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はなむけ

덤프버전 :

전별[1]




1. 개요[편집]


사운드 볼텍스의 수록곡. 작곡가는 ふる.


2. 사운드 볼텍스[편집]


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
타로 카드 대응곡
[ 펼치기 / 접기 ]
0The FoolErlung
IThe MagicianVerse IV
IIThe High Priestess-
IIIThe EmpressFor UltraPlayers
IVThe EmperorBangin' Burst
VThe Hierophant-
VIThe LoversLittleGameStar
VIIThe Chariotchoux à la crème
VIIIStrengthtake a step forward
IXThe Hermit-
XWheel of FortuneLast Concerto
XIJusticeはなむけ
XIIThe Hanged Manodds and ends
XIIIDeath超越してしまった彼女と其を生み落した理由
XIVTemperanceTrailBlazer
XVThe DevilBLACK or WHITE?
XVIThe TowerHellfire
XVIIThe StarEOS -INFINITE EDIT-
XVIIIThe Moonウバワレ
XIXThe SunHoshizora Illumination
XXJudgementLast Battalion
XXIThe WorldHarpuia
Black Emperor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KAC 2013 오리지널 곡 컨테스트'의 당선곡이다.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난이도NOVICEADVANCEDEXHAUSTHEAVENLY
자켓파일:hanamuke_NOV.jpg파일:hanamuke_ADV.jpg파일:hanamuke_EXH.jpg파일:hanamuke_Heaven.jpg
레벨04091316
체인 수803121416842801[2]
일러스트 담당タカトウ † ナユタタカトウ † ナユタ remixed スティンガー
이펙터MegacycleSCイノセンス
수록 시기II 29(2014.3.20)IV 27(2017.10.12)
BPM224


BLASTER GATE IV 27 해금 순서
[ 펼치기 / 접기 ]
자켓을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해금 조건은 BLASTER GATE 문서 참조




처음 뵙겠습니다, 후루라고 합니다.
SOUND VOLTEX에는 별로 없는 타입의 곡으로 쓰려고 하니 이런 일이 되었습니다.
음악 게임에, 그리고 KAC에 열정을 쏟는 분들에게 전별이 될 수 있도록 만든 웅장한 3박자 주체의 소편성 오케스트라입니다. 코러스는 6명 정도의 나입니다.
깨달으면 자신도 10년 이상의 음악 게임플레이어가 되어 있었습니다만, 이렇게 악곡이 수록되어 놀 수 있는 날이 오니 뭐라고 감개 깊은 것이 있습니다.
음악 게임이 준 수많은 곡과의 만남, 사람과의 만남을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당선자 코멘트 -

자켓의 인물은 아우구스트 베르텍스. 대응하는 타로 카드는 11번, 정의(JUSTICE).


EXH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13레벨에선 중~중상 정도의 채보. 박자가 상당히 난해하고 노브박자랑 노트박자가 따로노는 경우가 많으니 최대한 집중하자.


HVN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최초의 HVN 16레벨 패턴. 16레벨이라 그냥 해금만 하고 거쳐가는 사람들이 많긴 하나 그놈의 고렙병 플레이를 해본 유저들의 패턴에 대한 평은 좋은 편이다. 16레벨 치고 매우 많은 체인수도 특징으로, 지속노브와 롱노트가 매우 많은데다 BPM이 224로 꽤 빠르면서도 틱 보정을 받지 않는 덕분에 2800이 넘어간다(!!!!). 나름 까다로운 패턴으로 클리어는 상급에 속한다. 다만 스코어링은 많은 체인수와 롱노브 노브 떡칠로 인해 쉬운 편. PUC의 경우는 일부 구간과 박자의 영향으로 인해 그리 쉽지는 않다. 특히 마지막은 노트가 노브에 가려져서 가독성이 좋지 못하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00:19:03에 나무위키 はなむ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길 떠나는 사람에게 불러주는 시가(詩歌). 이별선물이라고 볼 수 있다.[2] IV 당시 256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