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BE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하이브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하이브(동음이의어) 문서
하이브(동음이의어)번 문단을
하이브(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HYBE 로고.svg[[파일:HYBE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레이블빅히트 뮤직 | 빌리프랩 | 쏘스뮤직 | 플레디스 | KOZ | ADOR (한국)
HYBE LABELS JAPAN | NAECO (일본)
HYBE UMG | 이타카 홀딩스 | Ithaca Label Holdings | Silent Records Ventures | Ithaca Publishing Holdings | Atlas Music Publishing | Silent Publishing Ventures | PBB | BIG Noize | BMLG | Big Machine Records | Valory Music | BMLG Records | Big Machine John Varvatos Records | BIg Machine Radio | QC 뮤직 | QUALITY CONTROL MUSIC PUBLISHING (미국)
Exile Music (라틴)
솔루션HYBE 360 | HYBE IPX | HYBE OSB | HYBE HOLDINGS | HYBE IM | 수퍼톤 | 바이너리코리아 | 하이브 미디어 스튜디오
HYBE JAPAN | HYBE AMERICA | HYBE LATIN AMERICA (해외본사)
Ithaca Content Holdings | Silent Content Ventures | SCV AG Concert Doc Project | SCV JB Concert Doc Project | Silent Content Development | thaca Media Ventures | EXPERIENTIAL SUPPLY | Brickfest | Big Machine Music (콘텐츠&공연)
스쿠터브라운 프로젝트 | SANDBOX SUCCESSION | ILH - LE Production | Ithaca Management Holdings | Ithaca MHM | Artist Investment Holdings | Ithaca EMG | Ithaca Specialty Holdings | SB MUSIC | SOLID FOUNDATION MANAGEMENT (매니지먼트)
플랫폼WEVERSE COMPANY (Weverse, Weverse Shop, Phoning) | Weverse Japan | Weverse America
관계회사YG PLUS | KBYK Live (VenewLive) | 케이크 | 이너버즈 | 플린트 | 위블링 (HYBE)
레벨스 (MOMENTICA) | SRV Label | ILH Production | BeatBuds Media | Mythos Studios | NSN Apparel | AGRB | Void Music | The 740 Project | Whalers | DLGIH | AGREM BTY | QC FOXX (HYBE AMERICA)
프로젝트I-LAND | &AUDITION-The Howling | iCON Z Girls Group Audition | 알유넥스트 | The Debut: Dream Academy
관련문서레이블 콘서트 (2021 | 2022 | 2023) | 역사 | 경영 | 사건 사고



하이브
HYBE
파일:HYBE 로고.svg파일:HYBE 로고 화이트.svg
기업명정식: 주식회사 하이브
영어: HYBE Co., Ltd.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업종명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설립일2005년 2월 4일[1]
창업주방시혁
총수
임원진
[ 펼치기 · 접기 ]
이사회 의장
방시혁
CEO
박지원
HYBE AMERICA CEO
스쿠터 브라운
(대표이사 및 사내이사만 표기)
기업 규모준대기업
상장 여부상장 기업
시가 총액8조 8500억 (2024.04.22.)
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2 (한강로3가 65-9)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채용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기타 정보 ▼

법인 형태주식회사
법인 번호110111-3166546
시장 정보상장 시장: 코스피[1] (2020.10.15.~ )
상장일: 2020년 10월 15일
종목 코드: KS: 352820
직원 수675명 (2023년 6월 30일 기준)[2]
자본금[3]206억 7,669만 3,500원 (2022년 12월 31일)
매출액연결: 1조 7,761억 5,400만원 (2022년)
별도: 5,598억 1,400만원 (2022년)
영업 이익연결: 2,369억 800만원 (2022년)
별도: 36억 4,100만원 (2022년)
순이익연결: 480억 3,200만원 (2022년)
별도: 504억 7,900만원 (2022년)
자산 총액연결: 4조 8,704억 3,400만원 (2022년)
별도: 3조 5,857억 6,200만원 (2022년)
부채 총액연결: 1조 9,417억 5,400만원 (2022년)
별도: 1조 1,401억 5,200만원 (2022년)
부채 비율연결: 66.3% (2022년)
별도: 46.62% (2022년)

[1] 연예 기획사가 코스피에 직상장한 최초 사례다.[2] 엔터사 부문인 빅히트 뮤직이 분사되면서 인원이 상당수 빠져나갔다.[3] 자본금과 하단 재무제표 출처.

1. 개요
2. 로고
3. 사옥
5.1. 발표 및 설명회
5.2. 컨퍼런스 콜
6. 지배 구조
7. 소속 아티스트
7.1. 총괄 프로듀서
7.2. 메인 프로듀서
7.3. 과거 소속 아티스트
7.4. 데뷔조 연습생
9. HYBE X 네이버 웹툰
10. HYBE JAPAN TV
13. 여담




1. 개요[편집]


하이브(HYBE)는 “We believe in music”[2]

이라는 미션 아래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기업입니다. 하이브는 음악에 기반한 세계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기업을 지향합니다.

글로벌 트렌드를 이끄는 '콘텐츠'와 우리의 고객인 '팬'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높은 기준과 끊임없는 개선으로 고객을 만족시키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 소개문

대한민국의 대형 연예 기획사 중 한 곳으로, 2021년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에서 개편되어 출범했다.


2. 로고[편집]


HYBE CI
파일:HYBE 로고.svg
로고
파일:HYBE 워드마크.svg
워드마크
파일:HYBE 심볼.svg파일:HYBE 심볼(Hyper Lemon).svg
심볼
HYBE확장, 연결, 관계를 상징한다고 하며 심볼 H는 다양한 화음을 쌓은 오선보가 하나의 가로선으로 압축된 모습으로 표현되어 음악에서 출발해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는 기업의 정체성과 가치를 담았다고 한다.


3. 사옥[편집]


HYBE 사옥
파일:빅히트용산완공2.jpg파일:빅히트용산조감도.jpg
용산 신사옥
[ 펼치기 · 접기 ]

2005년 2월 4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 8-11, 청하빌딩 2층
2005년 2월 17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47-2, 3층 307호
2006년 6월 16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9-14, 우진빌딩 4층
2007년 10월 18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10-31, 청구빌딩 2층
2011년 10월 31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16길 13-20, 2층 (논현동, 청구빌딩)[1]
2020년 8월 14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08길 42, 2층 (대치동, 엠디엠타워)
2021년 3월 30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2

[1] 전설이 시작된 곳이다. 2007년 10월 18일부터 입주한 곳이며, 지번주소에서 도로명주소로 바꾼 것이다.
역대 회사 본점소재지 및 입점일

파일:HYBE 로고.svg | 용산 사옥 층별 구조
[ 펼치기 · 접기 ]

시설
19포럼, 카페, 정원
18구내식당
17복지시설
16ADOR라이브러리
15빅히트 뮤직
14빌리프랩
13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피트니스 존
12사무 오피스
11KOZ 엔터테인먼트
10쏘스뮤직라이브러리
9사무 오피스
8바이너리코리아
7비품 구비, 보관 창고
2~6레이블별 안무연습실, 스튜디오, 음악작업실 등이 마련된 엔터테인먼트 관련 특수 시설[1]
1로비층[2]
B1~B2연습실 등 아티스트를 위한 특수 시설[3]
B3~B7주차장

[1] 안무연습실이 총 3개층에 위치해 있으며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다.[2] 사옥 입구 보안 - 1차 경호원 통과, 2차 등록된 출입증 통과, 3차 얼굴 인식 및 열체크 최종 통과. 사옥 내부에서 허가되지 않은 카메라 촬영은 모두 금지다.[3] 기존에는 HYBE INSIGHT를 운영하던 자리였으나 아티스트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변경되었다.

파일:HYBE 로고.svg | 용산 사옥 정보
[ 펼치기 · 접기 ]

위치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42
용도업무시설
대지면적4,470.6㎡
건축면적2,681.78㎡
연면적62,783.45㎡
규모지상 19층, 지하 7층
높이99.62m
주차212대
건폐율59.99%
용적률822.18%

회사 설립 이후 여러 번의 사옥 이전이 있었다. 최초의 사옥은 2005년 2월 4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에 위치한 청하빌딩 2층에 자리했다. 2월 17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미켈란147 빌딩 3층으로 이전했다. 2006년 6월 16일 같은 구 논현동에 위치한 우진빌딩 4층으로 이전했고, 2007년 10월 18일 같은 동에 위치한 청구빌딩 2층으로 이전했다. 이곳이 바로 지금의 방탄소년단을 있게 한 곳이다. 2011년에는 청구빌딩에서 도보로 5분 거리인 서울빌딩 2층으로 사옥을 확장하여 운영했다. 약 1년 간 서울빌딩 사옥을 유지하다가 본사의 기능을 하던 청구빌딩 사옥에만 다시 집중했고 2012년 서울빌딩 2층에는 쏘스뮤직이 들어섰다. 이때부터 쏘스뮤직이 매니지먼트 업무를 담당했다. 이후 방탄소년단이 글로벌 아티스트로 급성장하면서 빅히트의 직원 수도 더불어 증가했고 이후 2017년 하반기에 같은 구 논현동의 학동역 부근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빅히트가 사옥을 옮기게 되면서 기존의 사옥인 청구빌딩에는 쏘스뮤직이 들어섰다. 2018년 11월에 같은 구 대치동에 위치한 엠디엠타워로 또 다시 이전하여 3개 층만 임차해 사용했다.[3]

2021년 상반기 무렵 빅히트의 사옥으로 사용했던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엠디엠타워에서 2020년 1월 완공한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2 '용산 트레이드 센터'(YTC)로 확장 이전했다. 빅히트 용산 신사옥은 지하 7층에서 지상 19층에 이르는 총 26개 층 규모로 엘리베이터 개수만 무려 12대이며 건물 전체를 임차하여 사용한다.[4][5] 내부 인테리어를 마치고 본래 입주 예정일보다 늦어진 2021년 상반기에 입주했다. 용산 신사옥을 직접 매입할 수 있었는데도 171억원 가량의 보증금과 연 180억 원에 달하는 월세를 지출하는 이유는 주 수입원이 외화라서 건물 매입을 위해 대량 환전을 해야 하므로 세금을 중복으로 부담하는 것보다 임차를 택해 현금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낫기 때문이다.[6]

2021년 3월 19일 HYBE로 사명이 변경되고 브랜드가 공개되며 민희진 CBO의 주도로 리뉴얼된 신사옥의 모습이 공개되었다. 원래 용산 트레이드센터 건물은 용산 한가운데 위치한 건물로 수익을 위해 지어진 센터 코어형의 전형적인 임대형 오피스 건물이었지만,[7] HYBE 사옥으로 결정되면서 용도에 맞게 전면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HYBE 사옥은 연면적 2만 평 규모로 19개 층이 크게 5개 블록으로 나뉜다. 지하 2층부터 1층은 공공시설, 2~3층은 대형 특수시설, 4~6층은 소형 특수시설, 7~16층은 아카이빙 룸을 포함한 사무 공간, 17~19층은 복지시설이다. 평면적으로는 코어를 중심으로 15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전 층에 걸쳐 총 300여 개 단위 공간이 그리드 체계 안에서 유동적으로 결합되고 변용되도록 모듈 시스템을 만들었다. 일정 면적 이상이 필요한 특수시설들의 경우 단면적으로 공간을 통합했다. 또한 5개의 원칙(평면 구성, 구축, 재료 사용, 장식 배제, 환경과 적응)을 세워 전 층이 조금씩 다른 특징을 갖더라도 일관성을 갖도록 했다. 신사옥 내에는 멀티 레이블 및 다양한 관계사들을 위한 사무실, 안무연습실, 음악작업실, 문화시설, 사내식당, 포토스튜디오 등 다양한 업무시설이 층별로 마련되었다. FRITZ와 협업해서 만든 'HYBE FRITZ'가[8] 사내에서 운영중이며, 하이브의 베이커리 'Bang & Baker's'도[9] 운영한다.#

지하 1~2층은 연습실로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아티스트 관련 전시 공간인 'HYBE INSIGHTS'가 있었다. 온라인 예약제로 운영되었으며, 2023년 1월 15일까지 본사 사옥 지하에서 운영하다가 아티스트가 늘어남에 따라 공간이 부족해지며 해당 공간이 아티스트 전용 시설로 바뀌었다.

여러 아이돌의 자체 컨텐츠를 통해 사옥 내부 모습이 공개되었는데, 2024년 2월 18일 방영된 MBC 전지적 참견 시점 지코 편에서 훨씬 상세하게 사옥 내부 구조와 특징이 공개되었다. 사옥 내에 엘리베이터만 11대가 있다고 하며, 4층에는 외부 샵을 이용하지 않고도 메이크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고 한다. 7층에서 16층까지 있는 각 레이블 별 오피스 공간은 지정좌석 없이 사전에 아무 자리나 예약해 쓸 수 있는 구조이며[10], 18층의 구내식당은 한식과 양식 택1이 가능하며 식단 관리가 필요한 연습생이나 아티스트들을 위한 샐러드바가 별도로 상시 구비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3개 층이 연결된 구조의 피트니스 룸의 구조도 전부 공개되었다.[11]


4.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HYBE/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경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HYBE/경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1. 발표 및 설명회[편집]



#업로드일제목링크
12019. 8. 25.Big Hit Corporate Briefing with the Community (2H 201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020. 2. 5.Big Hit Corporate Briefing with the Community (1H 202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020. 8. 13.Big Hit Corporate Briefing with the Community (2H 202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2021. 2. 18.Big Hit Entertainment x Universal Music Group | Strategic Partnership Announcemen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2021. 3. 19.HYBE: NEW BRAND PRESENTATI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2021. 4. 5.HYBE x Ithaca Holding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2021. 11. 4.2021 HYBE BRIEFING WITH THE COMMUNIT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2022. 11. 10.2022 HYBE BRIEFING WITH THE COMMUNITY[1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2. 컨퍼런스 콜[편집]


IR자료실 실적자료

#일정제목링크
12021. 2. 23.2020 4분기 및 연간 실적발표#
분기 매출 3,123억 원 기록(전년 동기 대비 +117%)
연매출 7,963억 원 기록(전년 대비 +36%)
22021. 5. 4.2021 1분기 실적발표#
분기 매출 1,783억 원 기록(전년 동기 대비 +29%)
32021. 8. 5.2021 2분기 실적발표#
분기 매출 2,786억 원 기록(전년 동기 대비 +79.2%)
42021. 11. 4.2021 3분기 실적발표#
분기 매출 3,410억 원 기록(전년 동기 대비 +79.5%)
52022. 2. 22.2021 4분기 및 연간 실적발표#
분기 매출 4,598억 원 기록(전년 동기 대비 +48%)
연매출 1조 2,577억 원 기록(전년 대비 +58%), 연예기획사 최초 연매출 1조 원 돌파.
62022. 5. 3.2022 1분기 실적발표#
분기 매출 2,850억 원 기록(전년 동기 대비 +59.8%)
72022. 8. 3.2022 2분기 실적발표#
분기 매출 5,122억 원 기록(전년 동기 대비 +83.8%)
82022. 11. 3.2022 3분기 실적발표#
분기 매출 4,455억 원 기록(전년 동기 대비 +30.6%)
92023. 2. 21.2022 4분기 몇 연간 실적발표#
분기 매출 5,353억 원 기록(전년 동기 대비 +16.9%)
연매출 1조 7,780억 원 기록(전년 대비 +41.6%)
102023. 5. 2.2023 1분기 실적발표#
분기 매출 4,106억 원동기 최대 기록(전년 동기 대비 +44.1%)
102023. 8. 8.2023 2분기 실적발표#
분기 매출 6,210억 원동기 최대 기록(전년 동기 대비 +21.2%), 연예기획사 최초 반기 매출 1조 원 돌파.
112023. 11. 2.2023 3분기 실적발표#
분기 매출 5,379억 원동기 최대 기록(전년 동기 대비 +20.7%)
92024. 2. 26.2023 4분기 몇 연간 실적발표#
분기 매출 6,086억 원동기 최대 기록(전년 동기 대비 +14.1%)
연매출 2조 1,781억 원역대 최대 기록(전년 대비 +22.6%), 연예기획사 최초 연매출 2조 원 돌파.



6. 지배 구조[편집]



6.1. 주주 구성[편집]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방시혁 외 34인
57.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방시혁
31.5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넷마블
18.0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두나무
5.53
파일:미국 국기.svg

스쿠터 브라운
1.23
파일:미국 국기.svg

↳Pierre Thomas
0.35
파일:미국 국기.svg

↳Kevin Lee
0.3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윤기
0.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민
0.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형
0.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정국
0.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호석
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남준
0.14
김석진0.13
박지원0.12
한성수0.06
↳김태호0.05
↳이경준0.04
↳신영재0.03
↳David Bolno0.03
↳한현록0.02
↳박용한0.02
↳이명학0.02
↳김서영0.02
↳가종현0.02
민희진0.01
↳이창우0.01
↳이다혜0.01
국민연금공단7.63
우리사주조합0.1
기준일: 2023년 6월 30일 HYBE 주식 대량 보고서


6.2. 계열사[편집]


파일:하이브 계열사_1.png파일:하이브 계열사_2.png
  • 자료는 HYBE 사업보고서에 첨부된 종속기업표 이다.
    • QC미디어홀딩스는 Ithaca Holdings 산하이다.
    • 빌리프랩 지분율 100%로 변경.[13]
    • HYBE INSTITUTION 청산[14]
    • HYBE LATIN AMERICA 설립.[15]
    • Exile Music 인수[16]

기업집단의 명칭계열 회사
하이브상장비상장
18586

하이브는 하이브 본사와 미주 지역 본사인 하이브 아메리카(HYBE AMERICA)로 구성되며, 사업적으로는 레이블, 솔루션, 플랫폼으로 구분된다고 발표했다.[17] 레이블은 각자 독립성, 독창성을 유지하고 강화하면서 크리에이티브한 활동을 하는 회사들이고, 솔루션은 그 레이블들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2차, 3차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고, 플랫폼은 하이브의 모든 컨텐츠와 서비스를 연결하고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고 전했다.


6.2.1. 레이블[편집]





6.2.2. 솔루션[편집]





6.2.3. 플랫폼[편집]





6.2.4. 기타 관계회사[편집]





7. 소속 아티스트[편집]


  • HYBE 공식 홈페이지 참고.[순서]


7.1. 총괄 프로듀서[편집]


  • 방시혁이 총괄 프로듀싱하는 대부분의 곡 정보(Credit)에는 작사 또는 작곡 한 쪽에만 참여해도 작사, 작곡에 똑같이 이름을 올린다. 그 이유는 저작권료를 나눌 때 작사 50%, 작곡 50%의 비중으로 배분되는데 보통 작사나 작곡의 공동 작업자 수가 다르고 이렇게 되면 사람 수가 적은 쪽이 돈을 더 많이 가져가기 때문이다. 참여진을 한꺼번에 같이 올리면 한 곡 당 기여한 비중대로 저작권료가 배분되고, 해외에서도 팀으로 작업하는 경우 'songwriter'로 묶어서 곡 정보에 올리는 경우가 많다.[18] 공통적으로 매년 1년간 방대한 양의 아티스트 비하인드 영상 기록을 담은 DVD와 포토북이 포함된 '메모리즈'를 판매, 데뷔일 기념으로 약 1~2주 동안 미공개 사진 및 영상을 공개하는 콘텐츠 대잔치 축제 기간[19]이 있고 세계관이 존재한다.


  • 한성수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이돌 그룹 - 세븐틴, 프로미스나인[20], TWS




7.2. 메인 프로듀서[편집]


대부분의 HYBE LABELS 소속 아티스트들은 곡, 보컬, 프로듀싱을 총괄하고 있는 메인 프로듀서가 있다. 물론 외부 프로듀서의 곡을 받아서 쓰기도 한다.

  • 빌리프랩
    • 보이그룹 ENHYPEN 메인 프로듀서 Wonderkid[I-LAND].
    • 걸그룹 ILLIT 메인 프로듀서 VINCENZO[알유넥스트].

  • 쏘스뮤직
    • 걸그룹 LE SSERAFIM 메인 프로듀서 SCORE(13)[프로듀서13], Megatone(13)[프로듀서13].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보이그룹 세븐틴 메인 프로듀서 BUMZU[프리즘필터], WOOZI[세븐틴].
    • 보이그룹 TWS 메인 프로듀서 WASURENAI[BUMZU].

  • KOZ 엔터테인먼트
    • 보이그룹 BOYNEXTDOOR 메인 프로듀서 Poptime[프리즘필터].

  • ADOR
    • 걸그룹 NewJeans 메인 프로듀서 250[BANA], Jinsu Park[BANA].

  • HYBE LABELS JAPAN
    • 일본 현지화 보이그룹 &TEAM 메인 프로듀서 소마 겐다[앤오디션].
    • 일본 현지화 LDH 합작 걸그룹 MOONCHILD 메인 프로듀서 알리사[iCONZ], ØMI[LDH].



7.3. 과거 소속 아티스트[편집]


  • 쏘스뮤직
    • 여자친구 - 2021년 5월 22일 전속 계약 종료.
    • 김가람 - LE SSERAFIM 전 멤버. 2022년 7월 20일 전속 계약 해지.[21]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뉴이스트 - 2022년 3월 14일 전속 계약 종료.[22]
    • 장규리 - 프로미스나인 전 멤버. 2022년 7월 31일 전속 계약 조기 종료.[23]
    • 예하나, 성연 - 프리스틴 멤버. 그룹 해체 이후 솔로로 소속사에 남았고 2024년 3월 21일 전속 계약 종료.



7.4. 데뷔조 연습생[편집]


  • 공식 계정에 공개된 데뷔조 연습생.




8. 타사와의 관계[편집]





9. HYBE X 네이버 웹툰[편집]





10. HYBE JAPAN TV[편집]


파일:HYBE JAPAN TV 로고.png

#방송일아티스트소개 영상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본방)파일:후지 테레비 TWO 로고.png (완전판)
12022. 6. 28.2022. 7. 10.세븐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022. 7. 26.2022. 8. 7.프로미스나인
LE SSERAFIM
Part.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022. 8. 30.2022. 9. 11.투모로우바이투게더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2022. 9. 27.2022. 10. 9.&TEAM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2022. 10. 28.2022. 11. 6.프로미스나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관련인물[편집]





12.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3. 여담[편집]



  • HYBE LABELS 산하 한국 레이블들은 분기별로 악성 댓글과 게시물에 대해 고소 조치 후 공지를 내고 있다. 같은 날 함께 공지되며 고소, 처벌 진행 상황이 포함된다.

  • 2005년에 방시혁 대표가 설립한 회사 사명인 'Big Hit Entertainment'에서 Hit는 방시혁의 "Hitman" Bang이라는 필명에서 따온 것이다. "Hitman" Bang, Big Hit Entertainment, Hit It Audition, BIGHIT MUSIC.

  • HYBE의 전신인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는 과거에 크게 주목받지 못한 연예 기획사였으나, 방탄소년단의 국제적인 대성공 덕분에 대한민국4대 대형 기획사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리고 4대 대형 기획사 모두 설립자의 이름을 딴 회사명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24]

  • 빅히트의 퍼포먼스 디렉터 손성득은 2017년부터 안무가 출신 정직원 채용을 회사에 건의 및 추진해 왔다. 그리고 그 정직원 안무가에게 사무직 일도 포함시켜서 사람마다 다른 안무 스타일을 분석 및 보완하고 회사와의 의견 조율 등도 맡기도록 했는데 이후 다른 엔터테인먼트 회사에서도 이를 참고해서 안무가 출신 정직원 채용을 늘려가고 있다고 한다.

  • 2005년 빅히트 창립 때부터 직급 대신에 '님' 자 호칭을 사용했다. 신입사원이든 대표든 성도 안 붙이고 이름에 '님'을 붙이며 수평적 소통을 중시하고 대부분 적응하는 분위기라고 한다. 2021년 3월에 공개된 HYBE 뉴브랜드 프레젠테이션 영상에서도 직급은 본인 소개 시에만 언급되고 호칭은 이름에 '님'을 붙이며 편하게 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2021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에 포함됐다.[25]#

  • 방시혁 의장과 방탄소년단표지 모델을 장식한 2022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에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에 2년 연속 선정됐다. HYBE는 '팝 파워하우스' 부문 리더로 선정되었으며, '음악 산업의 혁신을 만들고 있는 기업'으로 소개되었다.

  • 2024년 현재, HYBE LABELS 소속 아티스트들의 음반 판매량이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2022년 7월에 tvN 예능 출장 십오야 HYBE 야유회가 방영되었으며, 방송에는 이현, 백호, 황민현, SEVENTEEN[26], fromis_9, TOMORROW X TOGETHER, ENHYPEN, LE SSERAFIM 등 총 36명의 멤버들이 총출동했다.[27]

  • 2022년 11월 19일, HYBE가 게임 사업 진출을 위해 별이 되어라2: 베다의 기사들의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박지원 대표는 "게임 사업을 발전시켜 나가면서 지분투자 및 인수합병(M&A)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고, 방시혁은 "게임 사업 전반 가치사슬을 확장해 나가면서 엔터사업 가치 또한 제고할 것이며, 음악 사업을 일궈낸 혁신 못지 않은 성과를 내고 게임 사업까지 잘하는 회사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HYBE IM은 자체 개발 게임 및 HYBE, YG 아티스트 IP 게임 라이센싱을 영위하고 있으며 소형 게임사들과 계약해 게임 퍼블리싱도 하는 중이다. 방시혁이 직접 게임사 임원진 출신을 HYBE 임원진으로 영입하고 이토록 게임 사업 진출에 적극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이 풀이된다.
    • 게임 산업이 음악 산업은 오락이라는 측면에서 엔터테인먼트에 포함된다. 그래서 방시혁 의장은 "게임은 엔터테인먼트와 관련한 모든 요소들이 함축된 대단히 매력적인 콘텐츠이며,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는 것이 플랫폼 기업의 숙명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기업'이라는 비전을 가진 하이브가 게임 사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욱 새롭고 즐거우며 다채로운 시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 기업 경영 측면에서 게임 산업이 음악 산업보다 훨씬 더 거대하고 안정적인 시장이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기업 성장 및 포트폴리오 안정화 측면에서 사업을 다각화시켜야 하고 게임 사업에 진출하는 것이다.
  • 2024년 5월 15일 공정거래위원회에 의해 공시대상 기업집단으로 지정되면서 연예 기획사 최초로[28] 준대기업이 되었다. #

[1]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설립일. '(주)하이브'로의 사명 변경은 2021년 3월 30일이다.[2] 기존의 “Music & Artist for Healing”에서 변경된 회사 슬로건이다.[3] 2021년 1월 중순부터 쏘스뮤직도 엠디엠타워 3층으로 오게 되어서 같은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가, 2021년 3월 22일부로 두 엔터사 모두 용산 HYBE 건물로 이전했다.[4] 임대는 증권신고서 상으로 2025년 4월까지 계약된 상태이다. [5] 사옥 엘리베이터 구조[6] 요즘은 대기업들도 건물 매입을 안 하는 추세다. 심지어 소유 중이던 건물까지 매도해서 굳이 임대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을 정도이고, 그 이유는 현금 유동성 때문이다. 기업에 따라 부동산에 큰 금액이 묶여 있는 것보다 부동산에 쓸 현금을 재투자하는 것이 훨씬 더 나은 방식이기 때문이다.[7] 저층 부분은 예식장 용도로, 기준 층은 임대형 오피스로 사용될 계획이었다.[8] 민희진 CBO는 일과 커피가 재밌는 관계라고 생각한다며, 프릳츠와 협업해 'HYBE FRITZ'를 만들어 신사옥에 오픈했다.[9] 방시혁 대표는 사업이 잘 안 되면 에그타르트 집을 차릴 것이라 한 적이 있다.[10] 지코가 소속 가수 겸 총괄 프로듀서로 있는 KOZ 엔터테인먼트는 11층을 사용하는데, 지코 역시도 미리 예약한 자리에 앉아 세팅을 하는 모습이 담겼다.[11] 참고로 이를 본 브라이언이 "회사에 피트니스 센터가 있냐"며 탄성을 자아내기도 했다.[12] 비공개 처리됨.[13] 지분 추가 인수 전 자료[14] 청산 전 자료[15] 설립 전 자료[16] 인수 전 자료[17] NEW BRAND PRESENTATION.[순서] 공식 홈페이지 아티스트에 HYBE에 인수된 LABELS 순서, 그 다음 데뷔일 순서, 그 다음 생년월일 순서로 한 줄로 나열되어 있다.[18] 해외에서 받은 곡은 저작권료를 그 나라에서 한 번 떼고 와서 비율이 약간 다르다.[19]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에는 과거에 8eight, 2AM, 글램 등 여러 가수들이 있었지만, 그중에 방탄소년단이 데뷔 1주년인 2014년부터 데뷔일 기념 축제를 최초로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사연이 있는데 당시 빅히트는 작은 기획사 시절이었다. 방탄소년단도 아직 인지도가 부족한 신인 시절이라 방송이나 행사에 거의 나갈 수 없었지만, 이대로 시간만 보내지 말고 팬들을 위해서 뭐라도 해보자라고 멤버들이 직접 회사에 건의하여 시작된 것이 지금의 데뷔일 기념 축제이다.[20] 2021년에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와 전속 계약 하기 전인 2018년 데뷔때부터 한성수가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었다.[I-LAND] 빌리프랩 사내 보이그룹 서바이벌 프로그램 I-LAND의 프로듀서 심사위원.[알유넥스트] 빌리프랩 사내 걸그룹 서바이벌 프로그램 알유넥스트프로듀서 코치.[프로듀서13] A B 프로듀서 13 소속.[프리즘필터] A B 뮤직 퍼블리셔 (작곡가 회사) 프리즘필터 소속.[세븐틴] 보이그룹 세븐틴 멤버.[BUMZU] 프리즘필터 소속인 BUMZU의 새로운 이름.[BANA] A B Beasts And Natives Alike 소속.[앤오디션] HYBE LABELS JAPAN 사내 보이그룹 서바이벌 프로그램 &AUDITION-The Howling의 프로듀서 심사위원.[iCONZ] LDH 서바이벌 프로그램 iCON Z ~Dreams For Children~/여성 부문 심사 심사위원이자 HYBE LABELS JAPAN 소속 프로듀서.[LDH] 일본 LDH 소속.[21] 과거 논란으로 인해 중도 계약 해지되었다.[22] JR, 아론, 은 타 소속사로 이적했고, 백호, 민현은 솔로로 재계약했다.[23] 프로미스나인의 나머지 멤버들은 2021년 8월에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로 이적 당시 새로운 전속 계약을 체결했으나, 장규리는 이전 소속사와 원 계약 조건을 유지했고 이후 서로 합의하에 전속 계약을 조기 종료했다.[24] SM엔터테인먼트 - 수만, YG엔터테인먼트 - (현석) , JYP엔터테인먼트 - 박진영, Big Hit 엔터테인먼트 - "Hitman" Bang.[25] 한국 기업 가운데는 HYBE와 삼성 단 2곳만 이름을 올렸다.[26] 승관, 호시, , 조슈아, 디에잇, 민규, 디노 7명.[27] 방탄소년단은 2021년에 달려라 방탄 콜라보로 출장 십오야에 단독 출연했다.[28] 굳이 따진다면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여러 산하 엔터기획사 자회사 및 실직적으로 그부서에 해당되는 SM엔터테인먼트를 포함하여 가진 카카오가 엔터사업부 최초의 대기업일꺼 같지만 카카오의 본업은 엔터사업이 아니니 베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