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7 최루수류탄

덤프버전 :

M7 RCHG
M7 Riot Control Hand Grenade
파일:m7a3.jpg
종류최루수류탄
제조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이력
역사1935년~현재
개발미 육군 화학전 연구국
생산엣지우드 조병창
메이스 세큐리티 인터내셔널
운용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기종
파생형M7A1~3
제원
전장145mm
직경64mm
중량439g
신관시한식 M201A1
충전재CN(M7, M7A1)
CS(M7A2~3)
지속시간15~35초
1. 개요
2. 상세
2.1. 역사
2.2. 특징
3. 종류
3.1. M7
3.2. M7A1
3.3. M7A2
3.4. M7A3
4. 출처
5. 등장매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M7 RCHG(Riot Control Hand Grenade, 폭동진압용 수류탄)은 미군최루수류탄이다.


2. 상세[편집]



2.1. 역사[편집]


파일:ybry.jpg

제1차 세계 대전 직후에 창설된 미 육군 화학전 연구국(CWS)이 1933년에 클로로아세트페논(CN)을 무기화함에 따라, 미군은 이를 즉시 M7의 제식명으로 채택하고 곧이어 발발한 제2차 세계 대전의 화학전에 다량 투입해 큰 성과를 거뒀다.

이후에 벌어진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충전재가 2-클로로벤즈알말로노나이트릴(CS)로 대체된 M7A2가 당시 주적인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땅굴 전략에 맞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소폭 개량된 M7A3이 오늘날에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2.2. 특징[편집]


파일:Chloroacetophenone_svg.png
C8H7ClO
클로로아세트페논
chloroacetophenone
파일:512px-CS_gas_svg.png
C10H5ClN2
2-클로로벤즈알말로노나이트릴
2-chlorobenzylidenemalononitrile
파일:usmc cs.jpg

내부에 충전된 구형의 CN, 신형의 CS 모두 인체에 대한 자극성이 매우 커서 이에 노출될 경우 작열감과 같은 고통을 수반함과 동시에 다량의 눈물이나 콧물은 물론, 호흡기 내의 점막에도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심각한 재채기와 호흡곤란까지 유발하는 비치사성 화학무기이다.


3. 종류[편집]


명칭M7M7A1M7A2M7A3
사진파일:m7_sheet 0a.png파일:m7a1.png파일:m7a2.png파일:m7a3_sheet 0b.png
연도1935년~불명1963년~불명불명1960년~현재
재고번호1330-00-219-85771330-00-219-8577불명1330-00-965-0802
도색국방색회색회색회색
신관M201A1M201A1M201A1 Mod.2M201A1 Mod.2
충전재CNCNCSCS

3.1. M7[편집]


구토를 유발시키는 기존의 아담사이트(DM) 대신 클로로아세트페논(CN)과 산화마그네슘 등의 점화용 물질이 혼합된 상태로 충전된 전기형이다.


3.2. M7A1[편집]


연막 배출구가 측면 18개에서 상단 4개, 하단 1개로 변경되는 동시에 점화용 물질의 성분이 염화칼륨, 탄산수소칼륨, 설탕으로 대체된 개량형이다.


3.3. M7A2[편집]


충전재가 2-클로로벤즈알말로노나이트릴(CS)로 대체됨과 동시에 내부 혼합물이 젤라틴 재질의 캡슐에 봉인된 개량형이다.


3.4. M7A3[편집]


2-클로로벤즈알말로노나이트릴(CS)를 분말 형태로 고형화시킨 최종 개량형이다.


4. 출처[편집]



4.1. 웹사이트[편집]




4.2. PDF[편집]




5. 등장매체[편집]



5.1. 영화[편집]







5.2. 게임[편집]








6. 둘러보기[편집]






냉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냉전기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M1903A1, M1903A4, M1917, M70, M4, MA-1, M40, M40A1, M24 SWS
반자동소총M1 Garand, M1 Carbine, M21 SWS
자동소총M1918A2, M2 Carbine, M1946, M14, M15, AR-10B, SPIW(Springfield SPIW, AAI SPIW), M16, Mk.I A, GAU-5, M16A1, AR-18, GUU-4/P, XM19, XM70, LMR, M231, M16A2, ACR, G11K2
기관단총M1928A1, M1A1, M3, M3A1, M6, TRICAP
산탄총M12, M11-48, M37, M870, M1100, M1200, M500, M520, M590, M6 ASW, H&K CAWS, AAI CAWS, S&W CAWS, Jackhammer, AA-12, MIWS
권총리볼버M10, M13, M1909, M1917, M1927, M15
자동권총M1903, M1911A1, M9
기관권총SCAMP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M249, HK23A1
다목적기관총M1919A4, M1919A6, M37, M73, M60, M134, M240, XM214
중기관총M1917A1, M2, M2HB, EX-17, M85, GAU-19
유탄발사기M79, X-1, XM148,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T148E1, XM174
로켓발사기M20, M72 LAW, M202 FLASH, Mk.153, RAW
미사일발사기MGM-21, MGM-32, FIM-43, M47, BGM-71, FIM-92
무반동총M18, M20, M28, M29, M67, M40, M136
화염방사기M2, M9A1-7
박격포M2, M19, M29, Mk.2, Mk.4, M224, M252
특수전 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M500, RC-50, M86, M88
반자동소총G3/SG1, M82
자동소총CAR-15, XM177E1, XM177E2, M653, M723, M733
기관단총M76, MAC-10, MPL, MPK, UZI, M635, MP5A3, MP5SD3, MP5-N, MP5SD-N, HK54A1
권총리볼버M66, QSPR, M686, GS32-N
자동권총HDM, Mk.1, Mk.2, Mk.22, PPK, P9S-N, P11, M45, P226
산탄총Masterkey, M7180, M7188
기관총Mk.23, EX-27, HK21
폭발물수류탄Mk.2, Mk.3, M26, M67, V40
총류탄M7
화학탄M7A3, M14, M18, M25, M34
지뢰M14, M15, M16, M18A1, M19
폭약M1, M1A2, M1A3, M2A4, M3A1, M37, M039, M112, M118, M183
냉병기총검M6, M7, M9
단검Gerber Mk II, Ka-Bar USMC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돌격소총M4, M4A1, XM7, M16A2, M16A3, M16A4, M27, M231, GUU-5/P, XM29, XM8
지정사수소총M14, M21, M21A5, M38, M39, M110, M110A1, M110A2, Mk.11, Mk.12, Mk.14, SAM-R, SDM-R, SIG716, MSG90
저격소총M24, M40, M82A1, M82A1M, M82A3, M107, M2010, Mk.13, RC-50, XM109
산탄총M26, M500, M590, M870, M870 MCS, M1014, M1200, AA-12
기관단총M3A1, MP5A3, MP5A5, MP5K, MPX, M635, APC9K, P90 TR
권총리볼버M15, GS32N
자동권총M9, M9A1, M11, M17, M18, M007, P229R DAK, KP95D, SP2022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M249, XM250, LSAT
다목적기관총M60, M134, M240
중기관총M2HB, M2A1, M85, GAU-19, XM312, XM806
유탄발사기M32, M203, M320, Mk.19, EX-41, XM25, XM307
로켓발사기M72, M141, M202, Mk.153, Mk.777, RAW
미사일발사기BGM-71, FGM-77, FGM-148, FGM-172, FIM-43, FIM-92, SB LMAMS
무반동총M3, M67, M136
박격포M120, M224, M252, M327, Mk.2, Mk.4, XM905
곡사포M102, M119, M198, M777
특수전 화기소총돌격소총M723, M727, M733, M4A1 URG-I, Mk.16, Mk.17, Mk.18, HK416, MCX, SG552, SR-47
지정사수소총M14 DMR, Mk.1, Mk.20, HK417, OBR, RECCE, SR-25
저격소총M25, M91, Mk.15, Mk.21, Mk.22, LRP-07, RPR, TAC-338
기관단총MP5-N, MP7A1, UMP45
권총M1911, M45, M45A1, M66, M686, Mk.2, Mk.23, Mk.24, Mk.25, Mk.27, G22, HDM, P9S-N, P11, P239, PPK/S, OHWS, USP45CT
기관총Mk.43, Mk.44, Mk.46, Mk.48, HK21, HK23E, LAMG, Ultimax 100, MG338
유탄발사기M79, Mk.13, Mk.14, Mk.47, XM148
폭발물수류탄살상탄M67, Mk.3, Mk.21, ET-MP
섬광탄M84, M7290, Mk.13, Mk.20, Mk.141
화학탄M7A3, M8, M14, M18, M25A2, M34, M83
총류탄M100
지뢰M4A1, M7, M15, M18A1, M19, M86, MM-1
폭약M1, M1A2, M1A3, M2A4, M3A1, M039, M112, M118, M183, M303, Mk.7, TNT
냉병기총검M1, M6, M7, M9, M1905, OKC-3S
단검M11, Mk.3 Mod.0, AFSK, ASEK, KA-BAR, Mark II, MPK-Ti, SEAL-2000, SMF
예도M1840, M1852, M1859, M1860, M1902
도끼R&D Hawk, Shrike, VTAC
비치사성무기M5, M37, M39, M104, M234, FN 303, X26, 532P-M, LA-9/P
의장용 화기M1903, M1917, M1, M14, M16A1, M16A2, M16A3, M16A4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0 10:14:25에 나무위키 M7 최루수류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