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계 전동차

덤프버전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R_Kyushu_305_series_W1.jpg
외부
차량 정보
열차 형식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량 수6량
운행 노선파일:JRK-JK.svg치쿠히선
파일:FM-kuko.svg공항선(직통)
도입년도2014년~2015년
제작회사파일:히타치 제작소 로고.svg
소유자파일:JR 큐슈 로고.svg
운영자
차량기지카라츠 차량센터
차량 제원
전장20,000㎜
전폭2,800㎜
전고4,050㎜
궤간1,067㎜
사용전류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영업최고속도85km/h
설계최고속도110㎞/h
기동 가속도3.5km/h/s
감속도상용 3.5km/h/s
비상 4.0km/h/s
운전보안장치ATO , ATC-9 , ATS-SK , EB 장치
제어 방식도시바 VVVF-IGBT[1]
동력 장치영구자석 동기전동기[2]
기어비14:91 (6.05)
제동 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모터 출력150Kw
전동차 비4M 2T

305계 영상 모음

1. 개요
2. 특징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치쿠히선의 지하철 직통형 직류 열차.

303계 전동차의 후속 모델로 노후화한 103계 1500번대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한 차량으로 2015년 2월부터 영업운전에 투입되었다. 다만 영업 운전 초기에 일부 장애가 발생하여, 밀려나갔던 103계 1500번대가 임시로 돌아오기도.


2. 특징[편집]


JR 큐슈 최초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와 축량식 대차 같은 최신기술을 잔뜩 도입했으며[3] 과도기적인 기존 JR 큐슈의 전동차와 비교하면 기술적으로 크게 진일보했고, 303계가 스테인리스 차체인것과 달리 305계는 817계 처럼 히타치의 A-Train 공법을 사용한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했다.

미토오카 에이지가 디자인하여 목재를 사용해서 상당히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인테리어도 볼 만하다.


기존 차량과 다르게 수도권에서나 볼 법한 요소가 많이 들어갔다. 대표적인 것이 도어 차임과 차내 LCD[4]. 이는 이후 생산된 BEC819계 전동차에도 적용되었다.

전체적인 배색은 817계 전동차와 비슷하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6:25:29에 나무위키 305계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신차 101~105편성5호선 신차, 7호선 신차도 이와 같은 소자와 견인전동기를 쓴다[2] 도시바 SEA-548형[3] 도쿄메트로 전동차와 같은 초기형 구동음도 아니고, 부산1호선 노후차량 대체분 전동차와 같은 바람소리를 내는 후기형 구동음도 아닌 바람소리이긴 한데 뭔가 낮고 굵은 과도기적인 구동음이다. 한큐 1000계 전동차 역시 동일한 구동음이었으나 해당 차량은 소프트웨어 갱신을 거치며 부산 1호선 전동차와 동일한 구동음으로 변경되었다.[4] 1화면으로 도입되었으나, JR 히가시니혼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2화면으로 증설하였다. E129계 전동차와 같은 방식이다. 브랜드명은 '트레인 채널 후쿠오카'이며 뉴스 및 날씨 정보, 광고, HKT48 영상을 송출하고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