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가슴칠 벽
부수
나머지 획수
, 13획
총 획수
16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여담



1. 개요[편집]


擗은 '가슴칠 벽'이라는 한자로, '가슴 치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64D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SRJ(手尸口十)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손 수)와 음을 나타내는 (물리칠 벽)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일본어[편집]



3.6.1. 훈독[편집]



3.6.2. 음독[편집]



3.7. 중국어[편집]



3.8.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궁벽할 벽)
  • 𪇊(논병아리 벽)[1]
  • (띠 벽)
  • (배꼽/버릇 벽)
  • (벼락 벽)[2]
  • (보습의귀 벽, 칼갈 폐)
  • (빨 벽)
  • (앉은뱅이 벽)[3]
  • 𧞃(주름 벽)[4]
  • (죽어가는모양 벽)
  • 𤢣(짐승이름 벽)
  • (터지는소리 벽)
  • (황벽나무 벽)[5]
  • (붙좇을 비)
  • (수레뚜껑 비)
  • (흘겨볼 비)[6]
  • 𩼎(물고기이름 피)
  • (성가퀴 피)
  • 𢕾(피할 피)[7]
  • 𩪧(활고자 피)
  • 𤖟
  • 𤐙
  • 𤗺
  • 𧓄
  • 𧲉

6.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9:59:40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鷿(논병아리 벽)의 동자[2] (벼락 벽)의 동자[3] (앉은뱅이 벽)의 동자[4] (주름 벽)의 동자[5] (황벽나무 벽)의 동자[6] (흘겨볼 비)의 동자[7] (피할 피)의 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