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바둑왕전

덤프버전 :




KBS 바둑왕전
KBS 바둑王戰 / KBS杯
주관한국기원
주최, 후원KBS
중계KBS 1TV (일요일 새벽 0시 35분[1])
진행 : 김여원 / 해설 : 박정상 九단 (41기 ~)
상금총 상금 1억 1,600만 원(우승 2,000만원, 준우승 600만원)
대회방식본선 8강 토너먼트 단판 승부[2]
(전기 시드 2명, 주최사 시드 1명, 랭킹 상위 5명 초청)
대국규정제한시간 각자 5분, 30초 초읽기 5회
계가한국룰 덤 6.5집
최근 우승자신진서 九단 (제41기 KBS 바둑왕전)
최다 우승자이창호 九단 (11회)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4. 대회 중지
5. 역대 기록자
6. 역대 계시자
7. 대회 규모 축소
8. 역대 대회
9. 역대 진행자
10. 역대 우승자
11. 경쟁 프로그램



1. 개요[편집]


한국기원 주관 바둑 기전. 한국방송공사 주최로 열리며,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를 위한 차원에 가깝다. 전신은 1979년 10월에 시작된 <KBS 초대바둑>이었다. 1980년부터 현 명칭으로 변경. 원래는 KBS1-KBS3(현 EBS1)에서 했다가 1990년에 KBS2로, 1996년 15기 11국부터 KBS위성1-KBS KOREA를 거쳐 2005년부터 KBS1로 다시 옮겼다. 2010년 29기부터 타이틀 로고 및 OP영상, 테마곡을 변경했으며, 35기부터 다시 변경하였다.[3]


2. 상세[편집]


속기바둑 중에서도 굉장히 제한시간이 짧은 편에 속한다. 그리고 본방송이 자정 조금 넘은 시간에 있다. 물론 실제 대국과 녹화는 며칠 전에 하며 대국시간은 15:00. 직전 대회인 38기 대회의 본방송 시간과 달리 주간시간대에 방송된 적도 많다. 해당 내역은 아래와 같다(방송사별 짧은 공백기간은 제외).
  • KBS1 : 1980년 1월 6일~1980년 12월 28일, 1998년 5월 20일~21일[4]
  • KBS2 : 1987년 3월 8일~1987년 5월 10일
  • 이제는 남남이 바둑강의용 <KBS 바둑강좌> 된 지 오래인 구 KBS 3TV(...) : 1982년 9월 26일~1990년 12월 23일[5]
  • KBS 코리아 : 2002년 3월 3일~2005년 6월 12일(2002년 8월 10일, 8월 17일, 9월 2일, 10월 13일만 제외[6])
  • KBS 위성 1 : 1997년 3월 9일~1998년 1월 4일, 1998년 5월 20일~21일(KBS1과 재송신 및 동시방송)
  • KBS 위성 2 : 1999년 6월 20일~2001년 7월 29일

한국기원에 기보가 올라오지 않고, KBS 본방송에서만 보이며 방영 후 사이버오로 및 한국기원 국내뉴스에 소식이 전해진다. 일본기원(NHK배)과 중국기원(CCTV배)은 기보가 올라와서 http://www.go4go.net/go/ 같은 사이트에 업로드되는데 한국 KBS 바둑왕전만 이렇다. 한국기원에야 찾으라면 찾을 수 있다. 하지만, 36기의 경우 4월 이후로 업데이트가 없다.(1회전 일부 올라옴)

한때는 노영하 9단의 말솜씨로 사랑받았던 바둑 기전이었으나, 2017년 바둑왕전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 여파로 1회전 이후 진행이 중단되었다.(방송은 10월 22일 16강전 김기용 - 한승주가 최신) 이후 12월 13일에 한국기원에서 재개되었다. 방송 녹화를 하지 않고 그냥 대회만 속행한 상태였다. 다행히 2018년 3월 11일 준결승전부터 방송을 재개했다.

2018년에는 원래 전년도 12월에 하는 바둑왕전 예선이 취소되어 KBS 바둑왕전이 완전히 취소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방송공사의 파업이 끝나면서 2018년 3월에 KBS 바둑왕전 예선이 다시 잡혔다. 하지만 이미 4개월이나 일정이 늦어진 상태라, 2018년 대회는 그야말로 급조대회끝판왕이 되었다.

31기 대회까진 스튜디오 변화 없이 달랑 바둑판 보드 하나만 놓고 기보를 설명했으나, 32기 대회부터 스튜디오를 현대식으로 개편했다. 그러나 기수를 거쳐가면서 오프닝이나 자막 등등의 변화가 있었다곤 하지만 저작권의 문제 때문인지 변천사를 알 수 있는 영상이 보이지 않는다.


3.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출전권[편집]


KBS 바둑왕전, NHK배, CCTV 상위 입상자들이 모여서 하는 세계대회인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의 예선에 가깝다. KBS 바둑왕전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자동으로 진출한다. 그리고 3위는 우승자와 준우승자 중에서 이미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우승자(차년도 시드)에 겹칠 경우에 공석이 되는 관계로 선발전을 치러서 이길 경우 출전할 수 있다. 2019년 31회 대회 끝으로 폐지되었다.


4. 대회 중지[편집]


2019년 11월, 한국방송공사시청률 부진으로 인해 제38기 KBS 바둑왕전을 끝으로 KBS 바둑왕전을 완전히 중지하기로 했다. 2020년 TV아시아에 한국 바둑기사들이 출전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TV아시아 한국 기사 출전 또는 한국 개최 역시 포기하기로 했다. 그러나 2020년 대회 개최불발 및 대회가 폐지되고, 본선을 8강으로 단축하는것으로 변경하여 재개되었으나 2021년 대회 끝으로 폐지되는듯 보였으나 2023년 1월, 한국기원 홈페이지에 제41기 대진표가 공지되면서 아직 폐지가 되지 않았음을 알렸다.


5. 역대 기록자[편집]


  • 김원 6단
  • 홍맑은샘 아마 7단 (재일교포)
  • 채영석 아마 5단
  • 온승훈 아마 6단


6. 역대 계시자[편집]


  • 승순선 아마 5단
  • 강효숙 아마 4단
  • 김미동 아마 4단
  • 강나연 아마 5단
  • 이지영 아마 4단
  • 김선희 아마 5단
  • 민윤경 아마 5단
  • 김민이 아마 5단


7. 대회 규모 축소[편집]


한국기원 홈페이지 內 '8월 일정' 페이지에는 어째서인지 제39기 KBS바둑왕전 예선이 기록되어 있다. 본선 8강 체제로 변형해 치르는 것으로 보인다. #

2020년에 한해 KBS에서 한 해 더 기회를 줬다고 한다. 이번에는 시청률을 올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지난 대회처럼 녹화 방송을 하게 된 거 같으니[7] 별 수 없지만, 그것보다도 편성시간대를 (변한 거 1도 없이)자정(...)으로 잡으면 답이 없다...[8]한국기원은 힘이 없다 는 걸 간접적으로 보여질 수도 있고.. 이번에도 자정/새벽 시간대로 편성이 잡히며 시청률은 포기해야되는 상황이 와 버렸다.

2021년 9월 29일 한국기원을 통해 제40기 KBS 바둑왕전 대진표가 올라왔다. 40기 대회도 8강 토너먼트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대회부터 예선전을 없애고 전기 시드 2명, 주최사 KBS측의 시드 1명, 랭킹 상위자 5명[9] 총 8명을 초청해서 대결하는 초청전으로 바뀌어 제한기전으로 분류되었고 41기 부터 결승전은 단판승부로 변경되었다.

8. 역대 대회[편집]



9. 역대 진행자[편집]



10. 역대 우승자[편집]


회차연도우승자전적준우승자비고
11980년조훈현 八단2:0노영하 七단 
21982년조훈현 九단2:0김희중 七단 
31983년서봉수 七단2:0김좌기 四단 
41984년조훈현 九단2:1서봉수 八단 
51985년하찬석 七단2:1김희중 七단생전 5기 우승
61986년조훈현 九단2:1김희중 七단 
71987년조훈현 九단2:0서능욱 八단 
81988년이창호 三단2:0김수장 七단이창호, 한국 바둑 기전 최연소 우승(만 13세 6개월)
91989년조훈현 九단2:1서능욱 八단 
101990년조훈현 九단2:0서능욱 八단 
111991년이창호 六단2:1조훈현 九단 
121992년조훈현 九단2:0유창혁 六단 
131994년이창호 七단2:0조훈현 九단 
141995년유창혁 七단2:0이창호 七단 
151996년조훈현 九단2:1이창호 九단 
161997년조훈현 九단2:0이창호 九단 
171998년이창호 九단2:0정수현 九단 
181999년조훈현 九단2:0이창호 九단 
192000년목진석 五단2:1이창호 九단본격 포스트 이창호 시대를 알림
202001년이창호 九단2:0이세돌 三단 
212002년이창호 九단2:1이상훈(大) 七단 
222003년송태곤 五단2:0박병규 四단 
232004년이창호 九단2:0조한승 七단 
242005년이창호 九단2:0유창혁 九단 
252006년이세돌 九단2:0최철한 九단 
262007년이창호 九단2:1조한승 七단 
272008년이창호 九단2:1이세돌 九단 
282009년이창호 九단2:0강동윤 九단이창호 통산 11회 우승 및 대회 최초 3연패
292010년박정환 八단2:0백홍석 七단 
302011년박정환 九단2:0백홍석 九단 
312012년박정환 九단2:1이창호 九단 
322013년이세돌 九단2:1박정환 九단 
332014년이동훈 四단2:0박정환 九단이동훈, 국내대회 첫 우승 
342015년박정환 九단2:1이세돌 九단 
352016년이세돌 九단2:0나 현 七단 
362017년박정환 九단2:0김지석 九단 
372018년신민준 九단2:0박정환 九단신민준, 종합바둑기전 우승
382019년신진서 九단2:1신민준 九단 
392020년신진서 九단2:0안성준 八단안성준 선수, 특별승단[10] 규정 적용으로 九단으로 승단함
402021년신진서 九단2:0박정환 九단 
41[11]2023년신진서 九단1:0박정환 九단신진서, 바둑왕전 사상 첫 4연패

조훈현 九단과 이창호 九단이 각각 11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세돌 九단은 의외로 3회 우승에 그쳤다. 박정환 九단이 5회(3연패 포함), 신진서 九단은 4회(최근 4연패 중이다.) 우승.

11. 경쟁 프로그램[편집]


  • MBC 바둑제왕전 (1982~1995) - 해당 프로는 윤기현 九단이 해설을 맡았다.
  • SBS 세계 바둑 최강전 (1992~199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03:59:32에 나무위키 KBS 바둑왕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시에서 다소 당겨졌다.[2] 40기까지는 결승 3번기 승부였으나 41기부터 결승도 단판으로 진행한다.[3] 3D CG 오프닝은 14기에서 처음 도입.[4] 당시 특별생방송으로 진행되었던 16기 결승으로, 이 기간 오프닝 타이틀에 당시 KBS의 바둑 국제대회 중계 시그널을 사용했었다.[5] 이후 1991년부터 2014년까지 <EBS 바둑교실>로 계승된다.[6] 그나마도 이 땐 자정 전(밤 11시)에 본방송을 시작했었다. 차주 편성 제외.[7] 변화가 있다면 4K UHD 영상으로 녹화 방송을 한다는 점이다.[8]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사람들이 잘 안보는 시간대다. 특히나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저녁에 일찍 잠드는 생활패턴을 지닌 중장년, 노년층 시청자가 많은 바둑의 경우 더더욱.[9] 불참자는 차순위자로 대체[10] 국내대회 준우승 시 1단 승단[11] 이 대회부터 결승을 단판승부로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