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G1방송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G1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G1(동음이의어) 문서
G1(동음이의어)번 문단을
G1(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G1방송 로고.sv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G1방송 로고.svgNEWS
[ 펼치기 · 접기 ]

8 뉴스뉴스라인G1 뉴스뉴스퍼레이드 강원
월-금,일 20:30 | 토 20:25월-금 07:20월-금 10:15월-금 17:30











파일:G1방송 로고.svg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주식회사 G1방송
G1 Broadcasting Company
||
강원도 대표방송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설립2001년 4월 23일 (GTB 강원민방)
개국TV2001년 12월 15일
라디오2003년 10월 10일
국명 변경1차2011년 10월 10일 (G1 강원민방)
2차2021년 1월 4일 (G1방송)
본사 소재지


G1방송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면 소양강로 274 (장학리)
채널TV파일:G1방송 로고.svg
라디오파일:G1방송 로고.svg Fresh FM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링크S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뉴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라디오
실시간파일:G1방송 로고.svg TV 온에어, G1 FRESH FM
법인 정보
[ 펼치기 · 접기 ]

설립 2001년 4월 23일
소재지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면 소양강로 274 (장학리)
모기업파일:SG건설 로고.svg
자회사강촌레일파크
G1프로덕션
G1방송플러스
대표자조창진, 전종률
업종방송사업, 문화서비스업, 광고사업
기업 분류중견기업
상장유무비상장
자본금160억원(2022년 기준)
매출액219억 4,347만 7,618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3억 7,762만 5,661원(2022년 기준)
순이익13억 2,231만 7,134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445억 2,080만 8,071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24억 6,291만 5,113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5.86%(2022년 기준)
직원 수95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파일:G1방송 로고.svg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G1 TV
G1방송 텔레비전
||
파일:Hi G1 로고.png[DMB]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개국2001년 12월 15일
운용 종료2012년 10월 25일 (ATV)
ATV
HLCG-TV[1]
HLCG-DTV
HLCG-UHDTV
HLCG-TDMB
채널
번호
ATV
57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춘천)]|54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원주)]|36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강릉)]|50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삼척)]
40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춘천)]|50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원주)]|16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강릉)],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태백)]
6-1
가상

5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IPTV)]/[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스카이라이프)]
36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평창)],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횡성)]|55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강릉)]|6-1
가상

[2]
방송
품질
ATV
화질
NTSC-M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480/60㎐)][3]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FM 투 캐리어 스테레오)][4]
화질
ATSC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i)][5],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UHD 2160p(4K)][6]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스테레오)][7],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H 3D Audio)][8]
화질
T-DMB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240p(QVGA))]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493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BSAC)]
방송망파일:SBS 로고.svg 네트워크
언어한국어
가시청권역강원특별자치도
운영주체
편성
파일:G1방송 로고.svg 편성제작팀
릴레이
파일:SBS 로고.svg 콘텐츠전략본부
방송책임
편성
권오성 (편성제작국장)
광고
소유파일:G1방송 로고.svg
||

1. 개요
2. 연혁
3. 로고송, ID
4. 지배구조
5. 사옥
6. 평가
7. 기타
8. 제작 프로그램
8.1. 뉴스
8.2. 시사 / 교양
8.3. 예능
8.4. 라디오
9. 종영 프로그램
10. 송출현황
10.1. 방송 지역
11. 임직원
11.1. 편성제작국
11.1.1. 아나운서
11.1.1.1. 현직
11.1.1.2. 전직
11.1.2. 리포터
11.2. 보도국
11.2.1. 현직 기자
11.2.1.1. 보도국
11.2.1.2. 취재팀
11.2.1.3. 영상취재팀
11.2.1.4. 영서지사
11.2.1.5. 영동지사
11.2.1.6. 서울지사
11.2.2. 전직 기자
11.3. 경영국
11.4. 기술국
1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사랑해요 강원 좋은 방송! (강원도 대표 방송)[9]

아 G1! (G1의 새이름 G1방송)


강원특별자치도 전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상파 민영 방송사. SBS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고 있기 때문에 SBS 프로그램의 77%를 릴레이한다.[10] 방송국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면 장학리 635에 있다.


2. 연혁[편집]


파일:GTB강원민방 로고.svg파일:G1강원민방 로고.svg파일:G1방송 로고.svg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1세대
2001년 12월 15일 ~ 2011년 10월 9일
2세대
2011년 10월 10일 ~ 2021년 1월 3일
3세대
2021년 1월 4일~현재
원래의 사명은 강원민방, 영문 약칭 GTB(Gangwon Television Broadcasting)였다. 그 이후 2011년 10월 10일 창사 10주년을 맞아 새로운 사명을 공모하였으며, 인터넷 홈페이지와 방송을 통해 줄기차게 홍보하였다. 새로 바꾼 사명은 G1강원민방. 의미는 Gangwon No.1 Broadcasting이라고 한다. 이후 사명을 한번 더 G1방송으로 변경했다. 참고로 FM 방송은 G1 Fresh-FM(GTB Fresh FM에서 개명).

당시 1차, 2차 지역민방이 순차적으로 개국한 와중에도 거의 끝까지 지역민방이 들어오지 않았던 강원도제주도에 SBS를 송출할 목적으로, JIBS와 함께 3차 지역민방 사업자로 선정되어 개국한 방송국이다. 2001년 12월 15일 텔레비전 방송이 개국했다. 개국 이후 보름 동안은 JIBS, OBS경인TV와 마찬가지로 방송국이 소재한 춘천권 케이블 방송[11]과 중계 유선으로 방송이 나가지 않았다고 한다. # 송출료 협상이 지지부진했기 때문. 이후 춘천 지역 유선과 케이블 방송을 독점 송출하는 강원케이블방송이 2001년 12월 27일부터 SBS를 송출하던 채널 13번을 통해 GTB 프로그램을 내보내기로 전격 합의하였고, 송출을 시작했다. 인터넷 온에어도 없었는데, 특이하게도 원주유선방송 홈페이지에서 GTB강원민방 온에어를 서비스했다.

일단 강원도에 방송국이 지어진 것은 의도가 좋았지만, 자본난에 시달리기도 했고 조그만한 사옥에 직원들도 약 100명 정도로 많지 않기 때문에 여러모로 고생한다. 그래도 GTB 때 보다는 좀 나은 듯.

2021년 1월 4일 창사 20주년을 맞아 지역방송을 넘어 글로벌 시대 지역방송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사명을 G1방송으로 변경했으며 2021년 6월 7일에는 스튜디오를 전면 개편했다.

2022년 10월부터 지역민방 중에 CJB에 이어 방송종료 애국가가 신규 버전으로 바뀌었다.

2023년 7월부터 JTV, CJB, KBC에 이어 토요일 24시간 방송을 하지 않게 되었다.

3. 로고송, ID[편집]


기간문구
2001년 12월 15일 ~ 2003년 12월 31일강원사랑 열린방송 우리의 GTB
강원사랑 열린방송 GTB
2004년 1월 1일 ~ 11월 29일여러분을 사랑합니다 열린 방송 GTB 젊음을 느껴보세요 강원민방 GTB
2004년 11월 30일 ~ 2011년 10월 9일강원사랑 열린방송 GTB 강원민방
강원사랑 열린방송 우리의 GTB~!
[12]
2011년 10월 10일 ~ 11월 30일사랑해요 강원 좋은 방송 (Good Great Global) 아~ G1
2011년 12월 1일 ~ 현재사랑해요 강원 좋은 방송 (강원도 대표방송) 아~ G1[13]



4. 지배구조[편집]


2022년 12월 31일 기준.

주주명지분율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G건설 외 2인39.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태영건설7.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양5.3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아모레컨벤션웨딩5.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YS홀딩스5.0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림산업5.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림운수5.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금강개발5.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우리사주조합0.4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기타22.70%39인


5. 사옥[편집]


파일:1631152324244.jpg
G1방송 본사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면 소양강로 274 (장학리 635)



6. 평가[편집]


2013년 11월 15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의결하고 공개한 2012년도 방송평가 결과에서 77.01점을 받아 10개 지역민방 중 최하 평가를 받았다. 기사 2017년 11월 27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의결하고 공개한 2016년 방송 평가 결과에서 83.87점으로 10개 지역민방 중 최하 평가를 받았다. 다만, 1위와 꼴찌의 점수 차이가 4점밖에 나지 않고, 변별력에 문제가 있다는 방통위 내부 의견도 나오고 있어 큰 의미는 없다. 기사

다만 이와는 별개로 뉴스 스튜디오 디자인과 CG 등은 SBS 못지 않게 잘 만든다. DLP 비디오월도 설치되어 있어서 뉴스 오프닝이 멋지다. 뉴스는 타 지역민방에 비해 영상미도 높고 깔끔하고 글꼴이 예쁘다.


7. 기타[편집]







8. 제작 프로그램[편집]



8.1. 뉴스[편집]




8.2. 시사 / 교양[편집]




8.3. 예능[편집]




8.4. 라디오[편집]




9. 종영 프로그램[편집]



10. 송출현황[편집]



송신소채널ㆍ주파수주소
DTVFMDMB
화악산40--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2리 228-15
대룡산16105.113C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백운산50-13C강원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116-1
윗도골-103.1-강원 원주시 소초면 수암리 산216-2
태기산36(HD)
34(UHD)
88.313C강원 횡성군 둔내면 태기리 산1-4
괘방산16(HD)
55(UHD)
106.113C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
초록봉44--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34-2
남산47--강원 홍천군 홍천읍 갈마곡리 산68
함백산1699.3-강원 태백시 상장동 산176-1
봉황산37-13C강원 삼척시 정상동 산41
청대산[25]25101.313C강원 속초시 도문동 산151
대관령34(UHD)--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산1
평창39--강원 평창군 평창읍 노론리 산27-1(장암산)

10.1. 방송 지역[편집]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으로 방송하며 영서 및 영동지역을 통틀어 방송하며, 경우에 따라 경기도 구리시, 남양주시, 포천시, 여주시, 양평군, 이천시, 가평군 등 일부 지역이나 경상북도 영주시, 울진군 일부, 충청북도 충주시, 단양군, 제천시 일부에서도 볼 수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의 일부 지역에도 물론 수신 가능하다.







11. 임직원[편집]




11.1. 편성제작국[편집]




11.1.1. 아나운서[편집]



11.1.1.1. 현직[편집]



11.1.1.2. 전직[편집]



11.1.2. 리포터[편집]




11.2. 보도국[편집]




11.2.1. 현직 기자[편집]



11.2.1.1. 보도국[편집]



11.2.1.2. 취재팀[편집]



11.2.1.3. 영상취재팀[편집]



11.2.1.4. 영서지사[편집]


11.2.1.5. 영동지사[편집]



11.2.1.6. 서울지사[편집]



11.2.2. 전직 기자[편집]




11.3. 경영국[편집]




11.4. 기술국[편집]



12.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15:48:06에 나무위키 G1방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DMB] [1] 이 TV는 아날로그 TV를 말하며 지난 2012년 10월 25일 오후 2시, 이미 대한민국 강원도에선 방송 4사인 KBS, MBC, EBS, G1방송의 수신 송출이 종료됨에 따라 문서에도 가로 줄이 쳐져있는 것도 바로 이 이유이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TV는 아래 문단의 DTV(SD, HD) 혹은 UHDTV. 즉 디지털 TV이다. G1방송의 경우 2001년 GTB로 개국했을 때부터 부여받아 10년 10개월간 사용했다.[2] 기존 디지털 채널과 UHD채널의 가상 번호가 동일한 이유는 별개의 방식, 별개의 송신망으로 송출되고 있기 때문이다.[3] 2001년 12월 15일 ~ 2005년 6월 1일(단독 송출, 5년 6개월) 2005년 6월 1일(춘천권)/2006년 1월 1일(원주 및 영동권) ~ 2012년 10월 25일(병행 송출)[4] 2001년 12월 15일 ~ 2005년 6월 1일(단독 송출, 5년 6개월), 2005년 6월 1일(춘천권)/2006년 1월 1일(원주 및 영동권) ~ 2012년 10월 25일(병행 송출)[5] 2005년 6월 1일(춘천권)/2006년 1월 1일(원주 및 영동권) ~ 2012년 10월 25일(480/60㎐(NTSC)와 병행 송출), 2012년 10월 25일 ~ 2017년 12월 28일(단독 송출), 2017년 12월 29일(강릉, 평창, 횡성) ~ 현재(2160p(4K)와 병행 송출중). 프로그램은 자체 프로그램 외에도 SBS의 HD 제작 프로그램을 따른다.[6] 2017년 12월 29일(강릉, 평창, 횡성) ~ 현재(1080i와 병행 송출중). SBSUHD 제작 프로그램을 따른다.[7] 2005년 6월 1일(춘천권)/2006년 1월 1일(원주 및 영동권) ~ 2012년 10월 25일(투 캐리어 방식 스테레오와 병행 송출), 2012년 10월 25일 ~ 2017년 12월 28일(단독 송출), 2017년 12월 29일(강릉, 평창, 횡성) ~ 현재(MPEG-H 3D Audio와 병행 송출중).[8] 2017년 12월 29일(강릉, 평창, 횡성) ~ 현재(2채널 돌비 디지털과 병행 송출중).[9] G1 런칭 초기에는 '사랑해요 강원 좋은 방송' 다음에 'Good Great Global'이라는 추임새가 들어가 있었으나, 얼마 후 '강원도 대표방송'으로 바뀌었다.[10] KTV의 프로그램을 구매해 틀기도 한다.[11] 당시 GBN 강원방송. 이후 CJ헬로비전이 강원방송을 마지막으로 인수합병하면서 현재는 강원도 전역이 LG헬로비전 사업구역이다.[12] Fresh FM에서는 GTB 대신 Fresh FM이 들어간다.[13] Fresh FM에서는 강원도 대표방송이 생략된다.[14] TV 자막광고 포함[15] 김우진, 김수민 진행.[16] 개그우먼 박소영 진행, 현재 시즌 4가 방영중이다.[17] 김우진, 오서윤 진행.[18] 이 프로그램의 진행자 전정봉은 당시 카이스트 교수라고 소개되었으나 나중에 학력 위조로 밝혀져 법정구속되었다.[19] 강원도 지역방송 최초의 교양토크쇼였고, 보조 MC는 개그우먼 이희구였다. 초대 출연자는 고성 출신 이주일.[20] 비슷한 시기 MBC강원4사도 아름다운 음악세상을 방송했는데 퀄리티는 이쪽이 더 나았다. 그러나 2004년 제작본부장으로 부임한 SBS 출신 차성모에 의해 인기 프로임에도 폐지되었다.[21] 정신적 후속작으로 강원매거진7이 방송중이다.[22] 개그맨 김학래가 진행했다.[23] KMTV에서 제작한 음악 프로그램으로 2006년까지 자체편성으로 내보냈다.[24] 폐광 지역이자 석회암 지형인 정선군, 태백시, 영월군, 삼척시를 일컫는 말이다.[25] 2016년 신설.[26] 단, 라디오의 경우 영월군인제군에서는 청취가 어렵다.[SBS/OBS] SBS, OBS 구역이다.[CJB] CJB 구역이다.[TBC] TBC 구역이다.[SBS] SBS 구역이다.[27] 동부지역(강동구, 광진구, 중랑구 일부)[28]현대HCN, LG헬로비전 아나운서.[29] 前 포항MBC, KBC 아나운서, SBS 기상캐스터.[30]서경방송 아나운서[31]KBS순천방송국 아나운서[32] 재직 당시엔 박종재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33]목포MBC 아나운서[34] 유한솔과는 입사 동기이다.[35]GS SHOP 쇼핑호스트[36] 1993년생. 2018 미스코리아 부산-울산 미스 BS더바디성형외과 수상. 2020년 12월 4일을 끝으로 퇴사 수순을 밟고 프리랜서로 활동한다.[37] 특이하게 영상기자를 한 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