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상세포

덤프버전 : (♥ 0)


Rod Cell
파일:Rod_cell.png
단일 간상세포(杆狀細胞) 개체. 원래는 간상세포 두 개, 원추세포 한 개 식으로 망막에 나열되어 있다.
1. 개요
2. 구조
3. 역할
4. 원추세포와의 비교


1. 개요[편집]


안구 내 망막에 내장되어 있는 시세포로 막대 세포라고도 불린다. 밝기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색상을 감지하는 원추세포와 함께 활동한다.

2. 구조[편집]


약 9000만개 이상[1]이 분포해 있는 간상세포의 끝부분엔 많은 디스크들이 겹겹이 쌓여 있으며, 이 구조는 이 부분의 세포막이 안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광수용 색소를 3개 가진 원추세포와는 다르게 광수용 색소가 1개뿐이라 색은 거의 감지하지 못한다. Inter segment에는 미토콘드리아와 그 밑에 세포핵이 있다. 또한 밑둥에는 뉴런과 이어지기 위해 시냅스가 형성되어 있다.

3. 역할[편집]


과분극을 통해 간상세포가 활성화되면서 신경전달물질 공급을 멈춰 시냅스를 활성화시키고 로돕신이 활성화되며 이로 인해 수많은 PDE 분자도 활성화시켜 간상세포가 적은 빛에 반응하는 것이다.[2]

황반에 존재하지 않고, 암순응과 명순응[3]을 일으키며 원추세포와 다르게
검정색

, 회색,
하얀색

같은 무채색을 감지하지만 유채색은 감지할 수 없다.

원추세포와 반대로 밤에 활동한다.

4. 원추세포와의 비교[편집]


간상세포원추세포
주로 야간 시각에 동작주로 주간 시각에 동작
명암을 구분, 차이에 민감색상을 구분, 차이에 덜 민감
손상시 야맹증[4]손상시 색맹
세부적인 것을 보는 능력이 떨어짐세부적인 것을 보는 능력이 높음, 공간을 지각할 수 있음
황반에 존재 X황반에 존재
빛에 대한 적응이 느림빛에 대한 적응이 빠름
약한 빛도 감지해 반응일정한 세기 이상의 빛에만 반응
하나의 종류만 있음평범한 인간의 경우 세종류의 원추세포가 있음
무채색을 감지유채색을 감지
약 9000만 개약 600만 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20:11:53에 나무위키 간상세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추세포의 15배[2] 로돕신 내에 있는 생체 분자인 레티날은 비타민 A의 한 형태로, 레티날이 부족할 경우 간상세포에 비타민 A가 공급되지 못해 간상세포의 색소가 결핍, 간상세포가 잘 활동하지 못해 원추세포만 활동하게 되는데, 원추세포는 색을 구별하는 세포지 밝기를 감지하진 않기 때문에 밤에 잘 보지 못하는 야맹증에 걸린다.[3] 암순응의 반댓말로, 어두운 곳에 있다가 밝은 곳에 가면 갑자기 눈뽕(?) 당하는 현상을 의미한다.[4] 비타민 A가 잘 공급되지 못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