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닉! 앳 더 디스코/음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패닉! 앳 더 디스코

1. 개요
2. 1집. A Fever You Can't Sweat Out
3. 2집. Pretty. Odd.
4. 3집. Vices & Virtues
5. 4집. Too Weird to Live, Too Rare to Die!
6. 5집. Death of a Bachelor
7. 6집. Pray for the Wicked
8. 7집. Viva Las Vengeance


1. 개요[편집]


밴드 패닉! 앳 더 디스코의 음반들을 정리한 문서.


2. 1집. A Fever You Can't Sweat Out[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nicAtTheDisco-FeverCover.jpg
A Fever You Can't Sweat Out
발매일 : 2005.09.27
트랙제목
1Introduction
2The Only Difference Between Martyrdom and Suicide is Press Coverage[1]
3London Beckoned Songs About Money Written By Machines
4Nails for Breakfast, Tacks for Snacks
5Camisado
6Time to Dance
7Intermission
8Lying is the Most Fun a Girl Can Have Without Taking Her Clothes Off
9But It's Better If You Do
10I Write Sins Not Tragedies[2][3]
11I Constantly Thank God for Esteban
12There's a Good Reason These Tables are Numbered Honey, You Just Haven't Thought of It Yet
13Build God Then We'll Talk

이 앨범은 당시 리드 기타 라이언 로스가 죄다 작사하였다.
작곡은 전곡다 브렌든 유리와 라이언 로스가 하였다.
2015년 미국에서 2x Platinum(200만장)을 달성하였다.


3. 2집. Pretty. Odd.[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atD_-_Pretty._Odd..jpg
Pretty. Odd.
발매일 : 2008.03.21
트랙제목
1We're So Starving
2Nine in the Afternoon[4]
3She's a Handsome Woman
4Do You Know What I'm Seeing?
5That Green Gentleman (Things Have Changed)
6I Have Friends in Holy Spaces
7Northern Downpour
8When The Day Met The Night
9Pas de Cheval
10The Piano Knows Something I Don't Know
11Behind the Sea
12Folkin' Around
13She Had The World
14From a Mountain in the Middle of the Cabins
15Mad as Rabbits

팝-펑크와 emo 성향의 전 앨범과는 180도 다른 마치 비틀즈를 연상시키는 사운드의 이 앨범은 발매 당시 기존 팬들 사이에서 매우 호불호가 갈려 전작과 같은 흥행에는 실패한다.

2016년 미국에서 Gold (50만장)을 달성했다.


4. 3집. Vices & Virtues[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nic%21_at_the_Disco_-_Vices_%26_Virtues.jpg
Vices & Virtues
발매일 : 2011.03.18
트랙제목
1The Ballad of Mona Lisa[5]
2Let's Kill Tonight
3Hurricane
4Memories[6]
5Trade Mistakes
6Ready to Go (Get Me Out of My Mind)
7Always
8The Calendar
9Sarah Smiles [7]
10Nearly Witches (Ever Since We Met...)

마지막 트랙 Nearly Witches는 라이언 로스와 함께 쓴 마지막 곡이며 데모 버전도 찾을 수 있다.


5. 4집. Too Weird to Live, Too Rare to Die![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Too_Weird_to_Live%2C_Too_Rare_to_Die%21.jpg
Too Weird to Live, Too Rare to Die
발매일 : 2013.10.08
트랙제목
1This is Gospel[8]
2Miss Jackson[9]
3Vegas Lights
4Girl That You Love
5Nicotine
6Girls/Girls/Boys
7Casual Affair
8Far Too Young to Die
9Collar Full
10The End of All Things

지금의 PATD 스타일로 바뀌기 시작한 첫 앨범이다.

2016년 7월 미국에서 Gold (50만장)을 달성했다.


6. 5집. Death of a Bachelor[편집]


빌보드 200 역대 1위 앨범
Blackstar
David Bowie
Death of a Bachelor
Panic! At The Disco
25
Adel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Death_of_a_Bachelor.jpg
Death of a Bachelor
발매일 : 2016.01.15
트랙제목
1Victorious[10]
2Don't Threaten Me with a Good Time[11]
3Hallelujah[12]
4Emperor's New Clothes[13]
5Death of a Bachelor[14]
6Crazy=Genius
7LA Devotee
8Golden Days
9The Good, the Bad and the Dirty
10House of Memories
11Impossible Year

첫 주에 169,000장을 팔아 데뷔 11년만에 첫 빌보드 200 1위를 차지했다.

2016년 7월 미국에서 Gold (50만장)을 달성했다.


7. 6집. Pray for the Wicked[편집]



Pray for the Wicked
파일:브랜든 뿌셔.jpg
발매 2018년 6월 22일
녹음 2017년 ~ 2018년
길이 34:11
트랙 11
프로듀서 Dillon Francis, Jake Sinclair,
Jonas Jeberg, Jonny Coffer,
Scott Chesak, Suzy Shinn,
Toby Sinclair
레이블 Fueled by Ramen
DCD2
메타크리틱 70점

트랙곡명
1(Fuck a) Silver Lining
2Say Amen (Saturday Night)
3Hey Look Ma, I Made It [15]
4High Hopes [16]
5Roaring 20s
6Dancing's Not a Crime
7One of the Drunks
8The Overpass
9King of the Clouds
10Old Fashioned
11Dying in LA

국가판매량
미국 (RIAA)1,000,000 (Platium)
영국 (BPI)100,000 (Gold)
캐나다 (Music Canada)40,000 (Gold)
네덜란드 (NVPI)20,000 (Gold)
덴마크 (IFPI Danmark)10,000 (Gold)

4번 트랙인 'High Hopes'가 Hot 100에서 4위를 하는 기염을 토하면서 밴드 커리어에서 상업적으로 가장 크게 성공한 앨범이 되었다. 인상적인 것은 발매한 지 1년 가까이 지난 뒤에야 세운 기록이라는 것. 'High Hopes'의 인기에 힘입어 3번 트랙인 'Hey Look Ma, I Made It' 역시 24위까지 진입하는 역주행 신화를 썼다.

'High Hopes'의 경우 뮤직비디오 조회수도 2022년 6월 기준 약 6억 7천만 회를 돌파했으며, 스포티파이 스트리밍 횟수 또한 11억회를 넘기는 등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8. 7집. Viva Las Vengeance[편집]


트랙곡명
1Viva Las Vengeance
2Middle of a Breakup
3Don't Let the Light Go out
4Local God
5Star Spangled Banger
6God Killed Rock and Roll
7Say It Louder
8Sugar Soaker
9Something About Maggie
10Sad Clown
11All by Yourself
12Do It to Death

전체적으로 4~6집의 팝/록 분위기와는 달리 7~80년대의 락앤롤 분위기의 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금까지의 패닉! 앳 더 디스코의 스타일과는 확실히 이질적이라는 평을 받는다.

패닉! 앳 더 디스코의 4년만의 정규 앨범인 만큼 많은 팬들의 기대를 받았으나, 'Middle Of a Breakup'의 선공개 부터 미묘한 평가를 받다가 앨범 수록곡 전체가 공개되자 호불호가 심히 갈리고 있다.

일부 곡들의 유치한 가사와 더불어 상술한 이질적인 분위기[17]와 철 지난 락앤롤 장르를 표장하는 만큼, 모든 팬들을 만족 시키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별개로 수록곡들에 전체적으로 쥐어 짜내는 듯한 고음 파트가 많아서, 라이브 공연에서 해당 앨범 수록곡들의 하이라이트 일부를 패닉! 앳 더 디스코에서 거의 볼수 없었던 립싱크로 대체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이에 팬들은 그의 목 상태를 걱정하거나, 라이브 공연 자체에 대해 기대감이 떨어졌다는 반응을 보인다.
립싱크 의혹은 사실 몇년간 라이브 공연에서는 항상 키를 한 두키 낮추어서 불러왔는데 7집 라이브를 모두 원키(!)로 불러서 생긴 것이다. 투어 초기에 목 상태가 안 좋아서 벌스 부분은 힘들어하는 한편, 코러스는 깔끔하게 잘 불러서 의혹이 가중됐다. 마이크가 올라가는 타이밍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었는데, 브렌든 정도의 성량이면 마이크가 한 뼘 정도 내려갔다고 해서 소리에 차이가 나진 않는다. 또한 2005년 데뷔 이후, 라이브를 망하면 망했지 그전까지 립싱크를 절대 하지 않았기에 과연 립싱크를 할까 싶다. 정규앨범을 아날로그 녹음 한 것부터가 라이브 실력을 뽐내기 위함인 듯하다. https://youtu.be/vBIwEC0isic 또한 앨범의 수록곡인 Don't Let The Go Out의 최근 쇼에서 진행한 라이브 영상을 보면 보컬 트랙 없이 후렴구도 완벽히 소화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https://youtu.be/UaCJ3PNdlKE https://youtu.be/EVvb7jn-jQU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패닉! 앳 더 디스코 문서의 r2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패닉! 앳 더 디스코 문서의 r2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1:41:49에 나무위키 패닉! 앳 더 디스코/음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빌보드 Hot 100 77위[2] 2006 MTV 뮤직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3] 빌보드 Hot 100 7위[4] 빌보드 Hot 100 51위[5] 빌보드 Hot 100 89위[6] GSL 클로징곡으로 쓰인적이 있다.[7] 메인보컬 브렌든 유리가 자신의 배우자, '사라 유리'를 위해 쓴 곡이다.[8] 빌보드 Hot 100 87위[9] 빌보드 Hot 100 68위[10] 빌보드 Hot 100 89위. 참고로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의 장편 영화 SING에 나왔었다. 야구선수 홍창기의 등장곡기이도 하다.[11] 뮤비가 촉수물이다(...)[12] 빌보드 Hot 100 40위[13] 빌보드 Hot 100 68위[14] 빌보드 Hot 100 92위[15] 공개된 지 1년 뒤에 역주행하면서 빌보드 Hot100차트 24위까지 진입[16] 빌보드 Hot100차트 4위[17] 특히 4~6집 시절에 입문한 팬들에게 크게 작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