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춘천시(선거구)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춘천시.svg
선거인 수278,988명 (2016)
상위 행정구역강원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춘천시 전역
후평1동, 후평2동, 후평3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 약사명동, 조운동, 근화동, 소양동, 석사동, 퇴계동, 강남동, 교동, 신사우동, 신북읍, 사북면, 북산면, 동면, 서면, 동산면, 신동면, 동내면, 남산면, 남면
신설년도2000년
이전 선거구춘천시 갑, 춘천시 을
이후 선거구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국회의원
ta-hash-start=w-85451bcd52e72bcd342be6c34f4ac0d8[[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진태



1. 개요[편집]


춘천시 일원에 해당하던 폐지된 선거구이다. 16대부터 (18대를 제외하고) 20대까지 민주당계 정당이 매번 한끗차로 졌다는 점이 특징이다. 매번 후보가 바뀌고, 특히 16대, 17대 총선때는 군소 후보들로 인한 표 분열이 생긴것이 원인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한승수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춘천시
이민섭춘성군·양구군·인제군
제14대한승수
ta-hash-start=w-d14584212fce301cd6095f28f463baf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춘천시
이민섭춘천군·양구군·인제군
제15대한승수
ta-hash-start=w-1fdc0ee9d95c71d73df82ac8f0721459[[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춘천시 갑
류종수
ta-hash-start=w-df9028fcb6b065e000ffe8a4f03eeb38[[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춘천시 을
제16대한승수
ta-hash-start=w-5d944358f99554eb0ce6e66402f77404[[파일:민주국민당(2000년) 흰색 글씨.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춘천시
제17대허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김진태
ta-hash-start=w-f55b61d6b3bf265db7d801774062598a[[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춘천시
춘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승수(韓昇洙)34,166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2.30%당선
2김준섭(金俊燮)11,7853위

ta-hash-start=w-d63bf8504d5367cd369aac62b0c28b21[[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4.59%낙선
3백태열(白泰烈)3,0035위

ta-hash-start=w-456e5678d0431b6ef7501d834ff415bc[[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3.71%낙선
4손승덕(孫承德)26,1302위

ta-hash-start=w-0b8f15cfcc8033bdfb69b9ceedba6727[[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2.35%낙선
5최윤(崔潤)5,6784위


7.03%낙선
선거인 수102,555투표율
79.50%
투표 수81,511
무효표 수749

춘성군·양구군·인제군
춘성군, 양구군, 인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민섭(李敏燮)33,993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3.29%당선
2이동희(李東熙)7,0233위

ta-hash-start=w-ccabdb086d44719ec837ed39f84d2821[[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1.01%낙선
3박주성(朴周成)22,7702위

ta-hash-start=w-cfc1e52b72ce346b6ca748f650432953[[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5.69%낙선
선거인 수77,131투표율
85.97%
투표 수64,853
무효표 수1,067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춘천시
춘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승수(韓昇洙)32,8042위

ta-hash-start=w-d19b8d985baee064e8c579326c87835b[[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7.45%낙선
2유남선(兪南善)6,8134위


7.77%낙선
3손승덕(孫承德)38,0691위
43.46%당선
4백태열(白泰烈)6376위
0.72%낙선
5최윤(崔潤)7,9403위
9.06%낙선
6이상수(李相壽)1,3205위
1.50%낙선
선거인 수117,987투표율
75.10%
투표 수88,550
무효표 수967

춘천군·양구군·인제군
춘천군, 양구군, 인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민섭(李敏燮)25,0841위
44.62%당선
2허경구(許景九)6,9943위
12.44%낙선
3홍종욱(洪鍾旭)22,2182위
39.52%낙선
4박영석(朴營奭)1,9104위
3.39%낙선
선거인 수70,671투표율
80.9%
투표 수57,156
무효표 수950

2.3. 1993년 재보궐선거[편집]


춘천시
춘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류종수(柳鍾洙)26,9561위
37.50%당선
2유남선(兪南善)14,8132위
27.77%낙선
3황환도(黃愌道)6,8224위
7.46%낙선
4유지한(柳志漢)7,7113위
15.72%낙선
5강청룡(姜淸龍)8915위
5.58%낙선
선거인 수72,462투표율
58.50%
투표 수58,550
무효표 수776

전임 손승덕이 교통사고로 사망함에따른 보궐선거이다.


2.4. 제15대 국회의원 선거(甲/乙)[편집]


춘천시 갑
신북읍, 동면, 서면, 사북면, 북산면, 중앙동, 소낙동, 근화동, 소양동, 호반동, 후평1동, 후평2동, 후평3동, 사우동, 우두동, 사농동, 신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승수(韓昇洙)29,9901위
57.80%당선
2이용훈(李龍薰)3,6233위
6.98%낙선
3최윤(崔潤)16,6972위
32.18%낙선
4이상수(李相壽)1,5724위
3.02%낙선
선거인 수82,523투표율
64.86%
투표 수53,524
무효표 수1,642

춘천시 을
동산면, 신동면, 동내면, 남면, 남산면, 교동, 조운동, 약사동, 죽림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 석사동, 퇴계동, 온의동, 삼천동, 칠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민섭(李敏燮)19,6592위
37.20%낙선
2백태열(白泰烈)3,0394위
5.34%낙선
3유남선(兪南善)10,0663위
19.05%당선
4류종수(柳鍾洙)20,0691위
37.98%당선
선거인 수80,496투표율
67.66%
투표 수54,460
무효표 수1,627

2.5.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춘천시
춘천시 일원[춘천]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류종수(柳鍾洙)30,0912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28.12%낙선
2이상룡(李相龍)27,1793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25.39%낙선
4한승수(韓昇洙)30,7191위
28.71%당선
5이용범(李鎔範)9,2545위
8.65%낙선
6최동철(崔東哲)9,7644위
9.12%낙선
선거인 수177,468투표율
61.06%
투표 수108,370
무효표 수1,363

춘천고 출신 한나라당 류종수 후보와 민주당 이상룡 후보, 민주국민당 한승수 후보 3자간 같은 동문 출신 대결.[1] 한승수의 당선이 민주국민당의 지역구 출마자들 가운데 유일한 당선이었다.[2] 그나마 이곳 선거가 3파전으로 흘러가서 망정이지 까딱했으면 여기서도 낙선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민주국민당의 한승수 의원은 3선 성공 후 한나라당으로 이적한다.

2.6.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춘천시
춘천시 일원[춘천]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허천(許梴)47,6441위
42.87%당선
3변지량(邊知亮)46,2722위
41.63%낙선
4길기수(吉基洙)8,6563위
7.79%낙선
5이용범(李鎔範)8,5734위
7.71%낙선
선거인 수185,716투표율
60.57%
투표 수112,486
무효표 수1,341
17대 총선 강원도 내 최대 접전지역으로, 춘천고 출신 한나라당 허천 후보와 열린우리당 변지량 후보 양자간 같은 동문 출신 대결로 관심을 모았다. 선거 초반에는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으로 변지량 후보가 앞서 나갔으나, 중반 이후 보수세가 결집하면서 초접전 양상으로 흘러갔고, 개표 결과 허천 후보가 출구조사에서의 열세[3]를 뒤집고 당선되었다.

2.7.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춘천시
춘천시 일원[춘천]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윤(崔潤)14,4303위
14.32%낙선
2허천(許梴)41,1591위
40.83%당선
3류종수(柳鍾洙)38,4792위
38.17%낙선
4엄재철(嚴在鐵)3,4594위
3.43%낙선
6전찬홍(全燦洪)1,1346위
1.12%낙선
7유현규(柳賢圭)2,1405위
2.12%낙선
선거인 수197,867투표율
51.40%
투표 수101,705
무효표 수904
춘천고 출신 한나라당 허천 후보와 선진당 류종수 후보 양자간 같은 동문 출신 대결[4]로 허천 후보가 재선에 성공한다. 읍면동별 결과를 살펴 보면, 허천 후보는 구 춘천시 갑 지역(북부)에서, 류종수 후보는 15대 당시 자신의 지역구였던 구 춘천시 을 지역(남부)에서 우세를 보였다.


2.8.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춘천시
춘천시 일원[춘천]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진태(金鎭台)58,6291위
49.30%당선
2안봉진(安奉振)53,3252위
44.84%낙선
6변지량(邊知亮)사퇴
7허천(許梴)6,9673위
5.85%낙선
선거인 수214,735투표율
56.33%
투표 수120,966
무효표 수2,045

성수고 출신 새누리당 김진태 후보와 춘천고 출신 민주통합당 안봉진 후보 양자간 대결. 현역인 허천 의원은 새누리당 공천에서 김진태에 밀려 탈락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이전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일방적인 득표율 차이와는 달리 새누리당의 김진태 후보가 약 4% 남짓의 득표율 차로 간신히 의원 뱃지를 달았는데, 김진태 후보의 신승은 현역이었던 허천 후보의 무소속 출마로 인해 보수표가 갈렸다는 점이 컸다.

2.9.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2.9.1. 선거구 관련[편집]


2014년 연말 헌법재판소의 국회의원 선거구간 인구편차에 대한 위헌판결로 선거구 분구 기준 상한선이 낮아지면서 춘천시의 인구가 약 1,300여명 차이로 상한선에 근접하게 되자 일각에서는 분구가 될 수도 있지 않겠냐는 희망을 가지기도 하였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인구 하한선에 미달하여 발등에 불이 떨어진 강원도의 2개 선거구가 춘천의 바로 윗동네(철원-화천-양구-인제 선거구)아랫동네(홍천-횡성 선거구)이기 때문에 그 사이에 샌드위치로 낀 춘천의 선거구 역시 헌재 판결의 후폭풍에 덩달아 휘말려 있어 한 때 춘천의 일부 지역을 떼어 인구가 부족한 선거구에 떼어주는 춘천 분할론도 제기되었으나 최종적으로 홍천-횡성 선거구가 공중분해되는 선에서 정리되어 단독선거구를 지키게 되었다.

2.9.2. 선거 이전[편집]


2016년에 치러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의 막말 파동으로 논란을 빚은 상태에서 더불어민주당에서 허영 후보를 내세웠는데, 허영 후보가 국민의당 이용범 후보와 단일화에 성공하면서 김진태 후보와 정면대결을 펼치게 되었다.

2.9.3. 선거 결과[편집]


춘천시
춘천시 일원[춘천]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진태(金鎭台)66,3741위
50.54%당선
2허영(許榮)60,3332위
45.94%낙선
3이용범(李鎔範)등록무효
4강선경(姜善慶)4,6093위
3.50%낙선
선거인 수226,260투표율
59.14%
투표 수133,803
무효표 수2,487

20대 총선 강원 춘천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진태허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6,374
(50.54%)
60,333
(45.94%)
+ 6,041
(△4.60)
59.14%
구 춘천군
득표율14,442
(55.95%)
10,497
(40.67%)
+3,945
(△15.28)
57.27%
신북읍60.01%36.39%△23.6259.07
동면46.97%49.82%▼2.8556.88
동산면67.24%29.87%△37.3759.82
신동면61.98%34.52%△27.4661.17
동내면49.44%47.14%△2.3054.56
남면64.72%30.94%△33.7861.48
남산면67.73%29.44%△38.2955.25
서면67.07%28.98%△38.0957.47
사북면67.19%29.30%△37.8960.92
북산면74.26%23.76%50.5064.29
구 춘천시
득표율48,449
(49.79%)
45,577
(46.83%)
+2,872
(△2.96)
57.73%
소양동50.99%45.85%△5.1458.53
교동52.36%43.97%△8.3958.91
조운동52.71%44.09%△8.6254.68
약사명동54.57%42.61%△11.9659.83
근화동54.10%42.99%△11.1153.30
후평1동53.42%42.82%△10.6054.65
후평2동49.70%46.55%△3.1556.25
후평3동51.22%45.23%△5.9954.39
효자1동51.0%45.39%△5.6161.17
효자2동53.53%42.55%△10.9854.20
효자3동50.99%45.31%△5.6854.93
석사동45.34%51.35%6.0158.27
퇴계동46.22%50.35%▼4.1359.88
강남동50.55%46.54%△4.0160.41
신사우동53.65%43.23%△10.4259.50
후보김진태허영격차
거소·선상투표64.83%28.60%36.23
관외사전투표41.39%53.29%▼11.90
국외부재자투표26.54%66.54%40.0

성수고 출신 새누리당 김진태 후보와 강원고 출신 더민주 허영 후보 양자간 대결. 개표 내내 엎치락뒤치락 승부를 이어갔지만 개표 중반 이후부터 김진태 후보가 허영 후보를 상대로 역전에 성공한 이후 재역전을 허용하지 않으며 50.54% : 45.94%로 득표율 4.6%, 득표 수 6,041표 차로 꺾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이번에도 김진태 후보는 고전 끝에 신승한 셈이 되었다. 지난 총선 때는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인 허천이 표를 잠식했다는 핑계거리라도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런 게 없었고 오히려 더불어민주당 허영 후보가 정의당 후보의 표 잠식 피해를 입었다. 그런데도 4.6% 차 신승에 그친 것이다. 그만큼 이제 춘천시가 더 이상 보수 우위로 보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는 4년 후 총선 결과로 완벽하게 입증되었다.

당선자 김진태 후보는 동면과 석사동, 퇴계동 3곳을 제외한 모든 읍, 면, 동 지역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농촌 지역인 구 춘천군 지역과 도시 지역인 구 춘천시 지역 간 표심 차이가 이번에도 확연하게 드러났는데 구 춘천군 지역에서는 농촌 지역답게 김진태 후보가 압승을 거두었다. 신북읍에서 944표 차로 승리한 것을 시작으로 동산면에서 284표 차, 신동면에서 385표 차, 동내면에서 147표 차, 남면에서 202표 차, 남산면에서 662표 차, 서면에서 761표 차로 승리했고 사북면에서 507표 차, 북산면에서 255표 차로 승리했다. 허영 후보는 구 춘천군 지역에선 오로지 동면에서만 202표 차로 승리했을 뿐이었다. 득표율 차이는 15% 정도 차이가 났지만 대체로 인구가 적은 곳이기에 표 차는 모두 수백 표 차 단위였다.

반면에 구 춘천시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접전이 펼쳐졌다. 김진태 후보는 소양동에서 265표 차, 교동에서 174표 차, 조운동에서 151표 차, 약사명동에서 259표 차로 승리했고 근화동에서 348표 차, 후평 1동에서 622표 차, 후평 2동에서 180표 차, 후평 3동에서 490표 차로 승리했다. 그 밖에 효자 1동에서 151표 차, 효자 2동에서 596표 차, 효자 3동에서 132표 차, 강남동에서 342표 차로 승리했고 마지막으로 신사우동에서도 932표 차로 승리했다. 보시다시피 김진태 후보는 대체로 구 도심 지역에서 주로 승리했지만 모두 표 차는 수백 표 차 단위로 접전 끝에 승리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허영 후보는 아파트 단지가 많은 석사동에서 989표 차, 퇴계동에서 781표 차로 승리했다.

그 밖에 사전투표에선 김진태 후보가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204표 차로 승리했고 허영 후보는 관외사전투표에서 876표 차, 국외부재자투표에서 104표 차로 승리했다.

2.10. 21대 총선 (선거구 조정 전)[편집]


선거구 조정 후의 내용은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 문서와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춘천시 인구가 선거구 상한인구인 28만명을 돌파함에 따라, 선거구의 분구가 확정됐다. 분구 시 춘천 내의 민주당 최고 텃밭인 석사동+동면+동내면은 전부 남쪽의 을 선거구에 붙을 가능성이 높아서 각 당 내에서 자당에 유리한 선거구를 선점하려는(...) 눈치싸움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 지역중 일부는 철원, 화천, 양구와 합쳐?? 춘천 철원 화천 양구 갑/을로 나뉘게 됐다.
[갑] [을]

더불어민주당에는 춘천 출신인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마할 가능성도 언론에서 제기되었지만 본인은 부인하였고, 결국 출마하지 않았다. # 대신 허영 춘천시 지역위원장과 육동한 전 강원연구원장이 도전장을 내밀었다.[5] 허영 위원장은 동면에, 육동한 전 원장은 퇴계동에 주소지를 두고 있으며 각각 을/갑으로 나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예상 밖으로 허영 위원장은 춘천 갑 선거구에 춘천 을 선거구에는 정만호 후보가 출마하였다.

미래통합당에서는 현역 김진태 의원을 비롯하여 강대규 변호사가 분구를 전제로 가장 먼저 출사를 던졌으며, 김성식 자유한국당 강원도당 부위원장과 최성현 강원도당 서민경제위원장이 도전한다. 김진태 의원은 일단 동내면 출신이고 현재도 동내면에 거주 중이기는 한데, 앞서 말했듯 동내면이 포함될 선거구는 통합당에 매우 불리한 구성이 될 가능성이 높아서 고향을 버리고(...) 갑 선거구에 나갈 수도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춘천 갑에는 김진태 의원이 춘천 을에는 한기호 의원이 나가게 되었다.

정의당에서는 엄재철 춘천시 지역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3. 관련 문서[편집]




[춘천] A B C D E 후평1동, 후평2동, 후평3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 약사명동, 조운동, 근화동, 소양동, 석사동, 퇴계동, 강남동, 교동, 신사우동, 신북읍, 사북면, 북산면, 동면, 서면, 동산면, 신동면, 동내면, 남산면, 남면[1] 여담으로 KBS 스포츠 캐스터를 역임한 최동철 후보 역시 춘천고 출신이었다.[2] 전국구 비례대표에서 1명이 당선돼 총 2명이 당선된 셈이다.[3] KBS-SBS에서는 변지량 후보의 경합우세를, MBC에서는 변지량 후보의 우세를 예측했다.[4] 민주당 최윤 후보 역시 춘천고 출신이자, 최열의 남동생.[갑] 춘천시 남면, 남산면, 신동면, 동내면, 동산면 + 후평동, 석사동, 퇴계동, 효자동, 근화동, 강남동, 약사명동, 조운동, 교동 (신사우동을 제외한 춘천 시내 전체) 선거구에 춘천만 있는데 이름은 춘천 철원 화천 양구 갑이다.[을] 춘천시 사북면, 북산면, 신북읍, 동면, 서면 및 신사우동 + 철원군, 양구군, 화천군 일대[5] 1월 23일에 사퇴를 선언했다가 이후 번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