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야 칼라스

덤프버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72ce 70%, #0072ce 80%, #000 80%, #000 90%, #fff 90%, #fff)"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에스토니아|[[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에스토니아
관련 문서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에스토니아 제19대 총리
Her Excellency
카야 칼라스
Kaja Kallas
파일:Kaja Kallas.jpg
출생1977년 6월 18일 (47세)
소련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하르유 주 탈린
국적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재임기간제19대 에스토니아 총리
2021년 1월 26일~ 현직
학력타르투 대학교 (법학 / 학사) (1995년~1999년)
에스토니아 비즈니스 스쿨 (경제학 / MBA) (2007년~2010년)
정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01008e 개혁당}}}
]]
직업정치인, 변호사
가족배우자: 타비 베스키마기[1](2002년~2014년)
아르보 할릭[2](2018년~)
슬하: 3명[3]
경력에스토니아 의회 의원 (2011~2014년, 2019년~)
유럽의회 의원 (2014년~2018년)
개혁당 대표 (2018년~)
SN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일생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에스토니아의 現 제19대 총리. 첫번째 여성 정치인으로써 처음으로 총리가 되었다.

에스토니아의 최초 여성 총리이다. 에스토니아의 최초 주요 정당 여성 당대표이기도 하다. 취임 당시부터 케르스티 칼률라이드 대통령의 임기가 끝날 때까지 에스토니아는 세계 유일 여성 대통령과 여성 총리가 이끄는 나라가 되었다.

모국어인 에스토니아어를 포함해서 영어, 핀란드어를 능숙하게 할 수 있고 프랑스어, 러시아어를 할 줄 안다.[4]


2. 일생[편집]


1977년 탈린에서 태어났으며 훗날 에스토니아 총리가 된 심 칼라스와 크리스티 칼라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증조할아버지는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 설립자 중 한 명인 에두아르드 알베르(Eduard Alver)이다. 그녀의 아버지 집안은 라트비아계, 독일계이다. 1999년 타르투 대학교를 졸업하고 로펌에서 근무하였고, 로펌 근무 당시 프랑스와 핀란드에 잠깐 살았다. 그녀는 유럽과 에스토니아 경쟁법에 특화되어 있었다. 또한 2007년 에스토니아 비즈니스 스쿨을 입학해 2010년에 MBA를 취득했다.

2010년에 칼라스는 개혁당에 입당하였다. 2011년 의회 선거에서 당선되어 에스토니아 의회인 리기코구에서 근무하였다. 2014년에는 유럽의회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녀는 2018년까지 유럽의회에서 근무하였다.

한편, 2017년 에스토니아에서는 한노 페브쿠르(Hanno Pevkur)가 그 다음해 당 지도부 선거에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고 칼라스가 대신 출마한 것을 제안했다. 그녀는 제안을 고려한 후, 2017년 12월 15일 지도부 선거에 출마하라는 제안을 수락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결국 2018년 4월 14일에 치러진 지도부 선거에 승리하였고 그녀는 에스토니아 최초의 주요 정당 여성 당대표가 되었다.

2019년 총선에서 개혁당은 약 29%의 지지를 받아 제1당이 되었다. 34석을 획득하여 과반수인 51석 미만이었고 그녀는 원내에 진입한 다섯 개의 정당 중에서 극우 정당인 인민보수당과의 연정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사회민주당이사마가 참여하는 3당 연정 또는 중앙당과의 연정을 고려하였다. 중앙당과 협상이 결렬된 후 사회민주당과 이사마와 협상을 벌었으나 과거에 두 정당 사이가 좋지 못하였다는 것이 협상에 어려움을 주었다. 결국 이사마인민보수당이 참여하고 중앙당이 이끄는 내각에 참여할 것을 결정하여 과반수의 찬성을 못 받은 칼라스는 총리가 되지 못하였다.


2.1. 에스토니아 총리[편집]


그러나 위리 라타스가 자신의 정당이 여러 스캔들에 연루되어 총리직에 사임하였다. 칼라스는 중앙당과 연정 구성에 합의하여 2021년 1월 26일 의회의 과반수의 동의를 받아 내각을 구성하였다.

카야 칼라스는 에너지 위기로 인하여 에스토니아도 경제 위기를 겪었다. 개혁당의 지지율도 하락하여 연립 정부 붕괴 위기에 처하였다.

2022년 2월 24일, 에스토니아의 독립기념일이도 하는 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였다. 에스토니아는 대표적인 반러 국가이기도 하며, 인도적인 이유로 우크라이나의 경제적, 군사적 도움을 주고 있다. 에스토니아는 GDP 대비 우크라이나 지원액이 가장 높은 나라이다. 참고로, 미국의 경우는 GDP 대비 0.05%를 우크라이나 지원에 썼다. # 러시아 규탄과 우크라이나 지원에 앞장서는 카야 칼라스는 '북유럽의 철의 여인'이라고 불리며 개혁당은 높은 지지율이 나오고 있다.

2022년 6월 3일. 중앙당인민보수당과 손잡고 법안을 반대하자, 카야 칼라스는 중앙당 소속 장관 7명을 해임시켰다. 중앙당이 러시아인을 대변하는 정당이기도 하였고, 그 동안 코로나 19 유행 대처와 백신 접종 등에 이견이 쌓인 결과라고 보는 평이 있다. 이후 개혁당만 참여하는 소수 정부를 이끌고 있고, 이사마, 사회민주당과의 연정을 제안했다.# 7월 15일, 이사마와 사민당 구성하는 2차 내각을 출범했다.#

2023년 총선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중앙당에 압승하였다.# 8월에 남편의 사업이 러시아와 연계성 있다는 의혹이 나오면서 위기가 찾아왔다.# 그리고 여론조사에서 사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과반을 넘었지만, 사임을 거부하고 있다.#

NATO 사무총장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3. 둘러보기[편집]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민주진보당
무소속
푸슈파 카말 다할 (3기)천젠런한덕수 (2기)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라오 인민혁명당
무소속
샤나나 구스망 (2기)쏜싸이 씨판돈나지브 미카티 (3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몽골 인민당
무소속
안와르 이브라힘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아와미 연맹
베트남 공산당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셰이크 하시나 (4기)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부탄연합당
조선로동당
무소속
로타이 체링김덕훈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스리랑카 인민전선
바트당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디네쉬 구나와데나후세인 아르누스 (2기)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무소속
탈레반
리셴룽 (5기)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무소속
무소속
마인 압둘말리크 사이드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이슬람 다와당
리쿠드
압둘라 아리포프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베냐민 네타냐후 (6기)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자유민주당
중국공산당
나렌드라 모디 (2기)기시다 후미오 (2기)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무소속
캄보디아 인민당
앨리한 스마이을로프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아르 나므스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의 장남)아킬베크 자파로프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발루치스탄 아와미당
파타
세타 타위신안와르 울 하크 카카르 (권한대행)무함마드 이슈타이야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무소속
자유민주인민당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기)주소이트 콘스탄틴마르크 뤼터 (4기)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요나스 가르 스퇴레메테 프레데릭센 (2기)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단결
무소속
사회민주당
크리샤니스 카린시 (2기)미하일 미슈스틴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민주당
무소속
애국연합
그자비에 베텔 (2기)잉그리다 시모니테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개혁행동연대
무소속
피에르 다르투드리탄 아바조비치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
무소속
Open VLD
로버트 아벨라 (2기)피에트로 파롤린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독립사회민주연대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라만 할로우찬카 (2기)보랴나 크리슈토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우리는 변화를 계속한다
세르비아 진보당
위날 위스텔니콜라이 덴코프아나 브르나비치 (3기)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중도당
스페인 사회노동당
울프 크리스테르손발터 투른헤어 (2기)페드로 산체스 (2기)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방향-사회민주주의
자유운동
시민계약
로베르트 피초로베르트 골로프니콜 파시냔 (3기)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좌파녹색운동
피너 게일
무소속
카트린 야콥스도티르 (2기)리오 버래드커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알바니아 사회당
아이타이라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기)에디 라마 (3기)알렉산드르 안콰브 (2기)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보수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카야 칼라스 (3기)리시 수낙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이탈리아의 형제들
조지아의 꿈
데니스 시미할조르자 멜로니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2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자결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페트르 피알라알빈 쿠르티 (2기)안드레이 플렌코비치 (2기)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당
법과 정의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안토니우 코스타 (3기)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2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국민연합당
청년민주동맹
엘리자베트 보른 (2기)페테리 오르포오르반 빅토르 (5기)
[ 아메리카 ]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레몽 은동 시마 (임시)베르나르 구무 (임시)제랄도 마틴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무소속
번영을 위한 혁명
사라 쿠공겔롸 (2기)알리 라민 제인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
무소속
무소속
에두아르 응기렌테 (2기)압둘 하미드 드베이베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독립국민연합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아지즈 아칸누시프래빈드 주그노트 (2기)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모잠비크 해방전선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모하메드 울드 빌랄아드리아누 말레이안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폴리사리오 전선
독립민주행동당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기)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평화개발연합당
무소속
아마두 바함자 압디 바레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아이멘 베나브데라마네음과과 가메체 (권한대행)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민족저항운동
무소속
아비 아머드로비나 나반자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펠릭스 몰루아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기)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민주재건국가연합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민주운동
살레 케브자보조셉 응구테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콩고 노동당
콩고의 미래
로베르 뵈그레 맘베아나톨 콜리넷 마코소장미셸 사마 루콘데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카심 마잘리와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아메드 하차니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0:11:11에 나무위키 카야 칼라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에스토니아 재무부 장관을 맡았으며 현재 에스토니아에서 전기와 천연 가스 공급을 관리하는 elering의 CEO이다. [2] 은행가, 투자자이다.[3]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 1명과 현 남편과 그의 전 아내 사이에서 나온 자녀 2명이다.[4] 출처는 영어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