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델 라모스

덤프버전 :




피델 라모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49년8월 15일이승만대통령대한민국
1960년8월 13일윤보선대통령대한민국
1963년12월 5일12월 17일박정희대통령대한민국
1967년6월 23일육영수영부인대한민국
1979년12월 7일최규하대통령대한민국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12월 7일홍기영부인대한민국
1980년8월 29일8월 29일전두환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8월 29일8월 29일이순자영부인대한민국
1988년2월 24일2월 25일노태우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2월 24일2월 25일김옥숙영부인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김영삼대통령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손명순영부인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김대중대통령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이희호영부인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노무현대통령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권양숙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이명박대통령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김윤옥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9일박근혜대통령대한민국
2022년5월 3일문재인대통령대한민국
2022년5월 3일김정숙영부인대한민국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64년12월 3일12월 8일하인리히 뤼프케대통령서독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12월 3일12월 8일빌헬미네 뤼브케영부인서독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2월 1일2월 7일이스마일 나시루딘국왕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7일틍쿠 인탄 자하라왕비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10일푸미폰 아둔야뎃국왕태국
1966년2월 1일2월 10일시리낏 끼띠야콘왕비태국
1966년2월 1일2월 15일장제스총통중화민국
1968년5월 10일5월 18일하일레 셀라시에황제에티오피아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반티에우총통남베트남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티마이아인제1부인남베트남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하마니 디오리대통령니제르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아이샤 디오리영부인니제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대통령엘살바도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영부인엘살바도르
1975년6월 27일7월 5일오마르 봉고대통령가봉
1975년6월 27일7월 5일조세핀 봉고영부인가봉
1979년4월 17일4월 23일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대통령세네갈
1979년4월 17일4월 23일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영부인세네갈
1980년5월 11일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국왕사우디아라비아
1980년5월 14일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1981년6월 25일수하르토대통령인도네시아
1981년6월 25일시티 하티나영부인인도네시아
1981년6월 29일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국왕말레이시아
1981년6월 29일틍쿠 아프잔왕비말레이시아
1981년7월 6일페르디난드 마르코스대통령필리핀
1981년7월 6일이멜다 마르코스영부인필리핀
1981년10월 13일로드리고 카라소대통령코스타리카
1981년10월 13일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영부인코스타리카
1982년5월 10일사무엘 도대통령라이베리아
1982년6월 7일모부투 세세 세코대통령자이르
1982년6월 7일보비 라다와영부인자이르
1982년8월 25일압두 디우프대통령세네갈
1982년12월 21일케난 에브렌대통령터키
1983년3월 10일3월 15일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대통령수단
1983년3월 10일3월 15일부띠나 칼릴 압불핫산영부인수단
1983년9월 10일후세인 1세국왕요르단
1983년9월 10일누르왕비요르단
1984년4월 9일하사날 볼키아국왕브루나이
1984년4월 21일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국왕카타르
1984년8월 30일9월 13일다우다 자와라대통령감비아
1984년8월 30일9월 13일치렐 자와라영부인감비아
1985년5월 17일무함마드 지아울하크대통령파키스탄
1985년5월 20일루이스 알베르토 몽헤대통령코스타리카
1986년9월 4일4월 10일엘리자베스 2세국왕영국
1986년9월 4일4월 16일보두앵국왕벨기에
1987년4월 7일아메드 압달라대통령코모로
1988년11월 3일이스칸다르국왕말레이시아
1988년11월 3일자나리아왕비말레이시아
1989년11월 3일11월 20일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대통령서독
1989년11월 3일11월 30일프랑수아 미테랑대통령프랑스
1989년11월 3일11월 30일다니엘 미테랑영부인프랑스
1990년6월 21일안드레스 로드리게스대통령파라과이
1990년11월 5일괸츠 아르파드대통령헝가리
1991년9월 13일아즐란 샤국왕말레이시아
1991년9월 13일투안쿠 바이눈왕비말레이시아
1991년9월 25일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대통령멕시코
1992년8월 13일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대통령과테말라
1993년5월 20일5월 25일피델 라모스대통령필리핀
1993년5월 20일5월 25일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영부인필리핀
1994년11월 7일11월 21일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대통령칠레
1994년12월 5일12월 9일레흐 바웬사대통령폴란드
1995년2월 7일2월 16일이슬람 카리모프대통령우즈베키스탄
1995년2월 21일3월 6일로만 헤어초크대통령독일
1995년3월 28일4월 3일젤류 미테프 젤레프대통령불가리아
1995년6월 26일7월 7일넬슨 만델라대통령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9월 26일9월 29일카를로스 메넴대통령아르헨티나
1996년7월 23일9월 4일알바로 아르수대통령과테말라
1996년7월 23일페르난두 카르도주대통령브라질
1996년10월 8일10월 20일후안 카를로스 1세국왕스페인
1996년10월 8일10월 20일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왕비스페인
1996년11월 26일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국왕말레이시아
1996년12월 10일12월 15일레오니드 쿠치마대통령우크라이나
2000년2월 22일3월 3일카를로 아첼리오 참피대통령이탈리아
2000년2월 22일3월 6일자크 시라크대통령프랑스
2006년3월 12일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대통령알제리
2007년3월 26일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2007년3월 28일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국왕카타르
2009년5월 13일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대통령카자흐스탄
2009년11월 12일알란 가르시아대통령페루
2012년5월 30일칼 16세 구스타프국왕스웨덴
2012년11월 21일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대통령아랍에미리트
2018년10월 8일에마뉘엘 마크롱대통령프랑스
2019년하랄 5세국왕노르웨이
2021년6월 14일알렉산더 판데어벨렌대통령오스트리아
2021년6월 16일펠리페 6세국왕스페인
2021년6월 16일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왕비스페인
2021년8월 25일이반 두케대통령콜롬비아
2021년9월 21일보루트 파호르대통령슬로베니아
2023년7월 13일안제이 두다대통령폴란드
2023년11월 21일찰스 3세국왕영국





필리핀 공화국 제12대 대통령
피델 발데스 라모스
Fidel Valdez Ramos
KGCR
파일:피델 라모스.jpg
출생1928년 3월 18일
필리핀 군도 도민정청 잠발레스주 이바
사망2022년 7월 31일 (향년 94세)
메트로 마닐라 마카티 마카티 의료 센터
학력필리핀 국립 대학교 (토목공학 / B.S.)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일리노이 대학교 (토목공학 / M.S.)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경영학 / M.S)
정당
Lakas–CMD
직업군인, 정치인
최종 계급대장
가족배우자 아멜리타 라모스
슬하 5명
종교개신교 (감리회)
재임기간1992년 6월 30일1998년 6월 30일
서명파일:피델 라모스 서명.svg

파일:피델 라모스 공식 초상화.jpg
공식 초상화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필리핀의 제12대 대통령.


2. 생애[편집]


팡가시난 주의 명문 가문 출신이다. 스페인인화교가 혼혈된 차이니즈 메스티소 혈통.

미 육군사관학교 졸업 직후인 1950년 6월 결핵으로 한쪽 신장을 절제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자원해서 6.25 전쟁에 참전해서 1952년 1월 전선에 배치된 그는 그해 5월 강원도 철원의 '이어리(Eerie) 고지'에서 벌어진 중공군과의 전투에서 전공을 세워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부대 표창을 받기도 했다. 그 뒤에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다, 대장까지 승진한 군인 출신의 정치인이다. 10대 대통령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6촌 동생이었지만 마르코스의 독재를 타도하기 위해 민중봉기에 참가했다.

1986년 코라손 아키노가 대통령이 되자 육군 참모 총장으로 승진하게 된다. 피델 라모스 본인도 1992년, 라카스 민주당의 대선후보로 출마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당선 후 필리핀 공산당을 합법화하고 모로민족해방전선 등 반군 인사들을 사면시켜 이념/민족분쟁 종식 발판을 마련했고, '필리핀 2000'이란 경제회복계획을 마련해 경제 성장과 범죄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고 경제 성장이 어느정도 이뤄지기도 했다. 폐지된 사형제도를 부활시키기도 했다.

다만, 임기 말에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발생하여 약간의 타격을 받았다.

이후 두테르테 정부 아래에서 주중 필리핀 대사를 역임했다. 정치적으로는 두테르테의 마약과의 전쟁을 비판하면서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

2022년 3월, 그의 이름을 딴 도서관이 온라인으로 오픈했다. 그리고 같은 해 7월 31일 코로나19 합병증과 심장병 및 치매로 사망했다. 7촌 조카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은 애도를 표하며 8월 9일까지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했다.


3. 여담[편집]


  • 1993년 5월 23일 한국을 방문하여 김영삼 대통령을 만났고, 2010년 9월 13일 6.25전쟁60주년기념사업위원회의 초청으로 한국을 다시 찾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5:54:02에 나무위키 피델 라모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