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콰이저우

덤프버전 :

분류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개발
[ 펼치기 · 접기 ]

현재 주요 우주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파일:JAXA 로고.svg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기관 주력 발사체
ta-hash-start=w-74b75b2f2af434a58d56ef25d8e2b9c9[[파일:러시아 국기.svg 소유즈ta-hash-start=w-74b75b2f2af434a58d56ef25d8e2b9c9[[파일:러시아 국기.svg 안가라ta-hash-start=w-74b75b2f2af434a58d56ef25d8e2b9c9[[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로톤
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SLS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ta-hash-start=w-4a90df0803c61aab5c319444f910371b[[파일:중국 국기.svg 창정
ta-hash-start=w-823b37928d6fa4a40e83a5434d122d4e[[파일:인도 국기.svg PSLVta-hash-start=w-823b37928d6fa4a40e83a5434d122d4e[[파일:인도 국기.svg GSLVta-hash-start=w-741a5b6ed383df37ba2e8e6489da2070[[파일:일본 국기.svg 엡실론
ta-hash-start=w-519c84155964659375821f7ca576f0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누리ta-hash-start=w-94123510dc3222535366c91a35c0dc7e[[파일:북한 국기.svg 천리마-1
민간기업 주력 발사체
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팰컨 9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팰컨 헤비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아틀라스 V
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델타 IV 헤비ta-hash-start=w-741a5b6ed383df37ba2e8e6489da2070[[파일:일본 국기.svg H-IIAta-hash-start=w-4a90df0803c61aab5c319444f910371b[[파일:중국 국기.svg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일렉트론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런처원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페가수스
ta-hash-start=w-519c84155964659375821f7ca576f0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스타십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뉴 글렌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벌컨
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뉴트론ta-hash-start=w-74b75b2f2af434a58d56ef25d8e2b9c9[[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르티시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ta-hash-start=w-741a5b6ed383df37ba2e8e6489da2070[[파일:일본 국기.svg H-IIIta-hash-start=w-519c84155964659375821f7ca576f0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LV-IIIta-hash-start=w-806cc0fb5aaea4c65be7d2426ee3eeb0[[파일:미국 국기.svg 테란 1
소형 발사체
ta-hash-start=w-519c84155964659375821f7ca576f0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체연료 발사체ta-hash-start=w-519c84155964659375821f7ca576f0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LV-s








파일:콰이저우.jpg
KZ-1
파일:FjV0f3kVQAMz55X.jpg
KZ-11

快舟
Kuaizhou


1. 개요[편집]


중국의 민간 로켓 제조 기업 Expace가 개발 및 제조하고 중국 국가항천국이 운용하는 또 다른 로켓 시리즈로 2013년부터 운용되기 시작했다. 快舟은 쾌속선이란 뜻을 갖고 있다.


2. 역사[편집]


초호기인 KZ-1은 고체 연료 로켓으로 중국 인민해방군의 지상 발사형 BMD 미사일을 기초로 제작되었다. 고정식 발사대에서 운용되는 KZ-1과 TEL에서 운용되는 소형화 버전인 KZ-1A는 2019년을 기준으로 7차례 발사되어 모두 성공하였다.

KZ-1A와 KZ-1은 230~450kg의 화물을 LEO에 올릴 수 있는 소형 로켓이나 LEO에 1.5톤을 올릴 수 있는 KZ-11, 20톤을 올릴 수 있는 KZ-21, 70톤을 올릴 수 있는 KZ-31과 같은 대형 로켓들이 차례로 계획되어 있다.

상당히 베일에 쌓인 발사체로 엔진과 로켓 모두 상세 제원이 공개되지 않았다.

콰이저우-1은 실패가 없었으나, 2020년 발사된 후속작은 연달아 실패했다. 콰이저우-11, 콰이저우-1A은 각각 2020년 7월, 9월에 발사되어 실패한것. 아무래도 정부가 주도하는 창정시리즈와는 달리 기업인 ExPace가 수익을 내기 위해 만든 제품이다보니 아직 창정 시리즈만큼의 신뢰성은 얻지 못한 듯 하다.

이외에도 사기업인 LandSpace사의 ZQ-1, ZQ-2가 있으며, 이것도 창정-11 로켓의 설계를 이어받은 것이다.

KZ-11은 2020년 첫 발사에 실패했으나 2년 이상의 추가 개발 끝에 2022년 12월 재발사에 성공했다.#

3. 버전[편집]


파일:kz-family-image2.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01:03:06에 나무위키 콰이저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