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성시 병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화성시/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화성시 병
구 태안읍 전역·봉담읍 일부
華城市 丙
Hwaseong C
||
파일:국회선거구 화성시 병.svg
선거인 수279,140명 (2020)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화성시 일부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동탄3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봉담읍[a]
[a] 舊 삼봉면(1914년 폐지) 지역 : 수기리, 와우리, 동화리, 수영리, 상리, 내리
신설년도2016년
이전 선거구화성시 갑, 화성시 을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권칠승
1. 개요
2. 선거구 조정 역사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화성시 을 선거구가 인구 상한을 넘어서자 화성시 갑에서 봉담읍을, 화성시 을에서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을 가져와 화성시 병을 신설하였다. 봉담읍을 제외한 전 지역이 동부출장소 관할 지역[1]이다. 또한 문재인 정부 시절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을 역임했던 현역 권칠승 의원이 도의원을 역임할 시절 지역구였던 화성시 제3선거구와도 모양이 비슷한데, 화성시 병에서 봉담읍과 동탄3동만 빠지면 완벽히 일치하게 된다.


2. 선거구 조정 역사[편집]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봉담읍 일부 지역(분천리, 왕립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이 화성시 갑으로 넘어갔고, 동탄3동(능동)이 화성시 을에서 넘어왔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획정위원회의 시안에 따라 동탄2신도시로 인해 화성시 정 선거구가 신설되어 이 선거구의 기존 관할 지역이 이전과 대폭 변화될 것으로 보였으나, 기존 선거구 변화 최소화 원칙을 내세운 국회의 여야 교섭단체 3당간의 합의에 따라 이례적으로 봉담읍을 분할해서 화성시 3개 선거구 체제를 유지하기로 하였다. 이로 인하여, 봉담읍이 찢어져 북동부 지역인 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와 진안동, 병점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3동을 관할하는 '화성시 병' 선거구로 재편되었다.[2]

화성시 병(개편 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화성시 병(개편 후, 현재)
파일:국회선거구 화성시 병(2016).svg
파일:국회선거구 화성시 병.svg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몇 달 후 행정구역 조정으로 일부 지역을 수원시 무와 맞교환[3]하게 되었을뿐만 아니라 화성시 자체가 이전 선거까지는 어떻게든 3개 선거구로 유지가 되었으나, 4개 선거구인 안산시(인구 65만, 이쪽은 오히려 합구가 무산되었다) 등에 비해 심히 불합리한 상황이다. 여기에 동탄신도시 지역 개발로 인한 인구 급증의 영향으로 화성시 인구가 이미 21대 총선 이전인 2019년 9월에 이미 80만명을 돌파[4]하였고, 수원시 무와 맞교환한 곳에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서고[5] 진안신도시라는 인구폭탄이 예정되어있어 최소한 2020년대 후반까지는 계속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인구 상한 기준 때문에라도 4개 선거구로 분할될 것이 거의 확실하다.[6]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박지원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화성군
제14대정창현
ta-hash-start=w-5ca0ff28ba7dcad8e1c31e62e5722b59[[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오산시·화성군
제15대박신원
ta-hash-start=w-77d3a7e7ef6967723e66a296bb94cc2e[[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강성구
ta-hash-start=w-e038fc8b030e75e831dec03a1111c41e[[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안병엽
ta-hash-start=w-ade4ebc2e75e9713c947671a375721ca[[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6년 11월 10일화성시
고희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년 4월 26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박보환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화성시 을
제19대이원욱
ta-hash-start=w-9cac92499b25860c07fbe66f3d10eac6[[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권칠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화성시 병
제21대2020년 5월 30일 ~


3.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화성시 병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봉담읍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우호태(禹浩泰)29,1462위

ta-hash-start=w-0498b76a320aee7c36942926866cfc94[[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32.26%낙선
2권칠승(權七勝)45,777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0.67%당선
3한기운(韓基雲)15,4113위

ta-hash-start=w-6f2aff9df7bff41299fca1afc0215c9b[[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17.06%낙선
선거인 수166,886투표율
54.82%
투표 수91,487
무효표 수1,153


3.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화성시 병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3동, 봉담읍 일부[a]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칠승(權七勝)88,793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4.45%당선
2석호현(石虎鉉)47,3772위

ta-hash-start=w-750263dbb2fb8547bdd810ee11a08c7a[[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34.38%낙선
7김지완(金祗妧)1,5993위

ta-hash-start=w-fefe4f594908f4f350a031bd30bc3964[[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1.16%낙선
선거인 수219,651투표율
63.41%
투표 수139,281
무효표 수1,512

21대 국회의원 선거 (화성시 병)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9d4f684ba088d28ad1c2ae7d0aee496a[[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권칠승석호현
득표수
(득표율)
88,793
(64.45%)
47,377
(34.38%)
+ 41,416
(△30.06)
139,281
(63.41%)
진안동[7]63.21%35.69%△27.5255.63
병점1동64.95%33.89%△31.0661.50
병점2동67.20%31.72%△35.4864.21
반월동64.10%35.08%△29.0265.87
기배동[8]62.66%36.19%△26.4764.60
화산동[9]55.98%42.65%△13.3358.73
동탄3동[10]70.61%28.44%△42.1763.93
봉담읍[11]62.48%36.33%△26.1560.09
후보권칠승석호현격차
거소·선상투표62.05%36.75%△25.30
관외사전투표67.55%30.58%△36.97
재외투표77.01%22.98%△54.04

화성시 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1위/2위)
후보권칠승석호현
봉담임광그대가3단지64.00%33.64%△30.76
서동탄역 우남퍼스트빌55.68%42.00%△13.68
서동탄역파크자이72.92%26.31%46.61
화산동 우방아이유쉘아파트57.20%40.48%△16.72
기안마을 풍성신미주아파트55.41%41.80%△13.61
현역 권칠승 의원은 단수공천을 받으면서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선거에 도전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석호현 전 화성시장 후보가 경선 끝에 공천을 받으면서 권칠승 의원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선거결과 권칠승 의원이 64.45%라는 매우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석호현 후보는 전 지역에서 패했으며, 특히 동탄 3동에서는 42.17%p라는 엄청난 격차로 대패했다.

3.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화성시 병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3동, 봉담읍 일부[a]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반면, 원래 동부출장소 관할인 정남면은 화성시 갑 선거구로 들어와 있다.[2] 봉담읍 잔여지역을 新 화성시 갑으로 다시 넘기고, 舊 화성시 을에서 동탄3동을 가져왔다.[3] 화성시 반정동과 수원 영통구 망포동의 일부 구역을 교환하게 되었다.관련 기사[4] 21대 총선 인구 기준월인 2019년 1월 말일 기준 인구는 765,107명으로 안산시(2019년 1월 당시 659,963명)보다 많았고, 선거 직전인 2020년 3월 말일 기준 인구는 827,603명, 선거 이후인 2020년 11월 말일 기준 인구는 853,106명으로 65만명 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안산시와 20만명(선거구 하나 정도) 차이를 내고 있다.[5] 영통 아이파크 캐슬의 총 다섯 단지가 망포동에 순차적으로 지어지고 입주하던 중에 4, 5단지 부지가 분양을 앞두고 화성 반정동으로 넘어왔다. 화성 반정동이 수원 망포동으로 넘겨둔 부지에도 큼지막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다.[6] 그렇게 되면 현재의 화성시 병 선거구는 21대 총선 선거구 분할안 원안과 거의 비슷하게 동탄3동을 다시 넘겨주고 서쪽에서 봉담읍+@(정남면, 매송면)를 받아와서 새로운 '화성시 을' 선거구를 꾸릴 가능성이 크다.[a] A B [7] 진안동 · 기산동 · 반정동을 관할하는 동네[8] 기안동 + 배양동[9] 안녕동 · 송산동 · 황계동을 관할하는 동네[10] = 법정동 능동 (동탄1신도시)[11] 북부 개발지역 한정(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