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L 드래프트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내셔널 하키 리그


1. 개요
2. 지명 순서
3. 역대 개최지
4. 역대 전체 1번 지명 선수



1. 개요[편집]


NHL 신인 드래프트(The NHL Entry Draft)는 내셔널 하키 리그에서 선수 활동을 희망하는 북미 만 18~20세, 유럽 및 기타 대륙 만 18~21세 아이스하키 선수들을 선발하는 행사이다. 첫 드래프트는 1963년에 이루어졌고, 초창기에는 몬트리올에서 개최되었지만, 현재는 NHL 팀들의 홈구장에서 개최한다. 1994년까지는 지명 순서는 현 MLB 드래프트NFL 드래프트와 마찬가지로 지난 시즌 순위의 역순으로 지명하는 방식이었지만, 지나친 탱킹 경쟁과 흥행 문제로 현 NBA 드래프트와 같은 추첨 방식으로 바뀌었다. 개최 시기는 정규 리그가 종료되고 2~3개월 이내 이루어지는데, 주로 7월에 열리고 있다.


2. 지명 순서[편집]


지명 순서는 지난 시즌의 정규시즌 순위 및 플레이오프 결과에 따라 확률(odds)가 할당된다. NFL 드래프트NBA 드래프트와 마찬가지로 드래프트 진행 중에 픽 트레이드가 가능한데, 이 때 순서는 픽을 받게 된 팀의 성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닌 원래 픽을 보유하고 있던 팀의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현재 지명 순서 그룹은 다음과 같다.

  • 1. 1라운드 전체 1~16위 : 지난 시즌 플레이오프 탈락팀
  • 2. 1라운드 전체 17위부터 24위(경우에 따라서 최대 28위까지) : 지난 시즌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졍규 시즌 지구 우승 팀이 아니거나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하지 못한 팀
  • 3. 1라운드 전체 25~28위(잠재적) : 지난 시즌 정규 시즌 지구 우승을 이루었지만,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하지 못한 팀
  • 4. 1라운드 전체 29~30위 : 지난 시즌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패배한 팀
  • 5. 1라운드 전체 31위 : 지난 시즌 스탠리 컵 파이널에서 준우승한 팀
  • 6. 1라운드 전체 32위 : 지난 시즌 스탠리 컵 파이널에서 우승한 팀

2번과 3번은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한 팀이 정규 시즌 지구 우승을 했는 지 여부에 따라 수의 변동이 이루어지고, 각 그룹 내에서는 정규 시즌 승점에 따라 결정된다. 승점이 동일한 경우에는 정규 시즌 순위 결정 방식과 마찬가지로 승점→승률→마진 순으로 이루어진다.

지명 선수가 입단을 거부하여 드래프트에 재참가하거나 UFA(Unrestricted Free Agent) 상태가 되어 1라운드 지명권을 상실하는 경우에는 보상 픽을 부여받는다. 보상 픽의 순서는 행사하지 못한 1라운드의 지명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2라운드 지명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1]

1번 그룹의 플레이오프 탈락 팀은 무한 탱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 확률로 추첨제로 이루어진다. 2021년 NHL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16번 지명 결과를 예를 들어 보자.

2021년 NHL Draft Odds(전체 1번 ~ 16번)
Team1번2번3번4번5번6번7번8번9번10번11번12번13번14번15번16번
버팔로 세이버스16.6%15.0%68.4%
애너하임 덕스12.1%11.7%26.9%49.3%
시애틀 크라켄10.3%10.2%4.7%39.3%35.6%
뉴저지 데블스10.3%10.2%11.5%43.9%24.2%
콜럼버스 블루재키츠8.5%8.6%20.6%45.8%16.5%
디트로이트 레드윙스7.6%7.8%30.0%43.8%10.9%
산호세 샤크스6.7%6.9%39.7%39.7%6.9%
로스앤젤레스 킹스5.8%6.0%49.4%34.5%4.3%
밴쿠버 커넉스5.4%5.7%58.6%28.0%2.4%
오타와 세너터스4.5%4.8%67.7%21.8%1.2%
애리조나 카이오티스3.1%3.3%75.9%17.1%0.7%
시카고 블랙호크스2.7%2.9%81.7%12.4%0.3%
캘거리 플레임스2.2%2.4%87.0%8.4%0.1%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1.8%2.0%91.3%4.9%
0.0%
댈러스 스타스1.4%1.5%95.0%2.1%
뉴욕 레인저스1.0%1.1%97.9%

2021년 드래프트부터 확률의 가중치가 변경되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팀의 상위픽 획득 확률이 높아졌다. 아무래도, 지난 2020년 드래프트에서 2019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던 뉴욕 레인저스가 전체 1번을 받아가버리고, 오드가 제일 높았던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와 그다음으로 높았던 오타와 세너터스가 각각 무려 4번과 5번까지 떨어지는 참사가 벌어진 것 때문으로 보인다. 가중치의 변경으로 2021년 드래프트에서는 애너하임 덕스시애틀 크라켄을 제외한 나머지 팀들은 성적의 역순으로 지명권을 획득했다.


3. 역대 개최지[편집]


역대 드래프트 개최 일자 및 장소
연도일자도시장소라운드지명 인원
19636월 5일퀘벡주
몽레알
퀸 엘리자베스 호텔421
19646월 11일24
19654월 27일311
19664월 25일424
19677월 7일318
19686월 13일24
19696월 11일1084
197013115
19716월 10일15117
19726월 8일11152
19735월 15일레 쿠흐 몽후아얄(마운트 로열 호텔)13168
19745월 28일NHL 몬트리올 사무소25247
19756월 3일18217
19766월 1일15135
19776월 14일17185
19786월 15일퀸 엘리자베스 호텔21234
19798월 9일6126
19806월 11일르 포험 드 몽레알(몬트리올 포럼)[A]10210
19816월 10일11211
19826월 9일12252
19836월 8일242
19846월 9일250
19856월 15일온타리오주 토론토토론토 컨벤션 센터252
19866월 21일퀘벡주 몽레알르 포험 드 몽레알(몬트리올 포럼)[A]
19876월 13일미시간주 디트로이트조 루이스 아레나[2]
19886월 11일퀘벡주 몽레알르 포험 드 몽레알(몬트리올 포럼)[A]
19896월 17일미네소타주 블루밍턴멧 센터[3]
19906월 16일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BC 플레이스250
19916월 22일뉴욕주 버팔로버팔로 메모리얼 오디토리엄[D]264
19926월 20일퀘벡주 몽레알르 포험 드 몽레알(몬트리올 포럼)[A]11
19936월 26~27일퀘벡주 퀘벡시콜리세 드 케벡[4]286
19946월 28일코네티컷주 하트퍼드하트퍼드 시빅 센터[5]
19957월 8일앨버타주 에드먼턴에드먼턴 콜리세움[6]9234
19966월 22일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킬 센터241
19976월 21일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시빅 아레나[7]246
19986월 27일뉴욕주 버팔로마린 미들랜드 아레나258
19996월 26일메사추세츠주 보스턴플리트 센터272
20006월 24~25일앨버타주 캘거리캐네디언 에어라인스 새들돔293
20016월 23~24일플로리다주 선라이즈내셔널 카 렌탈 센터289
20026월 22~23일온타리오주 토론토에어 캐나다 센터290
20036월 21~22일테네시주 내슈빌게일로드 엔터테인먼트 센터292
20046월 26~27일노스캐롤라이나주 롤리RBC 센터291
20057월 30일온타리오주 오타와웨스틴 호텔7230
20066월 24일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제너럴 모터스 플레이스213
20076월 22~23일오하이오주 콜럼버스네이션와이드 아레나211
20086월 20~21일온타리오주 오타와스코샤뱅크 플레이스
20096월 26~27일퀘벡주 몽레알상트흐 벨
20106월 25~26일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스테이플스 센터210
20116월 24~25일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엑셀 에너지 센터211
20126월 22~23일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콘솔 에너지 센터
20136월 30일뉴저지주 뉴어크프루덴셜 센터
20146월 27~28일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웰스 파고 센터210
20156월 26~27일플로리다주 선라이즈BB&T 센터211
20166월 24~25일뉴욕주 버팔로퍼스트 나이아가라 센터
20176월 23~24일일리노이주 시카고유나이티드 센터217
20186월 22~23일텍사스주 댈러스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20196월 21~22일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로저스 아레나
202010월 6~7일뉴저지주 세카우커스NHL 네트워크 스튜디오216
20217월 23~24일223
20227월 7~8일퀘벡주 몽레알상트흐 벨225
20236월 28~29일테네시주 내슈빌브리지스톤 아레나224


4. 역대 전체 1번 지명 선수[편집]


  • 금색
    은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
  • 흑색
    은 칼더 메모리얼 트로피(Calder Memorial Trophy)[8] 수상자.
  • 검금
    은 칼더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 및 NHL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
  • 회색
    은 NHL에서 활동(데뷔)한 적 없는 선수.
  • 팀 옆의 *표시는 해당 시즌 첫 참가.

역대 1라운드 전체 1번 지명자
연도지명 팀선수로마자 및 키릴자 명칭국적포지션
1963레 카나디앵 드 몽레알개리 모너핸Garry Monahan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캐나다C
1964디트로이트 레드윙스클로드 고티에Claude Gauthier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캐나다RW
1965뉴욕 레인저스앙드헤 브일뢰André Veilleux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RW
1966보스턴 브루인스배리 깁스Barry Gibbs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1967로스앤젤레스 킹스*릭 파뉴티Rick Pagnutti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1968레 카나디앵 드 몽레알미셸 플라스Michel Plasse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G
1969레 카나디앵 드 몽레알헤장 울르Réjean Houle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RW
1970버팔로 세이버스*질베흐 페홀르Gilbert Perreault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71레 카나디앵 드 몽레알기 라플뢰Guy Lafleur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RW
1972뉴욕 아일런더스*빌리 해리스Billy Harris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RW
1973뉴욕 아일런더스*데니스 포트빈Denis Potvin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1974워싱턴 캐피털스그렉 졸리Greg Joly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1975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멜 브리지먼Mel Bridgman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76워싱턴 캐피털스릭 그린Rick Green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1977디트로이트 레드윙스데일 맥커트Dale McCourt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78미네소타 노스 스타스바비 스미스Bobby Smith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79콜로라도 로키스롭 라미지Rob Ramage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1980레 카나디앵 드 몽레알더그 비켄하이저Doug Wickenheiser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81위니펙 제츠[9]데일 해버척Dale Hawerchuk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82보스턴 브루인스고드 클루작Gord Kluzak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1983미네소타 노스 스타스브라이언 로튼Brian Lawton파일:미국 국기.svg 미국C
1984피츠버그 펭귄스마리오 르미외Mario Lemieux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85토론토 메이플 리프스웬들 클라크Wendel Clark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1986디트로이트 레드윙스조 머피Joe Murphy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RW
1987버팔로 세이버스피에흐 튀흐제옹Pierre Turgeon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88미네소타 노스 스타스마이크 모다노Mike Modano파일:미국 국기.svg 미국C
1989노흐디크 드 케벡마츠 순딘Mats Sundin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C
1990노흐디크 드 케벡오웬 놀란Owen Nolan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RW
1991노흐디크 드 케벡에릭 린드로스Eric Lindros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92탬파베이 라이트닝*로만 하므를리크Roman Hamrlík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D
1993오타와 세너터스알렉상드흐 데글Alexandre Daigle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94플로리다 팬서스에드 요바노스키Ed Jovanoski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1995오타와 세너터스브라이언 베라르Bryan Berard파일:미국 국기.svg 미국D
1996오타와 세너터스크리스 필립스Chris Phillips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1997보스턴 브루인스조 손튼Joe Thornton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98탬파베이 라이트닝뱅상 르카발리에Vincent LeCavalier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1999애틀랜타 스래셔스*파트릭 슈테판Patrik Štefan파일:체코 국기.svg 체코C
2000뉴욕 아일런더스릭 디피에트로Rick DiPietro파일:미국 국기.svg 미국G
2001애틀랜타 스래셔스일리야 코발추크Илья Ковальчук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LW
2002콜럼버스 블루재키츠릭 내쉬Rick Nash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LW
2003피츠버그 펭귄스마르크앙드레 플뢰리Marc-André Fleury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G
2004워싱턴 캐피털스알렉산더 오베츠킨Александр Овечки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LW
2005피츠버그 펭귄스시드니 크로스비Sidney Crosby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2006세인트루이스 블루스에릭 존슨Eric Johnson파일:미국 국기.svg 미국D
2007시카고 블랙호크스패트릭 케인Patrick Kane파일:미국 국기.svg 미국RW
2008탬파베이 라이트닝스티븐 스탬코스Steven Stamkos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2009뉴욕 아일런더스존 타바레스John Tavares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2010에드먼턴 오일러스테일러 홀Taylor Hall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LW
2011에드먼턴 오일러스라이언 뉴즌-홉킨스Ryan Nugent-Hopkins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2012에드먼턴 오일러스나일 야쿠포프Наиль Якупов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RW
2013콜로라도 애벌랜치네이선 매키넌Nathan MacKinnon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2014플로리다 팬서스애런 에크블래드Aaron Ekblad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2015에드먼턴 오일러스코너 맥데이비드Connor McDavid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2016토론토 메이플 리프스오스턴 매튜스Auston Matthews파일:미국 국기.svg 미국C
2017뉴저지 데블스니코 히셔Nico Hischier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C
2018버팔로 세이버스라스무스 달린Rasmus Dahlin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D
2019뉴저지 데블스잭 휴즈Jack Hughes파일:미국 국기.svg 미국C
2020뉴욕 레인저스알렉시 라프레니에르Alexis Lafrenière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LW
2021버팔로 세이버스오웬 파워Owen Power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D
2022레 카나디앵 드 몽레알유라이 슬라프코프스키Juraj Slafkovský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LW
2023시카고 블랙호크스코너 베다르Connor Bedard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C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12:40:53에 나무위키 NHL 드래프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를 들어, 1라운드 전체 9번으로 지명한 선수가 입단을 거절했다면, 2라운드 9번 픽을 부여받게 되는 것.[A] A B C D 레 카나디앵 드 몽레알의 당시 홈구장[2]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당시 홈구장[3] 미네소타 노스스타즈의 당시 홈구장[D] 버팔로 세이버스의 당시 홈구장[4] 노흐디크 드 케벡의 당시 홈구장[5] 하트퍼드 웨일러스의 당시 홈구장[6] 에드먼턴 오일러스 당시 홈구장[7] 피츠버그 펭귄스 당시 홈구장[8] 정규시즌 신인왕[9] 舊 위니펙 제츠, 現 애리조나 카이오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