁이 모두 끝난 1602년(선조 36) 10월 24일에 묘소를 경기도 양주군 풍양으로 이장한다.

시간이 흘러 1755년(영조 31년) 6월 14일, 당시 영조는 왕실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추숭 작업에 열중이었다. 인빈 김씨를 높이는데, 이씨도 마땅히 추증해야 한다는 뜻에 따라 '경빈(慶嬪)'으로 추증하였다.

3. 여담[편집]


  • 연려실기술》에 따르면, 문정왕후명종에게 아들이 없어 근심하던 중에 꿈을 꾸게 되었다. 꿈에서 어떤 사람이 "상주(尙州)의 이 아무개가 딸이 있는데 궁중에 들여오면 좋을 것이다." 하였다. 이에 사람을 시켜 백방으로 찾았지만 찾을 수 없었다. 한 승려가 그 사람이 누군지 알려주어 궁중에 들였으니 그 사람이 바로 경빈 이씨라고 한다. 하지만 이씨는 아들이 없었고, 대신 외종사촌인 인빈 김씨선조의 후궁이 되어 4남 5녀를 낳는다. 어찌보면 문정왕후의 꿈이 이뤄진 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20:57:02에 나무위키 경빈 이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출처] 《상촌선생집》 제24권 숙의 이씨 묘지명(淑儀李氏墓誌銘) [1] 이때 이씨는 명종의 다른 후궁 숙의 신씨와 같이 지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