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영(군인)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width=50%><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width=20%> 초대
김판규 ||<width=20%> 2대
김희중 ||<width=20%> 3대
오현구 ||<width=20%> 4대
||<bgcolor=#FFFACD,#003318><width=20%> 5대
최해필 ||
|| 6대
||<bgcolor=#FFFACD,#003318> 7대
곽상하 ||<bgcolor=#FFFACD,#003318> 8대
김호중 || 9대
이희원 ||<bgcolor=#FFFACD,#003318> 10대
최해필 ||
||<bgcolor=#FFFACD,#003318> 11대
백병기 || 12대
최용주 ||<bgcolor=#FFFACD,#003318> 13대
이태만 ||<bgcolor=#FFFACD,#003318> 14대
배명헌 ||<bgcolor=#FFFACD,#003318> 15대
이덕춘 ||
|| 16대
김학주 || 17대
이순진 || 18대
김영식 ||<bgcolor=#FFFACD,#003318> 19대
장광현 || 20대
장경석 ||
||<bgcolor=#FFFACD,#003318> 21대
허건영 || 22대
이정기 ||<bgcolor=#FFFACD,#003318> 23대
강선영 ||<bgcolor=#FFFACD,#003318> 24대
이보형 ||<bgcolor=#FFFACD,#003318> 직무대리
조재식
||
||<-10><bgcolor=#e3bf44> ※ 초대~23대: 육군항공작전사령관, 소장(항공병과)~중장(보병병과) ▸ 24대: 육군항공사령관, 소장 ||
||<-10><bgcolor=#e3bf4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제23대 육군항공작전사령관
강선영
Kang Sunyoung
파일:강선영소장.png
복무대한민국 육군
1990년 ~ 2021년
학력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 / 학사)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국방전략 /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책학 / 석사수료)
임관여군사관 (35기)
최종 계급소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육군항공작전사령관
주요 보직육군항공학교
육군항공작전사령부 참모장
제11항공단
합동참모본부 방위기획과장
한미연합군사령부 연합연습기획장교
제1항공여단 제502항공대대장
육군항공작전사령부 제301대대 5중대장
제707특수임무대대 여군특전중대장

1. 개요
2. 생애
3. 학력
4. 주요 경력
5. 일화들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직 여군 장성으로 병과는 항공이며, 최종 계급은 소장으로 2021년 11월 전역하였다. 최종 보직은 육군항공작전사령관이다.

대한민국 국군 창군 이래 첫 여성 전투부대 사령관이자, 여군 최초의 전투병과 소장 진급자[1]이다. 또한 준장 진급 당시에는 전투병과에서 여군 최초로 임기제가 아니라 정상 진급한 장성급 장교이다.


2. 생애[편집]


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과를 1989년에 졸업하였다. 여군사관 35기로 1990년에 임관 후 1993년 육군항공학교에 입교해, 회전익 조종사 95기를 1등으로 졸업하였다.

항공 병과 출신 여군 최초의 정조종사, 최초 항공대대장, 최초항공단장 등 여러 가지 '최초'의 이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전사 제707특수임무대대 역사상 최초의 여성 팀장을 역임하였으며, 여군특전중대장, 그리고 특전사 최초의 여군 장교 강하조장(168차)이기도 하다. 실제로 여군 장교 중에서 특전사 출신은 매우 희귀하다.

항공사에서도 최초로 여군 대형수송헬기인 시누크 헬기 (CH-47) 조종사, 최초 헬기부대 중대장 등을 역임했다. 그랬기에 자신의 군 생활 동안에 거둔 성취에 자부심이 남달랐다는 후문이다.

2017년 12월 인사에서 여군 전투병과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임기제 진급이 아닌 정상으로 준장 진급[2]하여 육군항공작전사령부 참모장으로 취임하였다. 항공작전사령부 역사상 최초의 첫 여성 참모장이기도 하다.

2019년 11월 인사에서 여군 전투병과 출신으로는 최초로 소장으로 진급하여 육군항공작전사령관으로 취임하였다. 항공 병과이기 때문에 항공병과장 직도 겸했다.

2021년 11월 17일 육군항공작전사령부 사령관 및 항공병과장 직을 이임하고 전역식을 가졌다.




퇴역 후에는 모교 숙명여대에서 안보학 석좌교수로 부임하였다. 강 장군은 숙대가 여대로는 처음 ROTC 설치를 인가받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3]

3. 학력[편집]




4. 주요 경력[편집]




5. 일화들[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7:14:44에 나무위키 강선영(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보병이 아닌 항공 병과이다.[2] 허수연(여군 33기), 권명옥(국간사 27기) 장군과 같이 진급했다.[3] 숙명여대 ROTC는 우리나라 최초의 여군 ROTC일 뿐 아니라 경쟁률도 꽤 높다. 숙명여대는 대구 소재 영남대와 함께 보수 성향의 대학이고, 구성원들도 보수적인 경향이 많아서 전통적으로 군인이 많이 나왔다.[4] 여군, 특히 여군 장교들 중 미혼이 많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겠지만 과거에는 출산 및 휴직 등으로 경력 관리가 쉽지 않았기에, 결혼을 포기하거나 결혼해도 아이없이 지내는 경우가 많다.[5] 송명순 준장이 이전에 합참 민군작전과장 직을 맡은 바 있는 정도이며 송 장군과 강 장군 외에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합참의 허리인 과장은 각군에서도 엘리트급 대령들이 모이는 자리로 장군 진급자도 많이 나오는 요직이다. 그만큼 업무 강도가 높고, 이를 소화할 역량도 많이 필요하다.[6] 특히 그해 8월에는 서부전선 포격 사건으로 북한과의 무력 충돌 위험이 고조되기도 했다.[7] 여군 장교임에도 특전사 복무 경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