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 0)

현대 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현대 한글 겹자모
자음쌍자음 · · · ·
겹받침 · · · · · · · · · ·
모음 · · · · · · · · · ·
옛한글 자모


1. 한글 자모의 여섯 번째
2. 제자 원리
3. 과거 어휘
4. 인터넷 축약어



1. 한글 자모의 여섯 번째[편집]


이름비읍
분류자음(예사소리)
음성어두p (b̥)
어중b
종성
종성+모음앞b
자음동화m
경음화
(된소리되기)
격음화
(거센소리되기)

한글 자모의 여섯 번째 글자. 비읍이라고 읽는다. 두 입술을 다물었다가 벌려 입 안의 공기를 밖으로 터트려 내는 양순 파열음. 종성일 때는 입 안의 공기를 밖으로 터트리지 않고 발음한다. 된소리로는 이 있으며 쌍비읍이라고 부른다. 북한에서는 된비읍이라고 부르는데, 조선어 신철자법 제정 당시에는 삐으ퟦ[1]으로 불렀다.

번호판에 가장 많이 쓰이는 자음이다. 바, 배는 영업용, 버, 보, 부는 자가용 차량에 쓰인다.


2. 제자 원리[편집]


ㅁ에 획을 가한 형태다.


3. 과거 어휘[편집]


용비어천가 등의 문헌에서는 속격으로 ㅅ 대신 여러 다른 자음들이 쓰이기도 했다. ㅁ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류에 붙어 ㄷ, ㅂ, ㅅ, ㅈ, ㅊ, ㅎ으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 쓰였다.


4. 인터넷 축약어[편집]


영단어 bye bye의 축약어로 쓰인다. 대개 ㅂㅂ 또는 ㅂㅇ 또는 ㅂ2, ㅃㅇ 등으로 쓰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13:31:4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으+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