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덤프버전 :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제14회 아시안 게임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XIV Asian Games
Busan 2002
파일: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로고.svg
파일:busan2002.poster.gif
대회 기간2002년 9월 29일 ~ 2002년 10월 14일
개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부산광역시[1]
슬로건새로운 비전, 새로운 아시아
New Vision, New Asia
주제가Frontier #
마스코트두리아
참가국44개국
경기 종목48개 종목
개회 선언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
선수 선서문대성
성화점화하형주, 계순희
개·폐회식장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1. 개요
2. 유치전
3. 주제곡
4. 역대 조직위원장
5. 정식 종목 및 경기장
5.1. 따로 문서가 개설된 종목
6. 마스코트
7. 메달 순위
7.1. 대한민국 메달 현황
7.1.1. 세부 종목 메달 현황
7.1.1.1. 금메달
7.1.1.2. 은메달
7.1.1.3. 동메달
8. 한국 측 스폰서
9. 기타



1. 개요[편집]


파일:부산 남북 공동입장.jpg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남북 공동입장
2002 부산 아시안 게임21세기 최초의 아시안 게임이자 1986 서울 아시안 게임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에 이은 대한민국의 세 번째 아시안 게임이다.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부울경 3개 지역에서 분산개최된 대회이다. 같은 해 여름에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을 치렀던 부산 아시아드 주 경기장을 주경기장으로 하여 실시되었다.

2. 유치전[편집]


2002년 하계 아시안 게임 유치 투표 과정
국가도시1차 투표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37유치 선정
파일:대만 국기.svg

가오슝4탈락
아시안 게임 역사상 최초로 경선이 벌어진 대회였다. 올림픽과 달리 경쟁이 덜했던[2] 아시안 게임 유치는 그동안 주로 단독 입후보를 통한 승인의 과정으로 진행됐다. 심지어 1970년1978년에는 당초 개최국이었던 대한민국싱가포르가 마지막 순간에 개최를 포기하며 발을 빼는 통에 태국이 1970 방콕 아시안 게임, 1978 방콕 아시안 게임으로 무려 두 차례의 소방수 역할을 하는 촌극도 있었다. 그러나 해당 2002년 대회는 21세기의 첫 대회라는 큰 상징성이 있었기 때문에 처음으로 올림픽처럼 경쟁이 벌어졌다.

부산에 맞선 경쟁 도시는 대만가오슝이었다. 대만이 처해 있는 외교적인 고립을 국제 스포츠 행사 개최로 만회하려는 대만 정부의 노력으로 인해 상당히 적극적으로 유치전에 나섰다. 가오슝의 공약은 1,000만 달러의 발전기금 OCA 기부 및 선수단 전원의 무료 숙박이었고 이를 리덩후이 당시 중화민국 총통이 직접 나서서 보증을 하여 많은 관심을 모았다. 이에 당황한 부산이 내걸은 공약은 1,200만 달러의 발전기금 제공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부터 아시안 게임에 걸리는 무수한 선심성 원조 및 발전기금 제공은 일종의 전통이 되어버려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3]

한편 부산 아시안 게임의 유치를 도운 진짜 1등공신은 바로 중국이었다. 양안관계로 대표되는 중국과 대만은 한국과 북한처럼 본래 같은 나라지만 이념으로 분단된 경우에 해당한다.[4] 중국(중국공산당)은 대만에서 아시안 게임이 열려 국제사회에서 대만의 존재감이 높아져 "하나의 중국"이라는 중국의 전통적 주장이 힘을 잃게 될 것을 우려했고, 중국의 TV에 청천백일만지홍기가 휘날리는 상황을 용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중국은 일차적으로 대만에서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면 전면적으로 보이콧을 할 것을 시사하여 국제적인 외교 압박을 가했다.

그러나 가오슝이 내건 금전 공약은 제법 파격적이었기 때문에 실제 투표로 들어가면 결과가 어떻게 될 지 모른다는 예측이 적지 않았다. 중국은 이에 대응해 친중국가인 파키스탄을 통해서 엽기적인 제안을 내걸었다. 거수 표결, 쉽게 말해 공개 투표로 개최지를 결정하자는 것이었다. 아시안 게임의 보이콧도 불사하는 중국의 눈치를 안 볼 수 없는 상황에서 거수 투표가 되면 어느 나라가 중국에 반대를 하는지 노출되며, 중국에게 정치적 보복을 당할 여지도 상당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국가는 어쩔 수 없이 부산을 찍어야 했다. 결국 1995년 5월 22일에 거수 투표가 강행되었고 개최지 투표에 참가한 41개국 중에 37개국의 지지를 얻은 대한민국의 부산은 2002 아시안 게임 개최지로 확정되었다.

파일:attachment/1995TPE.png

상단의 사진은 부산이 2002 아시안 게임 유치도시로 결정된 이후, 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에 들이닥친 대만인들의 모습이다. 거수 투표로 개최지를 결정하는 초유의 사태에 대해 당연히 대만은 노발대발하면서 반발했지만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5]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도 자진 포기를 권유했고, OCA 위원장도 대만의 자진 포기를 권유했다. 결국 부산은 이렇게 가오슝을 제치고 21세기 최초의 아시안 게임 유치에 성공했다.

물론 부산이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고 중국과 대만의 갈등 속에 어부지리로 유치에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 부산 아시안 게임 유치 성공에는 대한민국 유치위의 열성적인 노력도 있었다. 당시 아시안 게임 개최지 선정 장소는 한국의 롯데호텔 서울이었는데, 한국에서 개최지 선정이 이루어지도록 이끈 것도 유치위의 공로였다.


3. 주제곡[편집]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 공식 주제가
양방언(Ryo Kunihiko) - Frontier


4. 역대 조직위원장[편집]



5. 정식 종목 및 경기장[편집]


총 38개 종목이 치뤄졌다.


5.1. 따로 문서가 개설된 종목[편집]




6. 마스코트[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4th_asian_games_mascot.png
2002년 아시안 게임의 공식 마스코트는 부산광역시의 시조(市鳥)인 갈매기를 디자인한 두리아이다. 두리아에는 영원한 아시아(Durative+Asia)라는 뜻의 복합어, “둘이(두리) 함께”라는 의미도 있다. 갈매기는 부산시의 새이기도 하며, 역동적이고 순수한 것을 상징한다.


7. 메달 순위[편집]


2002 부산 아시안게임 메달 집계
최종 집계
순위국가메달합계
1
파일:중국 국기.svg

1508474308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68084260
3
파일:일본 국기.svg

447372189
4ta-hash-start=w-da8a2ad589abfa0892e6284b879d7b7d[[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0263076
5ta-hash-start=w-9d616a379e7fecf7481ffebb04eb45e9[[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15122451
6ta-hash-start=w-d917e680c14c6fcd74d08c935436f1b5[[파일:태국 국기.svg 태국14191043
7ta-hash-start=w-03f68714dba796f8d6b268029d0e62c4[[파일:인도 국기.svg 인도11121336
8ta-hash-start=w-1892b5bd26dbba0112319a2442c0646a[[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10172552
9ta-hash-start=w-a6a71cb59c7579f7039912b62d92e2f1[[파일:북한 국기.svg 북한9111333
10ta-hash-start=w-afa6e99e04c8b40882c9f4f8ca9e7c86[[파일:이란 국기.svg 이란8141436
11ta-hash-start=w-96c38b959c1e40beeb302b9ca2edbfc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7119
12ta-hash-start=w-135777c3a7d52438871cd207a7090cdc[[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681630
13ta-hash-start=w-1c65b80cab439d9d087d83e3ffd7ce9c[[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521017
14ta-hash-start=w-cd36a187d608a900c08ca7d480361e79[[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471223
15ta-hash-start=w-93c9697960197d5999b713f2838652fb[[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47718
16ta-hash-start=w-12b931c1ff7bbb2653af0c6d6f019a28[[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461121
17ta-hash-start=w-670e8a43b246801ca1eaca97b3e19189[[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45817
18ta-hash-start=w-ba37aebf010725928937eb9d3f94b591[[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371626
19ta-hash-start=w-13b919438259814cd5be8cb45877d577[[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3227
20ta-hash-start=w-e1a0282c6a621fddb473f301ffaff7b3[[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2158
21ta-hash-start=w-ae91e2acc23021bdb0e89ae0904b2695[[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2136
22ta-hash-start=w-593906af0d138e69f49d251d3e7cbed0[[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16613
23ta-hash-start=w-2e51055e7d09f972c49336144993e082[[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15612
ta-hash-start=w-3f37c010783748f8e8577f732d74054c[[파일:버마 연방 국기.svg 미얀마15612
25ta-hash-start=w-2a2b6a5fbe3483d7f6970c6fe7827a4d[[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1214
26ta-hash-start=w-72685cbb553a7ebfbccb08092d11c7e0[[파일:몽골 국기.svg 몽골111214
27ta-hash-start=w-c48e2ab38fa8b4acc1f2d782ca48c9f1[[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1001
28ta-hash-start=w-ffb6cf6296f942196cd67b5bf626c3b1[[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0246
29ta-hash-start=w-d67b6b1e0556f3d2156cca2a857765ae[[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0224
30ta-hash-start=w-9ca82e82e6ee4f1fbbf0e6400fbdb751[[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0213
31ta-hash-start=w-3d8292b86bb5f90292f9cea15878dd8a[[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0101
32ta-hash-start=w-86bef77c5a59d7f1195cb2fbe242882d[[파일:네팔 국기.svg 네팔0033
ta-hash-start=w-053f0b5c3cae3205b714aff910941e16[[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0033
34ta-hash-start=w-2f94ae4be0904a637a2d9c9102c3c2f2[[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0022
ta-hash-start=w-a780f357b441c97532b3de7fe7c1df37[[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0022
36ta-hash-start=w-ef9c4dc534b21b3f9c62b1857f4a0e81[[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2004-2013).svg 아프가니스탄0011
ta-hash-start=w-4f6d05f8bfb914f0b7d96bb3cc7f4bd0[[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0011
ta-hash-start=w-0ed8861dc36bee580d100f91283d0559[[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0011
ta-hash-start=w-76b28b967e1c0d6adc751bdb786d7bc2[[파일:예멘 국기.svg 예멘0011


7.1. 대한민국 메달 현황[편집]


종목합계
태권도123116
정구73212
펜싱65314
레슬링65011
요트62210
사격5111127
유도45413
근대5종4116
사이클40610
복싱32510
체조3249
배드민턴3238
육상3216
볼링3115
보디빌딩3025
승마2406
탁구2338
양궁2125
핸드볼2002
럭비2002
테니스1337
수영12912
당구1203
우슈1102
농구1102
배구1102
하키1102
역도1045
세팍타크로1034
야구1001
카누/카약0426
골프0224
조정0033
축구0011
공수도0011
합계968084260


7.1.1. 세부 종목 메달 현황[편집]



7.1.1.1. 금메달[편집]

메달종목세부종목이름
근대5종남자 릴레이김미섭 정태남 한도령
근대5종여자 단체전박정빈 신은미 정창순
근대5종남자 단체전김덕봉 김미섭 양준호 한도령
근대5종남자 개인전김미섭
핸드볼여자김은경 김정심 김차연 김향기 김현옥 명복희 문경하 손명희 우선희 이남수
이설희 장소희 정은희 최임정 허순영 허영숙
핸드볼남자강일구 김태완 남광현 박민철 박정진 백원철 윤경민 윤경신 이병호 이재우
이준희 임성식 장준성 정서윤 한경태 황보성일
펜싱여자 사브르 개인이신미
펜싱여자 플뢰레 단체남현희, 서미정, 오태영, 임미경
펜싱여자 에페 개인김희정
펜싱남자 사브르 개인이승원
펜싱여자 에페 단체김미정, 김희정, 이금남, 현희
펜싱남자 사브르 단체김두홍, 서성준, 이승원, 이혁
하키남자강건욱 강성정 김경석 김용배 김윤 김정철 김철 서종호 송성태 신석교
여운곤 이남용 임종천 전종하 지성환 황종현
태권도여자 -72kg최진미
태권도여자 -51kg임수정
태권도여자 -67kg김수옥
태권도남자 -58kg김대륭
태권도남자 -78kg오선택
태권도남자 -54kg박희철
태권도여자 -63kg김연지
태권도남자 -67kg남연식
태권도남자 +84kg문대성
태권도남자 -84kg김경훈
태권도여자 -59kg윤성희
태권도여자 -55kg윤경림
테니스여자 복식김미옥, 최영자
체조남자 마루김성일
체조남자 링김동화
체조남자 철봉양태석
탁구남자 복식유승민, 이철승
탁구여자 복식석은미, 이은실
양궁여자 단체전김문정, 박성현, 박회윤, 윤미진
양궁남자 단체전김경호, 김석관, 임동현, 한승훈
역도남자 -85kg송종식
요트남자 레이저급김호곤
요트남자 420급박종우, 이동우
요트남자 오픈 엔터프라이즈급전주현, 정권
요트남자 오픈OK딩기급진홍철
요트남자 레이스보드급옥덕필
요트남자 470급김대영, 정성안
사이클남자 메디슨서석규, 조호성
사이클남자 30km 포인트 레이스조호성
사이클여자 포인트 레이스김용미
사이클여자 개인도로김용미
세팍타크로남자 원형 경기곽영덕, 김종훈, 유동영, 윤주형, 이명철, 이준표
수영남자 자유형 50m김민석[9]
승마마장마술개인최준상
승마마장마술단체김정근, 서정균, 신창무, 최준상
야구남자김동주 김민재 김상훈 김종국 김진우 김한수 노장진 박명환 박재홍 박진만
송진우 이병규 이상훈 이승엽 이승호 이영우 이종범 임창용 장성호 정재복
조용준 홍성흔
우슈남자 태극권양성찬
유도남자 -73kg최용신
유도남자 -66kg김형주
유도여자 -52kg이은희
유도여자 -78kg조수희
육상남자 마라톤이봉주
육상남자 높이뛰기이진택
육상여자 창던지기이영선
정구남자 단식김경환
정구여자 단식박영희
정구여자 복식김서운, 장미화
정구남자 복식유영동, 이원학
정구혼합 복식김서운, 유영동
정구남자 단체전김경한, 김희수, 유영동, 이원학, 황정환
정구여자 단체전김명희. 김서운, 김현주, 박영희, 장미화
복싱남자 -54kg김원일
복싱남자 -48kg김기석
복싱남자 -67kg김정주
볼링여자 5인조김수경 김여진 김효미 김희순 남보라 차미정
볼링여자 3인조김수경 김여진 차미정
볼링여자 개인전김수경
사격여자 스키트 개인전손혜경
사격여자 스키트 단체전곽유현 김연희 손혜경
사격남자 50m 소총 복사 단체전강승균 남형진 최병우
사격남자 더블트랩 단체전김병준 박정환 정윤균
사격여자 더블트랩 개인전이상희
농구남자김승현 김주성 문경은 방성윤 서장훈 신기성 이규섭 이상민 전희철 조상현
추승균 현주엽
당구남자 3쿠션 단식황득희
럭비남자 15인제백인성 조철형 최창열 최성환 천종만 한영훈 김동선 김형기 김재성 김광재
김광모 김영남 이진욱 이관희 이명근 박창민 박진배 박광수 박노영 박용돈
신우식 성해경 엄순길 용환명 유민석 윤희수
럭비남자 7인제최창열 천종만 김형기 김재성 이진욱 이명근 박창민 박진배 박노영 성해경
용환명 유민석
레슬링남자 자유형 -74kg조병관
레슬링남자 자유형 -66kg백진국
레슬링남자 자유형 -84kg문의제
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74kg김진수
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60kg강경일
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66kg김인섭
배구남자신진식 김세진 박재한 여오현 최태웅 김상우 방신봉 신선호 이경수 석진욱
권영민 장병철
배드민턴여자 복식라경민 이경원
배드민턴혼합복식김동문 라경민
배드민턴남자 단체김동문 박태상 손승모 유용성 이동수 이재진 이현일 임방언 장영수 하태권
보디빌딩남자 -85kg강경원
보디빌딩남자 -60kg조왕봉
보디빌딩남자 -70kg한동기

7.1.1.2. 은메달[편집]

당구남자 3쿠션이상천
당구남자 포켓 9볼 복식김원석 정영화
사격여자 50m 소총 3자세 단체전공현아 김정미 이선민
사격남자 25m 센터파이어 권총 개인전이상학
사격여자 50m 소총 복사 개인전이미경
사격남자 10m 러닝타겟 단체전조세종 허대경 황영도
사격남자 10m 러닝타겟 개인전허대경
사격남자 25m 스탠더드 권총 단체전김성준 박병택 이상학
사격남자 50m 권총 단체전김선일 이상도 진종오
사격남자 50m 소총 3자세 단체전남형진 박봉덕 차영철
사격남자 25m 속사권총 개인전이상학
사격여자 10m 러닝타겟 단체전김득남 김문선 박정윤
사격여자 더블트랩 단체전김샛별 손혜경 이상희
펜싱여자 사브르 개인전이규영
펜싱남자 플러레 개인전김상훈
펜싱여자 플러레 개인전임미경
펜싱남자 플러레 단체전김상훈 김영호 이관행 최병철
펜싱여자 사브르 단체전김희연 이규영 이신미 조경미
하키여자기숙현 김성은 김윤미 김은진 박용숙 박정숙 오고운 유희주 이미성 이선옥
이은영 임주영
테니스남자 단체전김동현 윤용일 이형택 정희석
테니스남자 단식이형택
테니스남자 복식이형택 정희수
카누남자 K-2 1000m남성호 정광수
카누남자 K-1 500m정광수
카누남자 C-1 500m박창규
카누남자 K-1 1000m남성호
탁구남자 복식김택수 오상은
탁구혼합 복식유승민 류지혜
탁구남자 단체전김택수 유승민 오상은 이철승 주세혁
태권도여자 -72kg윤현정
태권도남자 -62kg김향수
태권도남자 -72kg이재진
육상여자 포환던지기이명선
육상남자 높이뛰기김태회
정구남자 단식김희수
정구남자 복식김희수 황정환
정구여자 단식김현주
체조남자 개인종합김동화
체조남자 단체전김대은 김동화 김승일 양태석 양태영 이선성
수영남자 자유형 1500m조성모
수영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개인전장윤경
승마장애물 비월 개인전이진경
승마마장마술 개인전서정균
승마종합마술 개인전전상용
승마종합마술 단체전김규섭 김형칠 김홍철 전상용
양궁여자 개인전김문정
요트여자 420급김숙경 허정은
요트남자 오픈레이저 레이디얼 급김정곤
우슈남자 산타 -60kg김귀종
유도여자 -48kg김영란
유도여자 -70kg배은혜
유도여자 +78kg최숙이
유도남자 -81kg안동진
유도남자 -100kg장성호
배구여자강혜미 구민정 김사니 최광희 박미경 구기란 정선혜 이명희 김미진 장소연
정대영 김남순
레슬링여자 자유형 -72kg강민정
레슬링여자 자유형 -55kg이나래
레슬링남자 자유형 -60kg송재명
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84kg김정섭[10]
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박명석
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120kg양영진
배드민턴남자 단식이현일
배드민턴여자 단체전권희숙 김경란 라경민 배승희 신자영 이경원 이혜영 이효정 전재연 황유미
복싱남자 -60kg백정섭
복싱남자 -81kg최기수
볼링남자 5인조김경민 김명조 김재훈 변호진 서국 조남이
골프남자 단체전권기택 김병관 김현우 성시우
골프여자 개인전김주미
근대5종남자 개인전양준호
농구여자김계령 김영옥 김지윤 박정은 변연하 이미선 이언주 이종애 장선형 전주원
정선민 홍현희


7.1.1.3. 동메달[편집]

사격여자 10m 공기소총 개인전박은영
사격남자 10m 공기소총 단체전김병은 이우정 임영섭
사격여자 10m 공기소총 단체전김형미 박은경 서선화
사격남자 10m 공기권총 개인전진종오
사격여자 10m 공기권총 단체전강은라 고진숙 박정희
사격여자 10m 공기권총 개인전박정희
사격남자 더블트랩 개인전정윤권
사격여자 스키트 개인전곽유현
사격남자 25m 센터파이어권총 단체전박병택 이상학 장대규
사격남자 50m 소총 3자세 개인전박봉덕
사격남자 25m 스탠더드권총 개인전박병택
펜싱여자 플러레 개인전서미정
펜싱남자 사브르 개인전김두홍
펜싱남자 에페 단체전구교동 김명관 양뢰성 이상엽
테니스여자 단체전전미라 정양진 조윤정 최영자
테니스남자 복식권오희 김동현
테니스여자 단식조윤정
태권도여자 -47kg강지현
탁구여자 복식김무교 유지혜
탁구남자 단식오상은
탁구여자 단식유지혜
카누남자 C-2 1000m이병탁 이승우
카누남자 C-2 500m박창규 전광락
축구남자김동진 김두현 김영철 김용대 박규선 박동혁 박요셉 박용호 박지성 변성환
이동국 이영표 이운재 조병국 조성환 최태욱 현영민
체조여자 마루김지영
체조남자 도마김대은
체조남자 평행봉김승일
체조여자 리듬체조 단체전유성은 이지애 조은정 최예림
조정여자 싱글 스컬이은화
조정여자 무타 페어김경미 백순미
조정남자 더블 스컬김달호 김정관
정구혼합 복식김희수 박영희
정구혼합 복식김명희 박영희
육상남자 110m 허들박태경
유도남자 -90kg박성근
유도남자 -60kg최민호
유도여자 -57kg김화수
유도여자 무제한급조수희
요트여자 유럽급홍진영
요트남자 레이스보드급홍아람
역도남자 -62kg조효원
역도남자 -94kg이응조
역도여자 -75kg김순희
역도여자 +75kg문경애
양궁남자 개인전임동훈
양궁여자 개인전윤미진
수영남자 4x200m 계영고윤호 김방현 최원일 한규철
수영여자 4x200m 계영김예슬 김현주 심민지 하은주
수영남자 4x100m 계영고윤호 김민석 성민 한규철
수영남자 400m 자유형한규철
수영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 듀엣김민정 장윤경
수영여자 4x100m 계영김현주 류윤지 선소은 심민지
수영남자 4x100m 혼계영고윤호 성민 손성욱 유정남
수영여자 4x100m 혼계영구효진 박경화 선소은 심민지
수영남자 10m 싱크로나이즈드 다이빙권경민 조과훈
세팍타크로여자 원형경기김미진 김미현 김신정 나유미 박정현 이명은
세팍타크로남자 단체전곽영덕 김대희 김재민 김형일 윤주형 이명철 이준표 정성화 정연홍
세팍타크로여자 단체전김건선 김미진 김미현 김신정 나유미 박금덕 박미리 박아람 박정현 안순옥
이명은 정지영
사이클여자 도로독주이은주
사이클여자 500m 독주이정애
사이클남자 1km 독주김지범
사이클여자 3km 개인추발임황준
사이클여자 스프린트구현진
사이클남자 경륜현병철
볼링남자 2인조김명조 조남이
복싱남자 -71kg송인준
복싱남자 -63.5kg신명훈
복싱남자 -75kg문영승
복싱남자 -51kg김태근
복싱남자 -91kg이현성
보디빌딩남자 -80kg이진호
보디빌딩남자 +90kg최재덕
배드민턴여자 단식김경란
배드민턴여자 복식이효정 황유미
배드민턴남자 단식손승모
근대 5종여자 단체전고애리 박정빈 신은미 정창순
공수도남자 쿠미테 -75kg김병철
골프남자 개인전김현우
골프여자 개인전박원미


8. 한국 측 스폰서[편집]




9.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1:39:32에 나무위키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분산 개최.[2] 큰 스포츠 국제 대회를 치를 여력이 되는 아시아 국가가 한정적이었기 때문이다.[3]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을 유치했던 대한민국의 인천 또한 이러한 이유로 상당한 빚을 떠안았지만 인천의 경우 4년만에 빚을 모두 갚으며 국제 대회 유치의 후유증을 비교적 빠르게 털어냈다.[4] 일부 대만인들은 원래 같은 나라였다는 부분도 부정하기도 하지만, 대만 정부의 공식적 입장은 여전히 중국과 대만은 분단국가라는 것이다.[5] 공교롭게도 사마란치는 1988 서울 올림픽 유치를 승인해준 인물이기도 하다.[6] 전 부산광역시교육감,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교육감 재임 시절에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중, 고등학교인 부산국제중학교부산국제고등학교를 설립했으며, 교육감 퇴임 후 부산국제외국어고등학교의 설립자 겸 초대 교장을 지냈다.[7]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개최지[8] 1988 서울 올림픽 당시 요트 경기가 열렸던 곳이기도 하다.[9] 라빌 나차에프(우즈베키스탄)와 공동우승[10] 김인섭의 동생이다.[11] 대한민국이 먼저 여유를 보여줌에 따라서 이후 북한에서 열리는 국제대회에서도 태극기 게양와 애국가 연주가 뒤늦게 허용되었다.[12] 사실 국제스포츠대회는 국제스포츠단체가 주관하기 때문에 원래 국제대회 원칙에 따라야 한다.[13] 단 이 경기는 논란이 상당히 많았던 경기이다. 이 이후에 중국이 한국과 경기를 할 때 대놓고 편파판정을 할 때가 늘었다.[14] 이동국 외에도 김용대, 김영철 등이 이 경기의 패배로 인해 병역 특례에 실패했지만, 아무래도 네임밸류가 높은 이동국의 이름을 따서 불린다.[15] 이 때의 자세한 정황은 박항서 문서에 서술되어 있다.[16] 미남역 - 안평역 구간을 지선으로 하려던 것을 경전철로 바꾸면서 4호선으로 분리된 것 등.[17] 그 증거로 해당 구간의 역사 출입구와 환풍구 디자인을 들 수 있다. 출입구의 경우, 다른 구간에 속한 역사의 그것과는 다르게 전체적인 형태는 2호선 2단계 구간과 거의 같고 마감재를 검정색 화강암으로 마무리 하는 등의 차이를 보여주었고 난간 장식도 부산 아시안 게임 공식로고를 금색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환풍구도 2호선 2단계 구간의 그것과 형상이 거의 유사하고 측면에 장식을 놓고 상부 마감은 검정색 화강암으로 마무리 하였다.[18] 다만 출입구에 계단을 설치한 것은 종합운동장역 5번, 7번, 9번, 11번 출구를 제외하고 대회 이후 2005년에 마무리 공사 동안에 설치하였다.[19] 앞서 언급한 해당 번호의 출입구는 미남~거제역간 출입구 중에서 가장 먼저 2001년에 완공되었고 외부 마감조차도 2호선 출입구랑 완전히 똑같은 형태이다. 게다가 이 출입구는 3호선 개통 이전까지는 지하도 출입구로 임시로 활용한 전적이 있다. 다만 5번, 7번 출입구는 이후에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로 인해 철거하고 다시 만든 전적이 있다.[20] 1991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된 한글날이 공휴일로 다시 지정된 것은 2013년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