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r1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아이유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스물셋 문서
스물셋번 문단을
스물셋#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수학적 성질
3. 날짜
4. 과학
5. 교통
5.1. 23번 시내버스
5.2. 철도
5.3. 도로
6. 방송
7. 스포츠
8. 대중매체
9. 문화재
10. 기타


23 = 9번째 소수


1. 개요[편집]


22보다 크고 24보다 작은 자연수. 9번째 소수로, 앞 소수는 19, 다음 소수는 29이다.


2. 수학적 성질[편집]


  • 연속하는 세 소수의 합이다. (5+7+11)
  • 이 수의 배수가 아닌 수에서 이 수로 나눌 경우 나타나는 순환소수의 주기가 무진장 길다(22자리[1]). 이 특징은 29, 47, 97 등에서도 나타나며, 또한 19, 317, 1031과 마찬가지로, 1이 23개 반복되는 11,111,111,111,111,111,111,111(111해 1111경 1111조 1111억 1111만 1111)은 소수다. 1이 늘어선 소수를 레퓨닛 소수(Repunit prime)이라 한다.
  • 5번째 오른편 절단 가능 소수이자 9번째 양편 절단 가능 소수이자 5번째 양면 소수이다.
  • 정사각형 종이로 정23각형을 접을 수 없다.

3. 날짜[편집]




4. 과학[편집]


바나듐(V)의 원자 번호.


5. 교통[편집]



5.1. 23번 시내버스[편집]




5.2. 철도[편집]


  • 개정 전 교대역의 역 번호(2호선)[2]
  • 개정 전 약수역의 역 번호(3호선)[3]
  • 개정 전 충무로역의 역 번호(4호선)[4]
  • 대구 도시철도 반월당역의 출구 수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23개다.


5.3. 도로[편집]




6. 방송[편집]




7. 스포츠[편집]


  • 농구황제 마이클 조던의 등번호로 유명하며, 사실상 마이클 조던의 상징이다. 조던에 이은 역대급 선수 르브론 제임스를 비롯한 많은 선수들이 조던을 리스펙하는 의미에서 등번호 23번을 달고 있다.
  • 축구 스타 데이비드 베컴레알 마드리드 CF로 이적한 이후로 선호했던 등번호이다. 자신이 마이클 조던의 팬이라서 이 번호를 쓴다고 본인이 밝혔다. 그리고 베컴의 영향인지 각 나라의 리그에서는 미드필더들이 자주 사용하는 번호이기도 하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은 23번째 동계 올림픽 대회였다.
  • 라파엘 반 더 바르트, 마르코 마테라치, 제이미 캐러거, 루크 쇼, 제르단 샤키리, 엠레 찬이 선호하는 번호다.
  • LG 트윈스차우찬 선수의 등번호이기도 하다.[5] 쓰는 이유는 풀카운트인 2스트라이크 3볼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대응하자는 의미라고 하는데, 현재는 개편되어 볼-스트라이크 순서로 바뀌었음에도 계속 사용중이다.
  • 2018년 한국 시리즈우승에 일조했던 前 SK 와이번스 외인 투수 메릴 켈리의 등번호였다.[6] 이후에는 삼성 라이온즈 출신 외야수 배영섭이 달았다가 배영섭이 팀을 떠나면서 2020년부터는 이건욱이 사용하고 있다.
  • 롯데 자이언츠-롤러코스터- 투수 고효준의 등번호이다.[7]
  • 월드컵 축구 본선에서 한 팀 선수는 후보 포함 23명이며, 본선에서 볼 수 있는 등번호 중 가장 큰 숫자다. 또한 대표팀 경기에서는 가장 마지막 등번호라는 점 때문인지 전체 스쿼드의 막내나 최고참, 혹은 어지간해서는 경기에 출전할 일이 없는 3선발 골키퍼가 주로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러시아 월드컵 이전까지는 대표팀 3선발 골키퍼인줄 알았던 이 분.
  • 올림픽 축구의 출전 선수 나이제한이 23세이다. 총 18명 중, 본선에서는 3명만 예외 적용 가능.
  • 아이스하키의 일반적인 로스터 제한이 23명이다. 스케이터 20명, 골리 3명.
  • 정민철, 라인 샌버그의 영구결번.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콜롬비아와의 경기 도중 심장마비로 쓰러져 사망한 카메룬의 축구선수 마르크 비비앙 푀[8]의 생전 마지막 팀인 맨체스터 시티영구결번이다.
  • 닛산자동차가 워크스 체제로 모터스포츠에 참여할 때 항상 내걸고 있는 엔트리 넘버다. 닛산을 고로아와세로써 니(2),산(3)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
  • 아스날에서 솔 캠벨아르샤빈의 등번호이다.


8. 대중매체[편집]


  • 강타의 솔로 1집 두번째 타이틀곡 스물 셋
  • 소설 원미동 사람들은 '원미동 23통 5반'을 배경으로 삼았다.
  • 만화 강철의 연금술사의 등장인물 반 호엔하임은 옛날에 노예 23호라 불렸다.
  • 짐 캐리 주연의 영화 "넘버 23"에 의하면 상당히 재수없는 숫자라고 한다.[9]
  •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로라 키니는 울버린의 초능력 유전자를 복제해 만들어진 클론으로, 웨폰 X 프로젝트의 23번째 개체라 X-23라는 코드네임이 붙었다.
  • 아이유CHAT-SHIRE MINI ALBUM 에 수록된 곡 이름이다. 스물셋 문서에 나와있다.
  • 밴드 블론드 레드헤드의 7집 정규 음반인 23
  • 밴드 혁오의 첫 정규앨범인 23
  • '데스노트'로 적힌 인간을 조종할수있는 최대시간이다.


9. 문화재[편집]




10. 기타[편집]




[1] 0.0434782608695652173913.[2] 현재는 223번이다.[3] 현재는 333번이다.[4] 현재는 423번이다.[5] 데뷔 초기에는 55번이었으나, 2008시즌부터 이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6] 입단 초기엔 56번이었다가 2016년에 23번으로 변경했다.[7] SK 와이번스 시절 번호는 15번, KIA 타이거즈 시절엔 35번이었다. 지금은 SSG 랜더스 65번.[8] 영구결번이 두 구단에서 지정되어있다. 다른 한 구단은 RC 랑스로 17번이 영구결번.[9] 2×3=6, 2÷3=0.666...인데, 독실한 기독교 신자들은 6이나 666을 불길한 숫자로 여기기 때문. 666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