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역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세길동산업동샘물동기양동문화동
락원동봉상동기산동서학동탄포동
남산동전진동서기동
청산리태성리
구역당

덕흥리
약수리삼묘리
수산리잠진리




남포시구역
강서구역
江西區域
Kangsŏ District
||

구역 소재지덕흥동
광역행정구역남포시
하위 행정구역14 6
면적736km²
인구191,356명[1]
인구 밀도259.99명/km²
최고인민회의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김평해
(강서선거구 / 초선)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정철준
(서학선거구 / 초선)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윤춘화
(청산선거구 / 2선)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리광철
(서기선거구 / 2선)


김영재
(덕흥선거구 / 초선)
지역번호039

1. 개요
2. 시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3.1. 구 강서군 지역
3.2. 구 증산군 지역
3.3. 구 함종도호부 지역
4.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평안남도 서쪽에 위치했던 강서군에서 유래한 행정구역. 남한에서도 같은 이름가진곳이 있다. 면적 736㎢로, 광복 당시 14개 면이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남포시에 속한다. 구청[2] 소재지는 강서면 덕흥리이다. 2010년 남포시로 편입되면서 평안남도가 관할하지 못하고 남포시가 관할하는 구역으로 조정되었다.


▲ 북한에서 관광지로 공개하는 강서약수 공장


2. 시설[편집]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파일:평안남도 휘장(이북5도위원회)_wihte.svg
||


파일:강서군기.png

파일:강서군.jpg


3.1. 구 강서군 지역[편집]










3.2. 구 증산군 지역[편집]


아래 지역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편입된 구 증산군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같은날 신설된 평원군에 편입된 한천면도 구 증산군의 영역이었다.







3.3. 구 함종도호부 지역[편집]


아래 지역은 1906년에 편입된 구 함종도호부에 해당한다.




4. 출신 인물[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3:56:03에 나무위키 강서구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8년[2] 참고로 인민위원회는 구청이 아니다. 북한/행정구역 문서 참조.[3] 위 지도에는 ‘감전리’로 되어 있다. ‘감’ 음의 한자 중 鹽(염)과 자형이 비슷한 監이 있으므로 둘 중 하나는 잘못일 것이다.[4] 일명 台星湖, 大成湖[5] 원적지(할아버지의 고향). 본인은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출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