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선 5적 논란

덤프버전 :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표제어를 초선 5적 논란으로 바꾸어 존치(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역사2015년 12월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다른 정당과의 관계
전당대회역대 전당대회 (제2차(2016) · 제3차(2018) · 제4차(2020) · 임시(2021) · 제5차(2022))
선거지지 기반 · 인재영입
20대 총선20대 총선 체제 · 결과
19대 대선경선 · 국민주권선대위 · 결과
7회 지선결과
21대 총선총선기획단 · 후보자 · 결과 · 180석 드립
20대 대선경선 · 대선경선기획단 · 대한민국대전환 선대위 · 결과
8회 지선통합선대위 · 박지현 사과 기자회견 논란 · 결과
비판 및 논란정치·사회 관련 ·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 · 임미리 교수 고발 사건 · 초선 5적 논란 · 언론중재법 개정 논란 · 2021년 재보선 무공천 당헌 수정 · 경선 연기 논란 · 이낙연 지지자 선관위 결정 불복 시위 · 경선 무효표 규정 논란 · 노무현·김대중 합성물 게시 논란 · 2022년 내홍 · 당헌 80조 개정 논란 · 권리당원 전원투표 우선 당헌 신설 논란 · 3.1절 임시국회 논란 ·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 · 국회의원 티베트 방문 논란
대통령문재인
집권정부문재인 정부
관련 단체전국청년당 · 1618위원회 · 민주연구원 · 민주주의 4.0 연구원 · 김은경혁신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 민주당(2014년) · 더불어시민당 · 열린민주당 · 새로운물결
디지털 공보단
기타사회자유주의 · 진짜가 나타났다 ·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관련 틀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상임고문단 · 계파 분류 · 19대 국회의원 · 20대 국회의원 · 21대 국회의원



1. 개요
2. 역사
3. 문제점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패배한 후 당내 초선 의원 5명(오영환(경기 의정부 갑)·이소영(경기 의왕과천)·전용기(비례대표)·장경태(서울 동대문 을)·장철민(대전 동구))이 조국 사태를 거론하자 이에 반발한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이 이 5명을 을사오적에 빗대 '초선 5적'이라고 일컬으면서 일어난 논란. # '조선족'에 빗대 '초선족'이라는 표현도 쓰였다.


2. 역사[편집]


더불어민주당의 초선 의원들이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패배하고 자성을 이유로 조국 사태에 대해 논하려고 하자 더불어민주당의 친조국 성향 지지층들을 비롯해 클리앙, 보배드림, 루리웹 등 친민주당 커뮤니티의 강력한 반발로 문자폭탄 등의 공격이 가해졌다. SNS상에서 이들 초선 의원들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개인 신상이 무차별적으로 공개, 유포되면서 지지자들이 이들을 집단 공격하는 상황이 나타났다. #

총선 1년을 앞두고 오영환 의원은 불출마 선언을 하였다.


3. 문제점[편집]


더불어민주당 내 친문 진영의 과도한 내부 단속으로 인해 과거부터 민주당 내부의 다양성이 제한된다는 말이 나왔는데 이 사건이 대표적인 사례로 작용했다.

또 진보와 인권, 차별 및 혐오 배척을 추구하는 정당의 지지자들이 의원들을 을사오적에 빗대거나 '조선족' 같은 차별 언어를 사용하는 등 증오 발언을 한 것도 비판받아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결국 이러한 모습으로 하여금 대중들에게 잘못을 반성하지 않는 모습, 강성 지지자들을 위한 정당과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덧씌워졌고 이후 대선에서도 원팀 관련 잡음이 이루어졌을뿐만 아니라 대선을 패배로 끝마치고 나서도 졌잘싸라는 말이 나오는 등 대중들의 뜻을 민주당이 전혀 읽지 못하는 정도까지 초래했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2:37:49에 나무위키 초선 5적 논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