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큰바다사자

덤프버전 :

큰바다사자
Steller Sea Lion
파일:ㅋㅂㄷㅅㅈ.jpg
학명 Eumetopias jubatus
Schreber, 177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바다사자과(Otariidae)
아과바다사자아과(Otariinae)
큰바다사자속(Eumetopias)
큰바다사자(E. jubat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

파일:바다사자 해변.jpg

1. 개요
2. 생태
3. 한국에서의 큰바다사자
4. 한국 동물원 보유 현황
5. 대중매체



【언어별 명칭】

한국어큰바다사자, 바다사자, 스텔러바다사자
영어Steller Sea Lion
중국어北海狮
일본어トド


1. 개요[편집]


큰바다사자는 시베리아 연안, 캄차카 반도, 베링해 등 북부 태평양 바다에서 서식하는 바다사자의 일종이다. 독도, 울릉도 쪽에 살다 멸종된 강치 역시 바다사자 종류라 큰바다사자와 형제 관계이며 물개바다표범 등도 친척 뻘이다.

2. 생태[편집]


보통 5∼7월에 에 올라와 번식하고 남하 회유한다. 보통 수컷 1마리가 10~20마리의 암컷과 무리를 이루고 번식을 하는데, 이 하렘 집단은 8월이 되면 해산된다.

110~146m까지 잠수할 수 있고 수중에서 시속 25~30km로 헤엄친다. 명태, 꽁치 등의 어류와 및 새우 등 갑각류, 그리고 조개, 소라 등 연체동물들이 큰바다사자의 주 먹이이다. 천적은 범고래, 상어[1] 등이 있다.

바다사자 중에서 가장 크며 수컷은 1톤에 육박하기도 한다.

3. 한국에서의 큰바다사자[편집]


한국에는 큰바다사자의 집단 서식지는 없지만 동해안과 울릉도, 독도 주변 해역, 제주도 등지에서 가끔 발견되며 멸종위기동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2012년에는 울릉도 사동항구에서 발견되기도 했으며, #2017년 3월에는 강릉 정동진에서 한 마리가 2019년 12월에는 부산 앞바다에서 한 마리가 추가로 발견되었다. 2023년 6월에 가거도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100여년만에 대한민국 서남부에 다시 관찰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했다. 이들은 대게 캄차카 등에서 출발해 동북해를 통해 남하해온 것으로 보인다. 반면 물개 종류 중 친척뻘인 점박이물범은 백령도대청도서해 5도 일대에 자생지가 있다. 가거도에서 발견된지 두 달 만에 통영의 앞바다에서도 큰바다사자가 발견되었다.


4. 한국 동물원 보유 현황[편집]


서울동물원에서 수컷 장군이와 암컷 장순이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2013년 장군이가 사망하고 현재는 장순이만 남아 있다. 그리고 서울어린이대공원코만도, 에버랜드 주토피아두두 총 두 마리가 있다.

아니면 우리나라 앞바다에 순치장과 야외풀장을 만들어놓고 진짜 비닷물을 끌어들인 뒤 큰바다사자를 더 넓은 국립생태원 방식으로 친환경 사육공원에서 키워야 한다.

장순이, 코만도, 두두 모두 노령이어서 종 보전을 위해서라면 큰바다사자의 추가 도입이 필요하다.

5. 대중매체[편집]


꼬마펭귄 핑구에 악몽이라는 에피소드에서 큰바다사자와 비슷한 캐릭터가 잠시 나왔었다. 코의 모양부터 수많은 수염을 보면 서로 비슷하지만 문제는 이 동물이 남극에서 살고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5:13:41에 나무위키 큰바다사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백상아리청상아리 등 대형 상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