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필모

덤프버전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정필모
鄭必模 | Jung Pil-mo
파일:PMJ.jpg
출생1958년 6월 3일 (65세)
충청남도 당진군
(現 충청남도 당진시)
거주지서울특별시
현직제21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정보통신특별위원장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학력천안중앙고등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 / 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 박사)
병역대한민국 육군 중위 만기전역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비례대표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1
소속 위원회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경력더불어시민당 수석대변인 (공동)
KBS 부사장
미디어 인사이드 진행
경제뉴스 해설위원
1TV 뉴스제작 팀장
보도본부 경제과학 팀장
취재파일 4321 데스크
경제전망대 데스크 겸 앵커
사회·국제·경제부 기자
1987년 KBS 입사

1. 개요
2. 생애
3. 논란
4. 여담
5. 저서
6. 소속 정당
7. 선거 이력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오늘을 밝히고, 내일을 준비합니다

대한민국언론인 출신 정치인.


2. 생애[편집]


1958년 6월 3일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나 정미초등학교, 당진중학교, 천안중앙고등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양어대학 아랍어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7년 KBS에 공채 기자로 입사하여 KBS 보도본부 기자를 거쳐 KBS 경제전망대 및 미디어인사이드 앵커로 일했다. 1997년에는 KBS 노동조합 공정방송위원회 간사로 대선 편파왜곡방송 저지투쟁에 참여했다. 이명박 정부정연주 당시 KBS 사장을 강제 해임하려 하자 뉴스편집 책임자로 저항하다가 평사원으로 보직 해임당했다.

이후 9년간 평사원으로 근무하며 '공영방송 보도의 공정성 저해 연구'라는 주제로 논문을 썼다. 이를 토대로 <방송뉴스 바로 하기: 저널리즘의 7가지 문제와 점검목록>이란 책(공저)도 냈다. 방송계나 언론학계에서 교과서로 쓰이는 책 중 하나이다. 경제부 기자 경험을 바탕으로 상시화된 세계경제의 불안과 위기의 원인을 진단하고 해법을 제시하는 <달러의 역설>이란 책을 썼다.

2018년 4월부터 2020년 2월까지 KBS 부사장을 역임했다. 2020년에 치른 제21대 총선에서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후보 8번으로 공천을 받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3. 논란[편집]


  • 2018년, KBS 사규 위반으로 중징계 절차가 진행 되던 도중 KBS 부사장에 임명이 돼 논란이 되었다. 감사원은 정 부사장이 ‘부당한 겸직 및 외부 강의’로 KBS 규칙을 위반했다며 징계를 요구했고, KBS는 올 2월 인사위원회를 열고 1심에서 정 부사장에게 감봉 3개월의 징계를 내렸다. 정 부사장이 사규를 위반해 올린 ‘부수입’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KBS 부사장에 물러난 지 30여 일 만에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명단에 이름을 올려 KBS 윤리강령을 어겼다는 비판에 휩싸였다. 공영방송의 공정성과 신뢰도 측면에서도 논란이다. 심지어 KBS에서 보도된 비판 기사다.


4. 여담[편집]


  • 법률소비자연맹에서 21대 국회 개원 후 3년간 국회의원들의 본회의 재석률을 조사해 본 결과, 초선 의원들 중 유일하게 재석률이 9할을 넘긴 의원이었다.#

5. 저서[편집]


  • 2013년: 저널리즘의 7가지 문제(공저)
  • 2014년: 방송뉴스 바로 하기(공저)
  • 2015년: 달러의 역설
  • 2015년: Understanding Journalism in Korea (공저)


6.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35d58f24d7a7701719c983a1ef1979b1[[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2020정계 입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합당[1]

7.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ta-hash-start=w-db24907625924b6c0ce4eb4b4f7c75da[[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9,307,112 (33.35%)당선 (8번)초선[2][3]

역대 선거 벽보

8. 둘러보기[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대의기관 (전국대의원대회·중앙위원회)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김상희중앙위원회
의장
변재일
전국대의원대회
부의장
이용선
최혜영
중앙위원회
부의장
어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집행기구 (당무위원회·최고위원회)
당대표
(당무위원회 의장)
이재명
원내대표홍익표
수석최고위원
정청래
최고위원고민정 · 박찬대 · 서영교 · 장경태
서은숙 (지명) · 박정현 (지명)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독립기구
윤리심판원장위철환당무감사원장이학영
교육연수원장정봉주민주연구원장정태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당대표·최고위원회 소속기구
중앙당후원회장
문희상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송기도
윤리감찰단장
김석담특보단장-
국민응답센터장강준현수석대변인권칠승
대변인박성준 · 강선우 · 한민수 (원외) · 최민석[1] (청년) · 김도균 (국방)
안귀령 (상근부) · 서용주 (상근부) · 선다윗[2] (상근부,청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당대표비서실 (당대표 소속)
당대표비서실장
천준호당대표정무조정실장김영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전국위원회 위원장
전국여성위원장이재정전국노인위원장최락도
전국청년당 대표
전국청년위원장
전용기전국대학생위원장양소영
전국장애인위원장조연우전국노동위원장박홍배
전국농어민위원장이원택을지로위원장박주민
사회적경제위원장진선미소상공인위원장민병덕 · 이동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상설위원회
국가경제자문회의 의장변재일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윤호중
자치분권정책협의회 의장이낙연세계한인민주회의 수석부의장임종성
국제위원장황희전국직능대표자회의 의장안규백
민생연석회의 의장이낙연참좋은지방정부위원장양승조 · 정원오
당헌당규위원장유동수인권위원장주철현
다문화위원장윤영덕재정위원장임호선
예산결산위원장고용진청년미래연석회의 의장홍정민
인재위원장이재명탄소중립위원장김정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특별위원회 (상설)
중소기업특별위원장신영대사회복지특별위원장최종윤
보육특별위원장인재근교육특별위원장서동용
보건의료특별위원장신현영주거복지특별위원장천준호
경제통일특별위원장김경협국방안보특별위원장김병주 · 이철휘 · 황인권
동북아평협특별위원장
김영주문화예술특별위원장유정주
환경특별위원장-체육특별위원장임오경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장조승래 · 김상선정보통신특별위원장정필모
해양수산특별위원장윤재갑재해대책특별위원장오영환
종교특별위원장김회재 · 김영배 · 문정복북한이탈주민특별위원장김병기
4050특별위원장임종성여성정치참여확대위원장송옥주
국민통합특별위원장홍영표검찰개혁특별위원장윤호중
전통문화발전특별위원장김영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특별위원회 (비상설)
민생경제위기대책위원장김태년검찰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장박범계
국민안전재난대책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사무처
사무총장조정식수석사무부총장김병기
조직사무부총장김윤덕디지털전략사무부총장박상혁
전략기획위원장한병도홍보위원장한웅현
국민소통위원장최민희대외협력위원장김원이
법률위원장김승원 · 양부남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정책위원회
의장이개호
수석부의장김성주제1정책조정위의장기동민
제2정책조정위의장김병주제3정책조정위의장신동근
제4정책조정위의장김한정제5정책조정위의장최인호
제6정책조정위의장강훈식제7정책조정위의장김영호
파일:국회휘장.svg 원내기구 (의원총회)
원내대표홍익표
원내운영수석부대표박주민원내정책수석부대표유동수
원내정무특보이병훈원내경제특보홍성국
원내부대표강준현 · 문정복 · 문진석 · 신영대 · 유정주 · 윤재갑 · 이동주 · 이용빈 · 주철현 · 홍성국
원내대변인윤영덕 · 임오경 · 최혜영
파일:더불어민주당 워드마크.svg
상임고문
파일:더불어민주당 워드마크.svg
역대 당대표
[1] 청년대변인 선발오디션 더블루스피커 우승[2] 청년대변인 선발오디션 더블루스피커 준우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0:36:29에 나무위키 정필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더불어민주당에 흡수 합당.[2] 시민사회.[3] 2020.5.13. 더불어민주당 흡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