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랜드 엠파이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2006년 영화에 대한 내용은 인랜드 엠파이어(영화) 문서
인랜드 엠파이어(영화)번 문단을
인랜드 엠파이어(영화)# 부분을
, 미국의 재즈 음반사에 대한 내용은 리버사이드 레코드 문서
리버사이드 레코드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국의 주요 도시권
[ 1~10위 ]
[ 11~30위 ]

순위이름도시권 인구
11피닉스-메사-챈들러
(밸리오브더선)
애리조나주4,845,832
12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버클리
(베이에리어)
캘리포니아주4,749,008
13리버사이드-샌버너디노-온타리오
(인랜드 엠파이어)
캘리포니아주4,599,839
14디트로이트-워렌-디어본미시간주4,392,041
15시애틀-타코마-벨뷰
(퓨젯 사운드)
워싱턴주4,018,762
16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블루밍턴
(트윈 시티)
미네소타주-위스콘신주3,690,261
17샌디에이고-출라비스타-칼스바드캘리포니아주3,298,634
18탬파-세인트피터즈버그-클리어워터
(탬파베이)
플로리다주3,175,275
19덴버-오로라-레이크우드
(마일하이 시티)
콜로라도주2,963,821
20볼티모어-컬럼비아-타우슨메릴랜드주2,844,510
21세인트루이스미주리주-일리노이주2,820,253
22올랜도-키시미-샌퍼드
(그레이터 올랜도)
플로리다주2,673,376
23샬럿-콩코드-개스토니아
(메트로리나)
노스캐롤라이나주-사우스캐롤라이나주2,660,329
24샌안토니오-뉴브라운펠스텍사스주2,558,143
25포틀랜드-밴쿠버-힐스버러오리건주-워싱턴주2,558,143
26새크라멘토-로즈빌-폴섬캘리포니아주2,397,382
27피츠버그펜실베이니아주2,370,930
28오스틴-라운드락텍사스주2,283,371
29라스베이거스-헨더슨-파라다이스
(라스베이거스 밸리)
네바다주2,265,461
30신시내티-코빙턴
(트라이 스테이트)
오하이오주-켄터키주-인디애나주2,256,884
출처: 2020년 인구조사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 (MSA) 기준

[ 31~50위 ]
[ 51~70위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주요 도시
[ 1~10위 ]
[ 11~30위 ]
[ 31~50위 ]

1. 개요
2. 교통
3. 교육
4. 스포츠
5. 하위 행정구역
6. 사건 사고
7. 여담


1. 개요[편집]


Inland Empire / Riverside-San Bernardino-Ontario metropolitan area

인랜드 엠파이어 혹은 리버사이드-샌버너디노-온타리오 광역권미국 캘리포니아주 남부에 위치한 도시권이다. 로스앤젤레스(LA) 카운티에서 동쪽 내륙으로 들어가면 있는 지역으로, 2020년 인구조사 기준 인구가 460만 명에 달하는 미국 13위 규모의 대도시권이다. 그러나 중심 도시인 리버사이드, 샌버너디노, 온타리오가 모두 타 도시를 압도할 정도로 크지 않으며 미국 제2의 도시인 로스앤잴레스와 인접해 있다는 사실 때문에 로스앤젤레스의 광역생활권인 그레이터 로스앤젤레스(Greater Los Angeles)에 속한다. 또한, 91번도로가 LA 남부 가디나까지 직행으로 연결되고[1], 온타리오에서는 60번, I-10이 북부 LA에 당일출퇴근생활권으로 연결되므로, 더욱더 영향력이 적게 느껴지게 된다.


2. 교통[편집]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오렌지 카운티캘리포니아주 남부의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수많은 고속도로, 국도, 고속화도로, 도시고속도로가 인랜드 엠파이어 각지를 잇지만 스프롤 현상루이스-모그리지 명제에 의해 교통 체증이 심각하다.

인랜드 엠파이어를 지나는 주요 도로로는 다음이 있다.

91번 주도는 애너하임 55번 고속도로 - 코로나 McKinley St. 까지 18마일 구간 동서 왕복 4차선의 91 Express, 유료급행차선 FasTrak을 운용하고 있으며, 완주시 최저 요금은 편도 $3.5 최고 피크시간 편도는 $38.35이며, 3명이상은 항시 무료이다. 오랜지 카운티와 리버사이드 카운티의 경계선에 중간출입구가 있으며, 이 출입구를 통해 241 유료도로를 이용해 얼바인 까지 직통으로 연결된다. 캘리포니아 내에서 발행된 모든 FasTrak Transponder는 91 Express 이용이 가능하다. 현재 91 하행선 (동쪽방향, 리버사이드 방면) 에서 15 하행선 (남쪽, 샌디에고 방면) / 15 상행선 (북쪽, 온타리오 방면) 에서 91 상행선 (서쪽, LA 방면)은 유료급행차선 구간이 겹치는 관계로 직결연결되어있으며, 15 하행선에서 91 상행선, 91 하행선에서 15 상행선은 연결이 되지 않은 관계로 2023년 말을 목표로 공사중이며, 실제로 2023년 10월 26일 확인 결과 공사가 대부분 완료된것이 확인되었다. 11월중으로 완료될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McKinley 이후 구간은 카풀차선이 운영중이다. 다만, I-215까지의 정체가 항시 극심한관계로 연장될 가능성이 없지 않지만, 아직은 계획이 나온것은 없다. 현재 전구간 운영사는 91ExpressLanes 이며, 241은 TheTollRoads가 관리한다.

10번 주간고속도로는 현재 LA 다운타운에서 I-605까지 유료급행차선이 운영되고 있으며, 2024년 초에 온타리오의 I-15까지 확장될 예정이다. 현재 2028년에 최종단계인 로마린다 및 레드랜드까지 연결이 예정되어있다. 이용료는 해당 시간대 통행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되며, 편도 이용료 $0.85가 최저금액이다. 시간대에 따라 2명이상 또는 3명 이상은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역시 캘리포니아 내에서 발행된 모든 FasTrak Transponder는 91 Express 이용이 가능하다. 추후 15번까지 연장이 되더라도, 15번 급행이 아직 10번까지 연장되지 않았고, 공간자체가 협소한관계로 급행차선 직결연결은 어려울것으로 보인다. I-605부터 I-15 구간은 LA 구간을 운영하는 MetroExpressLanes가 운영하지 않고, SBCTAExpress가 운영할 예정이다. 추후 로마린다 구간도 SBCTAExpress 관할이 될 예정이다.

15번 주간고속도로는 현재 코로나 남부 Cajalco Rd에서 Ontario의 CA-60 까지 유료급행차선이 운영되고 있으며, 10번 주간고속도로처럼 이용료는 해당 시간대 통행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되며, 완주 편도 이용료 $2.90이 최저금액이다. 항시 3명 이상은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급행차선 상부끝의 CA-210까지, 그리고 하부끝 Cajaldo Rd를 지나 Lake Elsinore 까지 정체가 상당한 관계로 일단 상부 끝에서 4마일 정도의 연장이 논의되는 중이다. 두 구간모두 상습정체구역에, 특히 상부 끝은 60번도로와 10번 주간고속도로 두개 고속도로의 분기점이 불과 2마일을 두고 15번 주간고속도로를 통해 연결된 관계에데가, 양쪽 방면 모두 두개 차선이 줄어들어서 답이 없는 상습정체를 매일 보여주고 있다. 아직 샌디에고 카운티가 운영하는 다른 구간의 15번 주간고속도로 유료급행차선과는 연결논의가 되지 않은 상태다. 무엇보다, 이구간은 캘리포니아의 Rural Area 제한속도가 적용되는 70마일 제한속도 구역이라 아마 연결되지 않을것 같다. 다만, 샌디에고 카운티가 운영하는 구간도, 15번 남부의 정체가 심해짐에 따라 연장논의가 되고 있으나, 두 급행차선 구간의 간격은 좁아질 가능성이 있다. 현재 RiversideExpress가 관리하고 있으며, 샌디에고 카운티 구간은 511Express가 운영중이다. 연장시엔, CA-60부터 I-15구간이 리버사이드 카운티가 아닌 샌 버나디노 카운티 소재이므로, 운영사가 다를 가능성이 없지 않다.



대중교통으로는 로스앤젤레스 광역권과 샌디에이고 등으로 이어지는 통근열차메트로링크, 샌버너디노로마린다를 잇는 간선급행버스체계샌버너디노 익스프레스 및 각지의 시내버스가 있다. 2024년에는 샌버너디노 카운티 애플 밸리에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로 이어지는 브라이트라인 웨스트선 정차역이 생길 예정이며, 2033년 이후에는 샌버너디노 카운티 샌버너디노와 리버사이드 카운티 머리에타에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2단계 구간(샌디에이고 지선) 정차역이 생길 예정이다.

공항으로는 온타리오 국제공항(ONT), 팜스프링스 국제공항(PSP), 샌버너디노 국제공항(SBD)가 있다. 이 중 ONT의 활주로 길이가 3.7km, 3.1km에 달하는 관계로 인근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X)행 대형 항공기의 비상시 대체 공항으로 사용된다. 또한 ONT는 UPS의 남부 캘리포니아 대형 화물 허브로 유명하고, 페덱스도 여기에서 미국내 화물을 주로 처리한다. SBD는 원래 미국 공군 기지였으나 민간 공항으로 전환 과정 중에 있으며, 현재는 화물기만 취항했다.

리버사이드 인터내셔널 레이스웨이가 리버사이드 카운티의 리버사이드에 있었으나 폐쇄됐다.


3. 교육[편집]


4년제 주립대학으로는 캘리포니아 대학교(UC) 시스템 소속의 UC 리버사이드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CSU) 시스템 소속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샌버너디노 캠퍼스가 있다. 4년제 사립대학으로는 캘리포니아 침례 대학교, 캘리포니아 과학의학대학교, 캘리포니아 서던 로스쿨, 라 시에라 대학교, 로마린다 대학교, 내셔널 대학교, 라 베르네 대학교, 레드랜드 대학교, 웨스턴 보건과학대학교가 있다. 이 외에 캘리포니아 커뮤니티 칼리지 시스템 소속의 주립 커뮤니티 칼리지 12개도 있다.


4. 스포츠[편집]


프로 구단이 없는 미국 도시권들 중 가장 크다. 축구팀으로는 4부 리그인 내셔널 프리미어 사커 리그에 속한 리버사이드 카운티의 테메큘라 연고 구단으로 테메큘라 FC가 있다.


5. 하위 행정구역[편집]


인구 1만 명 이상인 곳만 기재했다.

5.1. 리버사이드 카운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버사이드 카운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 미합중국의 카운티
Riverside County

리버사이드 카운티
국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캘리포니아 주기.svg 캘리포니아
카운티 정부 소재지리버사이드
최대도시리버사이드
면적전체18,910km²
육지18,660km²
인구2,418,185명
인구 밀도130명/km²
시간대UTC−8:00 (태평양 표준시)
UTC-7:00 (태평양 서머타임)

  • 리버사이드: 군청, 브랜드맨 대학교, 캘리포니아 침례 대학교, 캘리포니아 서던 로스쿨, 라 시에라 대학교, UC 리버사이드 소재지
  • 모레노 밸리: 브랜드맨 대학교 소재지
  • 코로나
  • 머리에타: 아주사 퍼시픽 대학교, 피닉스 대학교 소재지
  • 테메큘라: 브랜드맨 대학교,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샌마르코스 캠퍼스 테메큘라 분교 소재지, 테메큘라 FC 연고지
  • 후루파 밸리
  • 메니피
  • 헤멧
  • 인디오
  • 페리스
  • 레이크 엘시노어
  • 이스트베일
  • 샌 재신토
  • 뷰몬트
  • 카시드럴 시티
  • 팜 데저트: 브랜드맨 대학교,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샌버너디노 캠퍼스 팜데저트 캠퍼스, 산타바바라 비즈니스 칼리지, UC 리버사이드, 피닉스 대학교 소재지
  • 팜스프링스: 팜스프링스 국제공항 소재지
  • 코첼라
  • 라 퀸타
  • 윌도마르
  • 프렌치 밸리[CDP]
  • 데저트 핫 스프링스
  • 배닝
  • 애구아 칼리엔테 인디언 보호구역[AIAN]
  • 놀코
  • 테메세칼 밸리[CDP]
  • 미드 밸리[CDP]
  • 이스트 헤멧[CDP]
  • 브리스
  • 랜초 미라주
  • 발레 비스타[CDP]
  • 우드크레스트[CDP]
  • 엘 소브란테[CDP]
  • 레이크랜드 빌리지[CDP]
  • 홈 가든스[CDP]
  • 캐니언 레이크
  • 칼리메사

5.2. 샌버너디노 카운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샌버너디노 카운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 미합중국의 카운티
San Bernardino County

샌버너디노 카운티
국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캘리포니아 주기.svg 캘리포니아
카운티 정부 소재지샌버너디노
최대도시샌버너디노
면적전체52,070km²[2]
육지51,950km²
인구2,181,654명
인구 밀도42명/km²
시간대UTC−8:00 (태평양 표준시)
UTC-7:00 (태평양 서머타임)

  • 샌버너디노: 군청, 샌버너디노 국제공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샌버너디노 캠퍼스, 내셔널 대학교소재지
  • 폰태나
  • 온타리오: 온타리오 국제공항, 브랜드맨 대학교, 내셔널 대학교 소재지
  • 란초 쿠카몬가
  • 빅터빌
  • 리알토
  • 헤스페리아
  • 치노
  • 업랜드
  • 치노 힐스
  • 애플 밸리
  • 레드랜드: 레드랜드 대학교 소재지
  • 하이랜드
  • 유카이파
  • 콜턴
  • 아델란토
  • 몬트클레어
  • 트웬티나인 팜스
  • 바스토우
  • 로마린다: 로마린다 대학교 소재지
  • 블루밍턴[CDP]
  • 유카 밸리
  • 펠란[CDP]
  • 그랜드 테라스
  • 빅 베어 시티[CDP]
  • 레이크 애로우헤드[CDP]
  • 크레스트라인[CDP]
  • 머스코이[CDP]


6. 사건 사고[편집]


2015년 샌버너디노 카운티의 샌버너디노에서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했다. 2015년 샌버너디노 총기난사 사건 문서 참고.


7.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1:04:33에 나무위키 인랜드 엠파이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I-110으로 LA 연결[CDP]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카운티 직할지(Unincorporated community)이다.[AIAN] 아메리카 원주민 자치구(American Indian Reservation)이다.[2] 대한민국 절반이상의 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