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

덤프버전 :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현황
,
,
,
,
,
,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표제어를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로 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표제어를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로 하기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파일:에스지레일_Logo.png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
SG Rail class A000 EMU
파일:GTX-A_Mancheon.jpg
차량 정보
열차 형식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1]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8량 1편성 (TC1-M1-T'-M2-M2-T'-M1-TC2)
생산량160량 (20편성)[2]
운행 노선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A
도입시기2023년 ~ 2024년(예정)
제작사파일:현대로템 CI.svg
소유기관파일:에스지레일_Logo.png
운영기관
편성번호 체계A01~A20
차량기지운정차량사업소
동탄역 임시 경정비시설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TC20,670 ㎜
M, T19,500 ㎜
전폭3,050 ㎜(최대 3,150 ㎜)
전고3,750 ㎜
궤간1,435 ㎜
대차공기스프링식 볼스터리스 대차[1]
재질알루미늄
급전방식교류 25,000 V 60Hz
운전보안장치ATC(TVM430), ATP(ETCS/ERTMS lv.2)
제어방식도시바 VVVF-IGBT[2]
동력장치3상 교류 유도전동기
제동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3]
MT비4M 4T
최고속도영업180 ㎞/h
설계198 ㎞/h
가속도2.5 ㎞/h·s
감속도상용3.0 ㎞/h·s
비상4.0 ㎞/h·s

[1] 간선형이나 고속차량에 적용되는 링크암 대차 방식이다.[2]SiC-VVVF도 검토 중이다.[3] 영속도 회생제동 포함.

1. 개요
2. 편성
3. 특징
4. 공개 전 정보
5. 분류
5.1. 1차분 (2023 예정)
5.2. 2차분 (2023 예정)



1. 개요[편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에서 운행될 예정인 전동차. 총 20개 편성이 들어올 예정이다.


2. 편성[편집]


조성 내역은 다음과 같다.[3]
↑ 상행 (수서[2025]·운정 방면)
차량번호차종호차
A0##GTX-A TC11
A1##GTX-A M12
A2##GTX-A M'13
A3##GTX-A T14
A4##GTX-A T25
A5##GTX-A M'26
A6##GTX-A M27
A7##GTX-A TC28
↓ 하행 (동탄·서울[2025] 방면)
  • 경전철을 제외하면, 수도권 최초의 3도어 방식이 채택된 전동차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다.
  • 팬터그래프가 3호차와 6호차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교류 25,000V 전용 8량 전동차 MT 배치
    KTX-이음(320)TC M' M M M M M' TC6M 2T
    GTX-ATC M M' T T M' M TC4M 4T
    ITX-청춘TC M' M T T M M' TC
    경춘선 & 경의중앙선TC M M' T T M M' TC


3. 특징[편집]


  • GTX-A 노선에서의 운행을 위해 도입된 통근형 전동차이다. 롱시트를 탑재한 통근형 전동차 형태로 발주, 제작됨으로써 한국에서 가장 빠른 통근형 전동차 타이들을 얻게 될 예정이다.

  • 통근형 전동차임에도 불구하고, 180km/h급 고속 주행을 위해 대차 등 전반적인 사양이 KTX-이음#차량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


  • 출입문은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와 같이 측면 3개의 출입문으로 구성되어 있다.[4] 열차 기밀환경을 유지하면서 승하차 시간도 줄이기 위해 1,300 ㎜ 폭의 단문형 출입문이 채택되었다. ##

  • 고무 바닥재 대신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친환경 항균 카펫이 채택되었다. #

  • 한국 철도차량 최초로 그라데이션 도장이 적용되었다.

4. 공개 전 정보[편집]


파일: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전동차 목업.jpg
파일: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전동차 목업 내부.jpg
목업 외부목업 내부
2021년 4월 11일, 목업이 공개되었다.

4월 20일부터 5월 6일까지 GTX A노선이 정차할 예정인 교통 거점 지역에서 열차 목업 품평회를 개최하였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파일:GTX_A_mock-up_show.png

4월 20일~22일까지는 동탄신도시 동탄여울공원에서, 4월 27일~29일까지는 수서역에서, 5월 4일~6일까지는 정발산역 인근 일산문화공원에서 전시를 했다.[5]

파일:GTX_A_차량_동탄.jpg
파일:GTX_A_차량_일산.jpg
동탄신도시 동탄여울공원과 일산동구 일산문화공원에서 전시된 모습

차량은 전두부 1량이 전시되었고, 차내의 의자 색상, 천장 손잡이 모양, 기둥식 손잡이 모양은 A, B, C 형으로 나누어 전시되었다. 전시기간 중에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A, B, C 형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6]

계획상 2022년 9월에 초도편성이 반입될 예정이었으나 국토교통부 발표자료를 통해 2023년 1월로 연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2022년 11월 8일, 실차 모습이 유출되었다. #


5. 분류[편집]



5.1. 1차분 (2023 예정)[편집]


  • 01~15편성 (Ax01 ~ Ax15) (총 15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운정 ~ 삼성 구간 개통을 위해 SG레일이 발주하여 도입되고 있는 차량이다.

파일:GTX-A 출고식.jpg
12월 19일,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 박완수 경상남도지사, 홍남표 창원시장, 이동환 고양시장, 윤후덕 파주시 갑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홍정민 고양시 병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이용우 고양시 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첫 차량의 출고식이 진행되었다. #1#2#3

파일:GTXA 시운전.jpg
오송역으로 반입된 차량은 인근의 오송차량기지와 연결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시험선로에서 시운전을 진행했고, 2023년 4월부터는 중부내륙선에서 시운전을 개시했다.



시운전 영상.

편성갑종회송일자운행개시일출발지경유지도착지
012023년 8월 21일시운전 중진해선 신창원역충북선 오송역수서평택고속선 수서역
022023년 11월~12월 예정도입 예정미정미정
032023년 7월 13일시운전 예정경부선 의왕역경의선 문산차량사업소
042023년 6월 8일
052023년 6월 1일
062023년 6월 15일
072023년 6월 22일
082023년 7월 6일
092023년 10월 17일
102023년 11월~12월 예정도입 예정미정미정
11
12
13
14
15

5.2. 2차분 (2023 예정)[편집]


  • 16~20편성 (Ax16 ~ Ax20) (총 5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삼성 ~ 동탄 구간 개통을 위해 국가철도공단이 발주하여 도입될 예정인 차량.

세부적인 사항은 1차분과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편성갑종회송일자운행개시일출발지경유지도착지
162023년 9월 26일시운전 중진해선 신창원역경전선 진례역중부내륙선 충주역
172023년 10월 25일
182023년 11월~12월 예정도입 예정미정미정
19
2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05:25:52에 나무위키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 계획 당시에는 지정좌석제를 실시하는 크로스시트 근교형 전동차를 투입하는 것으로 홍보가 이루어졌으나, 실제로는 롱시트의 통근형으로 발주되었다.[2] 120량 및 추가발주분 40량 출처[3] 2023년 가을 현재 시운전 중인 전동차들 기준으로 작성한 표.[2025] A B 서울역~수서 구간은 2025년에 개통할 예정이다.[4]GTX도시철도 노선들과 선로 및 승강장 공유를 하지 않을 예정이고 (수서-동탄 구간은 수서고속선의 선로를 같이 사용할 예정이긴 하나, 승강장을 따로 사용할 예정이다.) 승객을 더 많이 태우기 위해 3도어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추후에 GTX B노선C노선에 투입될 전동차는 광역철도와 선로 및 승강장을 공유할 예정이기에 디자인이 4도어로 바뀔 가능성도 있지만 GTX는 수도권 전철과 운임구역이 분리될 예정이라 아닐 수도 있다.[5]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상으로는 '킨텍스 문화공원'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오기이다. 킨텍스 인근에는 문화공원이 없다. 지도와 주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곳은 일산문화공원으로 과거 '미관광장'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공원 또는 광장이다.[6] 이보다 이전인 2020년에는 대화역 지하 맞이방 등에 패널을 걸어놓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선호도 조사를 미리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