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영숙

덤프버전 :

정영숙 관련 둘러보기 툴
[ 펼치기 · 접기 ]

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공채 탤런트
[ 펼치기 · 접기 ]

동양방송 탤런트
1기(1964)김호정 · 윤소정
2기(1965)김세윤 · 김희준 · 서우림 · 신귀식 · 전양자
3기(1966)윤여정 · 지윤성
4기(1967)김종결 · 박용식 · 서승현
5기(1967)김창숙 · 노주현 · 안병경
6기(1968)강태기 · 김시원 · 김하림 · 정영숙
7기(1968)남성훈 · 봉혜선 · 하용수
8기(1969)김인문 · 연규진 · 임동진 · 정재순 · 최정민
9기(1969)유승봉 · 임병기 · 한진희
10기(1970)김성환 · 김형자 · 박혜숙 · 엄유신 · 이효춘
11기(1971)박영목 · 장용 · 최윤석
12기(1972)문숙 · 박칠용
13기(1972)곽정희 · 남윤정 · 백찬기 · 이덕화
14기(1973)연운경 · 유지인 · 이계영 · 정운용
15기(1974)김주영 · 유병준 · 조양자
16기(1975)장미희
17기(1976)김보미 · 김영란 · 백준기
18기(1977)임성민 · 조은덕
19기(1978)김영철
20기(1978)경인선 · 원미경 · 이미숙 · 차화연
21기(1979)최란 · 최화정
22기(1979)김영기 · 오혜림 · 이기선 · 정한용
23기(1980)유동근 · 이경표 · 한정국
†: 사망한 탤런트
※ 특채 탤런트는 제외
※ 나무위키 등재 인물 기입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영화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제18회
(1982년)
제19회
(1983년)
제20회
(1984년)
정윤희
(앵무새 몸으로 울었다)
정영숙
(유혹)
원미경
(여인잔혹사 물레야 물레야)

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 한국방송대상
탤런트상
신구
(1976년)
정영숙
(1978년)
이낙훈
(1979년)

파일:KBS 성우극회 로고.png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펼치기 · 접기 ]

기수 및 연도성우
특기
(1948)
구민, 양일민, 윤진, 이춘사, 장민호†, 최무룡
남해연†, 박현숙†, 백금녀†, 복혜숙†, 이혜경†, 장서일
제1기
(1954)
김수일, 박용기†, 신원균†, 심영식, 오승룡†, 이창환
고은정, 김소원, 김소희, 윤미림†, 최옥순
1955김기갑, 김재형†, 이우영†, 주상현
김복희, 김옥희, 서계영, 정은숙†, 천선녀
제2기
(1956)
김성원†, 김영배, 김인태†, 김현직†, 남성우†, 류기현†, 심완기, 정근우, 최길호†, 최을선
안영주†, 임옥영
1957김형진†, 이승길
유병희
제3기
(1958)
남일우, 박병오, 박신호, 오정환, 우한수, 최응찬
전계현
1960맹관영, 정건우†, 황일청
김영옥, 오현주, 전원주, 황화자
제4기
(1961)
김민규, 김장환, 이강식정철호, 최흘
고경미, 김선희, 김순원, 김순자, 김용림, 오해영, 이광자, 이은주, 이혜영, 정연옥, 최난희, 추영순
제5기
(1961)
김경호, 김계원†, 김인배, 민대식, 신세인, 양충, 이기명 임종국†, 채동식
제6기
(1962)
마옥자, 박민아, 박향자, 이승옥, 현혜정
1963김규상, 김무생†, 김영식, 박웅, 이봉우, 이완호†, 진성만, 홍계일
권미혜, 김선희, 김수희, 김인순, 김훈미, 남미라, 박정자, 박찬옥, 사미자, 손유진, 송영숙, 양구자, 오경자, 이경애, 이정선, 장미자, 전원주, 전윤희, 최지숙
제7기
(1964)
김종성, 안종국, 유강진, 이강룡, 이치우†, 조명남
김세원, 우소연, 이선영, 이영민, 장유진
제8기
(1965)
박상일†, 유재덕, 원한묵
정민희
1966김병관†, 김봉근, 배한성, 안정훈†, 황원
박영남, 박윤아, 방유성, 이민자, 이주실, 홍금숙
제9기
(1967)
김영식, 김용식, 김진동†, 김태연†, 박상규, 박춘일, 이광세, 이성주, 이영래, 장건일†, 정기항, 조달호†, 차재완
김순환, 김을동, 노명순, 마혜진, 명순희, 문옥현, 송도순, 이소연, 최희정
제10기
(1968)
김승경, 김정경, 남궁윤, 온영삼, 유민석, 윤병훈† , 이동주, 이종성
권영희, 김숙, 김정희, 나병옥, 이경자, 이민숙, 이정은, 임수아, 정영숙, 주희
제11기
(1969)
박광남, 송두석, 양지운, 오필탁, 유만준, 이정환, 이종임, 주호성, 탁원제
나수란†, 최수민, 최순자
제12기
(1970)
김규식, 김세한, 송용태, 이근욱, 한상덕
김정미, 손정아
제13기
(1971)
김도현, 김동희, 노민, 문영래, 박상규, 윤주상, 이재명
강연숙, 박윤경, 이영주, 최은숙, 한혜숙
제14기
(1972)
김기섭, 김동수, 김정호, 엄주환
남현경, 이민정
1973김진태, 박찬, 송세윤, 신동훈, 정동환
김민, 박은숙, 서금옥, 성선녀, 유지영, 이숙, 이향숙, 최옥희
1975김용채, 조동희
장미선, 최복금, 한수경
1976설영범, 오세홍
권희덕†, 송연희
제15기
(1977)
김난일, 김새영, 김용백, 김환진, 백진, 서학, 송찬, 이윤선, 이정구, 이종구, 장정진†, 정동열
강미형, 고선형, 김성희, 김정애, 박신영, 성병숙, 안경진, 유명숙, 이명희, 이연수, 이진화, 정경애†, 한명희, 한인숙, 허경림, 현숙희, 황복희
1978나한일, 서지원†, 유해무, 이봉준, 임효택, 장광, 이병철
전기병, 홍경화
1979박제길, 유영환, 윤기황
강희선, 이나진†, 임은정, 홍영란, 황정란
제16기
(1980)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서미옥, 이연희, 이주옥, 최문자
제17기
(1982)
김종환, 김준, 백순철†, 안종익, 윤병화, 이규화, 장세준†, 장승길
김수경, 김혜경, 문지현, 서혜정, 유남희, 임은영
제18기
(1983)
강구한, 김영민†, 김익태, 성창수, 유동현, 임성표, 최병상†, 이경영
이선희, 윤인석†, 이다금, 정옥주
제19기
(1984)
김태웅, 손원일
류선, 박수옥, 이현선, 정미숙
제20기
(1986)
박규웅, 박상훈†, 박홍식, 홍시호, 김하균
강은영, 권현수, 김양희†, 김옥경, 김정주†, 김혜미, 박은경, 신상숙, 조미란, 차명화, 최아란, 함수정, 황재경, 한상영, 임원빈
제21기
(1988)
강수진, 경진호†, 김민석, 문관일, 서문석, 이재용, 이현걸, 홍승섭
문일옥, 송덕희, 안정실, 이덕, 임명주, 장혜선, 조현옥, 최덕희, 최윤정, 한경애
제22기
(1990)
김경응, 김수중, 김승준, 김일†, 김한희†, 남기원, 서광재, 한석규, 한택심, 한호웅, 홍성헌
김순영, 김은아, 문선희, 박미선, 이연승, 임란, 조유연, 조진숙
제23기
(1992)
구자형, 김관진†, 김소형, 서윤석, 성완경, 손선근, 오인성, 이승주, 장호비, 전인배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박성현, 배정미, 서민이, 송민경, 안소연, 양정애, 오세윤, 오수경, 이선, 정미경, 홍성희
제24기
(1994)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김수진, 김진주, 박형욱, 신영애, 신혜경, 이용순, 이윤수, 이윤정, 이태경, 임아영, 장우영, 전유정, 주유랑, 최윤아
제25기
(1995)
김경수†, 김승태, 김우정, 석원희, 이원준, 정훈석, 조영호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제26기
(1997)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정소희, 정현경, 한정미
제27기
(1999)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제28기
(2000)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김명주, 김민아, 김정아, 김혜주, 윤현정†, 이주연
제29기
(2002)
박찬희, 신찬혁, 유호한, 윤동기, 이재웅, 홍진욱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제30기
(2003)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제31기
(2005)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박지윤, 양현, 오인실, 윤승희, 이승주, 홍선영
제32기
(2006)
김석환, 남도형, 백승철, 이병용, 장민혁, 정형석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제33기
(2008)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제34기
(2009)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제35기
(2010)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제36기
(2011)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제37기
(2012)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제38기
(2013)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제39기
(2014)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안세미, 이슬
제40기
(2015)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제41기
(2016)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제42기
(2017)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제43기
(2018)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제44기
(2019)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제45기
(2020)
송기원, 유선일, 이영기, 최현식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제46기
(2021)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김순미, 배하경, 안수현, 이눈솔
제47기
(2022)
이주봉, 이현주, 임의주, 전병하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제48기
(2023)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최연소 성우는 아랫줄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사망한 성우는 가운뎃줄로 한다.




정영숙
鄭永琡 | Jung Young sook
파일:배우 정영숙.png
출생1947년 4월 1일 (77세)
평안북도 선천군
가족남편 전동진, 아들 전유성, 딸 전유경
학력숭의여자고등학교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사학 / 학사)
종교개신교
데뷔1968년 TBC 6기 공채 탤런트

1. 개요
2. 활동
3. 주요 출연작
3.1. 영화
3.2. 드라마
3.3. 연극
4. 수상
5. 여담



1. 개요[편집]


파일:배우 정영숙 인터뷰 사진.jpg
대한민국배우. 젊은 층들에게는 예능 출연이 잦지 않아 인지도가 높지는 않지만, 조연으로 꾸준히 얼굴을 비추기에 이름으로 들으면 낯설지만 얼굴을 보면 "아! 이 분!"하고 알아볼법한 원로 여배우. 연기 경력만 50년이 넘었으며 이는 현재 진행형이다.


2. 활동[편집]


강렬한 인상을 바탕으로 강단 있는 여장부 기질의 조연으로 깊은 인상을 남긴 바 있다. 대표적으로 야인시대에서 한산 이씨(김좌진의 어머니이자 김두한의 할머니), 무인시대에서 대전상궁 최씨, 하얀거탑장준혁 어머니, 스토브리그백승수 어머니 등이 있다. 또한 딸을 홀로 키워가며 비극적인 삶을 살다가 죽게되는 인어아가씨의 '한경혜' 역으로도 많이 얼굴을 알렸다. 필모를 보면 알겠지만, 주인공의 강단있는 어머니/할머니 역할로 상당한 존재감을 보인다.

물론 지금이야 원로 배우로 어머니, 시어머니, 상궁 등의 역할로 잘 알려져 있지만 왕년에는 여군, 눈치 없는 며느리, 부잣집 딸에 로맨스 연기, 심지어 마담까지 폭 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바 있다. 드라마 그대를 사랑합니다에서 원로 배우 이순재와 함께 노년의 로맨스를 찍기도 했으며, 이후 2019년 영화 '로망'에서는 아예 노부부로 다시 출연하기도 했다. 1984년 TV문학관 118화 "겨울 나들이", 1985년 드라마 "열망"에서도 이순재와 부부로 출연했다.

MBC 드라마 남자가 사랑할 때에서 송승헌의 어머니 역으로 출연하며 재미있는 이력을 남겼는데, 바로 자기 자신의 젊었을 적을 연기하는 배우로 딸 전유경이 출연한 것. 가족이 배우로서 같은 작품에 출연하는 일은 종종 있지만 부자나 모녀가 같은 배역으로 출연한 것은 거의 찾아보기 힘든 기록이다.[1] 실제로 딸 전유경은 2022년 현재 현역 배우로 활동 중이다.

그 외에 1979~1994년까지 15년동안 동방유량 '해표식용유' 광고 전속모델로도 얼굴을 내밀었다.

2022년에는 헤어질 결심의 이해동 할머니(월요일 할머니) 역으로 출연하여, 특유의 연기력(특히 표정연기)으로 짧지만 굵은 인물을 소화했으며, 무엇보다 스토리 상으로도 극의 전개에 키를 쥔 인물로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3. 주요 출연작[편집]



3.1. 영화[편집]


개봉 연도제목배역비고
1976년부활의 땅주연
간난이간난이
1977년광화문통 아이
엄마없는 하늘 아래어머니조연
1978년벽 속의 두 사람주연
배우 수업
1979년마지막 찻잔하림
돛대도 아니 달고
1980년그때 그사람
마지막 밀애
1981년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종실의 아내
1982년유부녀
유혹
1984년술잔과 입술
가고파
1989년모래성
1990년휴거
1993년에미의 들
1999년간첩 리철진김 여사조연
2002년미션 바라바어머니주연
2005년레드 아이미망인특별출연
2006년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유정 모조연
2008년외톨이할머니
2017년콜링정선생님특별출연
2018년비밥바룰라은지엄마조연
2019년로망이매자주연
2021년싱크홀201호 오씨할머니
2022년인연을 긋다홍귀덕주연
헤어질 결심월요일 할머니조연

3.2. 드라마[편집]


방영 연도방송사방송명배역
1972년파일:MBC 로고(1969-1974).svg아다다
1975년파일:MBC 로고(1974-1981).svg신부일기
1979년파일:KBS-TV 로고(1973-1980).svg물무늬
1980년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소망
1981년두 여인
1982년천생연분
산하
꽃가마
1983년은하의 꿈
안개
남매김옥춘
빛과 사슬
1984년객사
1985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열망
꽃반지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해돋는 언덕
1986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그대의 초상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여심문남옥
1987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큰 형수윤정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어머니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애정의 조건김 마담
1988년은혜의 땅
1989년무풍지대박마리아
꽃피는 둥지
1990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왕조의 세월나시모토 이쓰꼬
1991년둥지를 찾아서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하늬바람정미진 모
파일:MBC 로고(1986-2005).svg무동이네 집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아스팔트 내 고향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왕도혜경궁 홍씨
1992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약속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이별없는 아침
숲속의 바람설희자
1993년서 있는 여자
파일:SBS 로고(1991-1994).svg결혼최 여사
파일:MBC 로고(1986-2005).svg엄마의 바다정옥
1994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한명회한명회의 장모 허씨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느낌경진
그대에게 가는 길
1995년파일:SBS 로고(1994-2000).svg장희빈내전 오 상궁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목욕탕집 남자들김민기 모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찬란한 여명유홍기의 처
1996년파일:SBS 로고(1994-2000).svg안중근조마리아
8월의 신부민 여사
파일:MBC 로고(1986-2005).svg달콤한 인생한씨
파일:SBS 로고(1994-2000).svgLA아리랑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애인명혜 모
1997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댁의 딸 우리아들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끝의 시작
프로포즈
파일:MBC 로고(1986-2005).svg세 번째 남자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모정의 강
1998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세상 끝까지
사랑과 성공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희망 여관
1999년파일:SBS 로고(1994-2000).svg청춘의 덫이 여사
크리스탈수아 모
그녀의 선택승국 모
카이스트
2000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신 귀공자장수진 모
파일:SBS 로고(1994-2000).svg여자만세
파일:MBC 로고(1986-2005).svg온달왕자들이일인
2001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아버지처럼 살기 싫었어용숙
인생은 아름다워박 여사
2002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그 햇살이 나에게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내 사랑 누굴까나춘희, 지연 모 [2]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제국의 아침신명순성왕후 유씨
파일:MBC 로고(1986-2005).svg인어 아가씨한경혜
파일:SBS 로고.svg야인시대김두한의 친할머니
2003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아내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무인시대최 상궁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로즈마리오 여사(정연의 시어머니)
2004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물꽃마을 사람들정경희
사랑을 할꺼야이 여사
파일:SBS 로고.svg청혼경희 모
2005년파일:MBC 로고(2005-2011).svg김약국의 딸들한실댁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웨딩정숙희
파일:MBC 로고(2005-2011).svg결혼합시다재원 모
2006년파일:OCN 로고(2001-2020).svg썸데이야마구치 하나 외할머니
2007년파일:MBC 로고(2005-2011).svg하얀거탑장준혁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드라마시티 - 하늘 연인복순
드라마시티 - 당신이 머무는 자리맹순
파일:MBC 로고(2005-2011).svg문희송옥희
파일:Dramax_CI.png크라임 시즌1정미경 피고인
2008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드라마시티 - 돈꽃말순
파일:SBS 로고.svg식객분여사
파일:MBC 로고(2005-2011).svg에덴의 동쪽배화미
파일:SBS 로고.svg떼루아
2010년당신의 천국옥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웃어라 동해야김말선
2011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두근두근 달콤양애자
파일:SBS 로고.svg더 뮤지컬양순이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TV문학관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덕님
2012년파일:SBS 로고.svg그대를 사랑합니다송이뿐
2013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광고천재 이태백지관순
파일:MBC 로고.svg남자가 사랑할 때윤홍자
드라마 페스티벌 - 나 엄마 아빠 할머니 안나할머니
2014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천상여자공정순
파일:EBS 로고.svg슴슴한 그대순자, 성태할머니
2015년파일:MBC 로고.svg불굴의 차여사임옥분
2017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꽃피어라 달순아최금선, 송연화의 모[3]
2019년파일:JTBC 로고.svg눈이 부시게최화영
파일:KBS 2TV 로고.svg생일편지여일애
파일:SBS 로고.svg스토브리그백승수 모
2020년날아라 개천용정명희 할머니[4]
파일:OCN 로고.svg미씽: 그들이 있었다한여희
2021년파일:KBS 1TV 로고.svg속아도 꿈결종화 모[5]
2023년파일:KBS 2TV 로고.svg효심이네 각자도생최명희


3.3. 연극[편집]


상연 연도제목배역비고
2022년사랑해요 당신 - 김해주윤애김해서부문화센터 하늬홀
2023년사랑해요 당신 - 예산충청남도문화예술회관

4. 수상[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명수상 부문작품
1977년제13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 여자 조연상광화문통 아이
1978년한국방송대상TV연기상KBS무대 - 겨울나들이
1983년제19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 여자 최우수연기상유혹
1988년제24회 백상예술대상TV부문 인기상어머니
2002년MBC 연기대상특별상
2017년제 10회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공로상
2021년월드스타 연예대상연극 부문 공로상

5. 여담[편집]


  • 1947년 평안북도 선천군에서 태어났으며 6.25 전쟁때 가족들을 따라 월남하였다. 피난중에 외삼촌과 외할머니를 잃고 어머니와 둘이 남았는데, 헤어진 아버지를 찾아 부산까지 내려와 국민학교를 부산에서 졸업하고 중학교때 서울로 정착했다고 한다.

  • 1982년 여성 배우 수입 순위에서 70년대 트로이카 다음가는 4번째 자리를 차지했다.

  • 젊은 시절에는 꽤 개성이 강한 얼굴이었으나 나이가 들면서 많이 부드러워졌다. 실제 성격도 꽤 강한지 신인 시절에도 대PD인 김재형과 꽤 차이나는 선배인 사미자에게도 주눅들지 않고 따질건 따졌다고 한다. #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에서 주연상 조연상 수상기록이 있으며 이는 여배우 중에서 유일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20:10:01에 나무위키 정영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비슷한 케이스가 전무송으로 눈이 부시게머니게임에서 아들인 전진우가 전무송이 맡은 캐릭터의 젊은 시절을 연기했다.[2] 특별출연.[3] 1회 ~ 15회 특별출연.[4] 특별출연.[5] 1회, 3회, 18회 특별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