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니콘 기업

덤프버전 :




1. 개요
3. 국가별 현황
4. 목록
4.1. 헥토콘 기업
4.2. 데카콘 기업
4.3. 유니콘 기업
4.3.1.1. 과거에는 유니콘 기업이었으나 현재는 제외된 국내 기업
4.3.1.2. 여담
4.3.2. 기타 해외 유니콘 기업


1. 개요[편집]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1]비상장 스타트업을 이르는 말이다. 스타트업이 상장 전에 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하는 것은 상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유니콘과 같이 희귀하다는 의미로 2013년 벤처 투자자 에일린 리가 처음 사용했다.

기업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은 데카콘(decacorn)[2]이라 부르며, 기업가치가 1천억 달러 이상[3]인 스타트업은 헥토콘(hectorcorn)이라 부른다.


2. 기업가치[편집]


스타트업의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식적인 문서에 쓰이는 기업 가치는 투자자로부터 실제로 투자를 유치했을 때 인정받은 가치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한두 푼도 아니고, 수십~수천억 원을 투자하는 데 투자자들이 누구보다 치밀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기업 가치 평가는 시장의 잠재 규모와 시장 점유율, 매출 증가율, 기술 혁신성으로 인한 높은 부가가치, 경영진의 비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행된다.

만성 적자 상태인데다 매출도 기업 가치의 10% 수준도 안되는 스타트업들이 상당수이다. 기업 가치는 매출과 수익만으로 정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매출과 수익이 안정적으로 발생하는 기업이라면 창업자 지분을 희석시키면서까지 외부 투자를 받으며 자본을 조달할 이유가 덜할 것이다.

2010년대 초반 스마트폰의 대중화 덕분에 유니콘 기업들이 급증하며 본 의미가 퇴색되었으나[4], 2022년 각국 중앙은행에서 과한 유동성으로 인해 발생한 고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대폭 인하하자 경기 둔화가 찾아오고 벤처캐피탈 자금이 묶이면서 기업가치가 대체로 크게 하락했다. 대표적으로 헥토콘 기업이었던 3위 쉬인과 4위 스트라이프는 각각 34%, 42% 하락한 금액에 신규 자금을 조달 받았다. 이는 모바일 시대가 도래한 이후 10여년만에 맞은 첫 번째 위기였으며 2023년 상반기까지 지속되었다.[5]


3. 국가별 현황[편집]



유니콘 기업(CB Insights)[6]
순위국가최고가치기업
1미국629SpaceX ($1,270억)
2중국173Bytedance ($1,400억)
3인도68Byju’s ($220억)
4영국44Checkout.com ($400억)
5독일29Celonis ($110억)
6프랑스24Doctolib ($64억)
7이스라엘22Wiz ($60억)
8캐나다19Dapper Labs ($76억)
9브라질17QuintoAndar ($51억)
10대한민국15Toss ($74억)
11싱가포르13HyalRoute ($35억)
12스웨덴8Klarna ($456억)
호주Canva ($400억)
14홍콩7Lalamove ($100억)
멕시코Kavak ($87억)
네덜란드Mollie ($65억)
17인도네시아6J&T Express ($200억)
스위스SonarSource ($47억)
아일랜드BrowserStack ($40억)
일본Preferred Networks ($20억)
21노르웨이5Cognite ($15억)
22핀란드4RELEX ($57억)
스페인Jobandtalent ($23.5억)
24튀르키예3Getir ($118억)
벨기에Collibra ($52.5억)
콜롬비아Rappi ($52.5억)
아랍에미리트Vista Global ($25억)
28에스토니아2Bolt ($84억)
덴마크Pleo ($47억)
리투아니아Vinted ($45.3억)
오스트리아BitPanda ($41.1억)
베트남Sky Mavis ($30억)
필리핀Mynt ($20억)
크로아티아Rimac Automobili ($20억)
남아공Promasidor Holdings ($15.9억)
칠레NotCo ($15억)
태국Ascend Money ($15억)
38바하마1FTX ($320억)
세이셸KuCoin ($100억)
아르헨티나Uala ($24.5억)
룩셈부르크OCSiAl ($20억)
나이지리아Opay ($20억)
말레이시아Carsome ($17억)
세네갈Wave ($17억)
버뮤다Afiniti ($16억)
에콰도르Kushki ($15억)
체코Rohlik ($12억)
이탈리아Scalapay ($10억)
합계48개국1,170$3조 8,200억


4. 목록[편집]


편의상 기업가치가 높은 순으로 정렬한다(CB 인사이트 기준).

4.1. 헥토콘 기업[편집]


기업가치 1,000억 달러 이상

순위기업명영문명기업가치국가
1바이트댄스Bytedance$2,250억중국
2스페이스XSpaceX$1,270억미국


4.2. 데카콘 기업[편집]


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

순위기업명영문명기업가치국가
3쉬인SHEIN$660억중국
4스트라이프Stripe$500억미국
5클라나Klarna$456억스웨덴
6캔바Canva$400억호주
체크아웃닷컴Checkout.com영국
8인스타카트Instacart$390억미국
9데이터브릭스Databricks$380억미국
10레볼루트Revolut$330억영국
11FTX[7]FTX$320억바하마
12에픽게임즈Epic Games$315억미국
13파나틱스[8]Fanatics$270억미국
14차임[9]Chime$250억미국
15바이주스BYJU's$220억인도
16샤오훙수[10]Xiaohongshu$200억중국
J&T 익스프레스J&T Express인도네시아
18미로Miro$175억미국
19위안푸다오[11]Yuanfudao$155억중국
20DJIDJI$150억중국
디스코드Discord미국
고퍼프Gopuff미국
위안치선린[12]Yuanqi Senlin중국
리플[13]Ripple미국
25블록체인닷컴[14]Blockchain.com$140억영국
26플레이드Plaid$135억미국
27오픈씨[15]OpenSea$133억미국
28그래머리Grammarly$130억미국
29디보티드 헬스Devoted Health$126억미국
30페어Faire$125.9억미국
31브렉스Brex$123억미국
32쥴 랩스JUUL Labs$120억미국
비트메인[16]Bitmain Technologies중국
바이오스플라이스Biosplice Therapeutics미국
굿리프GoodLeap미국
싱셩유쉔Xingsheng Selected중국
Deel미국
38게티르Getir$118억튀르키예
39에어테이블Airtable$117억미국
40종무 테크놀로지ZongMu Technology$114억중국
41리플링Rippling$112.5억미국
42글로벌스위치Global Switch$111억영국
43셀로니스Celonis$110억독일
볼트Bolt미국
45웨이롱Weilong$108.8억중국
46스위기Swiggy$107억인도
47알케미Alchemy$102억미국
48랄라무브Lalamove$100억홍콩
피그마[17]Figma미국
구스토Gusto미국
처하오두오Chehaoduo중국
레딧reddit미국
톡데스크Talkdesk미국
노션 랩스Notion Labs미국
쓰라시오Thrasio미국
디지털커런시그룹Digital Currency Group미국
큐코인KuCoin세이셸


4.3. 유니콘 기업[편집]



4.3.1. 대한민국[편집]





2022년 2월,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국내 유니콘기업은 총 18개다. 추가적으로 과거 유니콘 기업이었으나 상장 등의 이유로 현재는 유니콘 기업에서 제외된 9개의 기업도 같이 발표하여, 중소벤처기업부 공식 인증 역대 국내 유니콘 기업은 27개사로 확인되었다.

이 중 CB Insights에서 인정하는 유니콘 기업은 14개사로, 비바리퍼블리카($74억)·옐로모바일($40억)·컬리($33억)·위메프($23.4억)·무신사($22억)·직방($15.5억)·버킷플레이스($14.0억)·리디($13.3억)·지피클럽($13.2억)·엘앤피코스메틱($11.9억)·쏘카($10.7억)·에이프로젠($10.4억)·두나무·야놀자(이상 $10억)가 해당한다. 비공개 A사, 투자사에서 구체적으로 기업가치를 밝히지 않은 빗썸코리아·티몬에 더하여 당근마켓까지 총 4개사가 제외되었다.

데이터플랫폼 기업인 아이지에이웍스는 중기부 유니콘 명단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CB Insights 명단에는 포함되었다. 아이지에이웍스를 포함한 CB Insights 국내 유니콘 기업은 총 15개다.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은 2023년 현재 중기부 유니콘 명단이나 CB Insights를 통한 리스트에 등재되어있지는 않으나, 기업가치 1조원으로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유니콘 기업으로 올라섰다. 최근엔 스타트업 기업 DB가 집대성된 혁신의 숲에 유니콘 기업으로 등재됐다.

중소벤처기업부 발표 2022 국내 유니콘 기업
기업명대표 브랜드최근 기업가치CB Insights등재 시기2021년 매출액
두나무업비트, 증권플러스7.2조 원$10억2021.07.3조 7,046억 원
여기어때컴퍼니여기어때1.2조 원$10억2022.10.2,049억 원
야놀자야놀자6.8조 원$10억2019.06.3,748억 원
비바리퍼블리카토스, 타다$74억(8.2조 원)$74억2018.12.7,808억 원
옐로모바일피키캐스트, 쿠차$40억(4.8조 원)$40억2014.11.2,508억 원[18]
컬리마켓컬리1.9조 원$33억2021.07.1조 5,614억 원
위메프위메프$26.5억(3.18조 원)$23.4억2015.09.2,448억 원
당근마켓당근$24.7억(3조 원)-2021.08.257억 원
빗썸코리아빗썸0.8조-2022.02.1조 99억 원
무신사[19]무신사$18.9억(2.27조 원)$22억2019.11.4,667억 원
티몬티몬불명[20]-2016.04.1,291억 원
L&P코스메틱메디힐$14.8억(1.78조 원)$11.9억2016.01.2,642억 원
버킷플레이스오늘의집$14.0억(1.8조 원)$14.0억2022.05.1,176억 원
GP클럽JM 솔루션$13.2억(1.58조 원)$13.2억2018.10.5,355억 원
리디리디, 만타(Manta)$12.3억(1.6조 원)$13.3억2022.01.2,038억 원
에이프로젠GS071$10.4억(1.25조 원)$10.4억2019.05.263억 원
직방직방$9.0억(1.1조 원)$15.5억2021.06.559억 원
A사[21]불명(도·소매업)불명-불명불명


4.3.1.1. 과거에는 유니콘 기업이었으나 현재는 제외된 국내 기업[편집]


기업명대표 브랜드최근 기업가치[22]등재 시기제외 시기2021년 매출액
쿠팡쿠팡$304억(40.9조 원)2014.05.2021.03.11.[뉴욕거래소]20조 8,813억 원
크래프톤[23]배틀그라운드, 비트윈[24]$92.3억(12.4조 원)2017.10.2021.08.10.[유가증권시장]1조 8,863억 원
하이브[25]방탄소년단[26], 위버스$56.7억(7.6조 원)2019.06.2020.10.15.[유가증권시장]1조 2,559억 원
넷마블[27]모두의마블, 세븐나이츠$41.9억(5.6조 원)2011.11.17.[28]2017.05.12.[유가증권시장]2조 5,069억 원
펄어비스검은사막$27.3억(3.7조 원)2015.12.2017.09.14.[코스닥]4,038억 원
카카오게임즈오딘: 발할라 라이징$31.4억(4.2조 원)2018.05.2020.09.10.[코스닥]1조 125억 원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40억(4.75조 원)[29]2014.12.2020.12.28.[30]2조 88억 원
쏘카쏘카$6.4억(8,607억 원)2020.10.2022.08.22.[유가증권시장]2,890억 원
더블유게임즈더블유카지노$5.5억(7,387억 원)2015.06.2015.11.04.[코스닥][31]6,241억 원
잇츠한불잇츠스킨$2.5억(3,421억 원)2015.10.2015.12.28.[유가증권시장]1,402억 원

이 중 CB Insights에서 인정했던 유니콘 기업은 우아한형제들·CJ게임즈·쿠팡·크래프톤·쏘카이다.

넷마블과 카카오게임즈는 대기업에서 분사한 기업이기 때문에 유니콘 기업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시각이 존재한다. 실제로 그동안 국내 언론 등에서는 국내 1호 유니콘 기업을 쿠팡으로, 2호를 옐로모바일로 칭해왔으나, 중기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넷마블(舊 CJ게임즈)이 1호 유니콘 기업이 되어야 한다.[32] 다만, 이는 CB Insights의 자료를 참고로 하여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4.3.1.2. 여담[편집]

국내 1세대 유니콘 기업인 옐로모바일은 실적부진으로 인하여 기업 가치가 많이 하락했고, 현재는 유니콘 기업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실제로 2019년 2월 문재인 대통령 초청 하에 청와대에서 열린 '혁신벤처기업인 간담회'에서 당시 기준 6개의 유니콘 기업 대표 중 유일하게 초청받지 못했다. DART에 공시된 연결재무제표에 따르면 옐로모바일의 매출은 2017년 5,106억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18년 4,699억, 2019년 2,508억으로 급감하였다. 또한 2015~2019 5년간 매출액은 1조 9878억 원이었으나, 총포괄손익은 4,682억 원 적자를 기록하였다.[33]

브랜드 젠틀몬스터로 유명한 아이아이컴바인드는 구주 투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1조 2000억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으나 아이아이컴바인드측과 투자사가 CB insights에 자료를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함에 따라 유니콘 기업 선정에서 누락되면서 중소벤처기업부의 유니콘 기업 발표에서도 빠지고 있다.#

2021년 두나무의 매출액은 3조 7,046억 원, 영업이익은 3조 2,714억 원으로, 88.3%라는 믿기 힘든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빗썸코리아 역시 매출액은 1조 99억 원, 영업이익은 7,821억 원으로, 업비트보다는 낮지만 77.4%라는 비현실적인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에이프로젠은 바이오시밀러를 만드는 제약 회사로, GS071은 에이프로젠이 만드는 바이오시밀러 제품 중 하나이다.

쿠팡은 뉴욕거래소 상장 당일에 장중 시가총액이 130조 원 이상까지 기록하였으나, 이후 주가가 꾸준히 하락하며 2022년 6월 27일 현재 약 29조 원까지 가치가 내려온 상황이다.-론스타의 복수다 이놈들아-

트릿지(Tridge)는 한국에 위치한 글로벌 농축수산물 거래 플랫폼으로서 최근 시리즈D 투자를 유치하면서 국내 농식품 분야 스타트업 중 최초로 유니콘에 등극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국내 1위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사(MSP) 메가존클라우드가 2022년 4월 15일 5,000억 원 이상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를 2조 원 이상 인정받았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한국의 뷰티테크 기업인 APR은 뷰티 디바이스 사업의 급성장과 함께, 2023년 3월 14일 7,000억원 프리IPO # 성공에 이어, 6월에는 CJ온스타일로부터 기업가치 1조 밸류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에, 유니콘 기업에 등극했다는 기사가 보도된 바 있다.

4.3.2. 기타 해외 유니콘 기업[편집]



기업명영문명기업가치국가
오픈AIOpenAI$290억미국
나이앤틱Niantic$90억미국
클럽하우스Clubhouse$40억미국
크라켄[34]Kraken$29.2억미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8:33:46에 나무위키 유니콘 기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화로 약 1조 3,000억 원이지만, 국내에서는 통상적으로 기업 가치 1조 원 이상의 기업을 지칭한다.[2] 유니콘의 uni-가 1을 뜻하는 것과 같이 10을 뜻하는 접두사 deca-와 유니콘을 의미하는 접미사 -corn을 합쳐 만든 말이다.[3] 대략 122조 원.[4] 2023년 7월 CB Insights 기준 1,200곳 이상의 유니콘 기업이 존재한다.[5] 2023년 들어서는 ChatGPTNVIDIA로 비롯되는 생성현 인공지능, 인공지능 칩 시장의 본격적인 발전과 더불어 물가가 진정되면서 긴축이 마무리되어 업계의 반등이 시작되었다.[6] 2022년 7월 18일 기준[7] 2022년 11월, FTX 사태로 인해 파산했다.[8] 프로 스포츠 리그로부터 얻어 온 라이센스로 스포츠 MD, NFT등 유통[9] 수수료 없고 단계가 간소화된 모바일 뱅킹을 제공[10] 중국의 소셜커머스 기업[11] 중국의 온라인 교육 회사. 최근 코로나 시대에 다수의 투자를 받아 가파르게 성장중이다.[12] 건강음료 회사이다.[13] 암호화폐 리플(XRP)을 개발[14] 암호화폐 지갑, 거래소를 운영[15]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는 NFT 거래소[16] 세계 최대 규모의 비트코인 채굴 기업. 기존 CPU, GPU를 이용해 채굴하던 방식에서 ASIC이라는 맞춤형 칩으로 대세를 전환시켰다.[17] 2022년 9월, 어도비에 피인수.[18] 2019년 매출액. 2020년, 2021년 재무제표는 공개하지 않음. [19] 舊 그랩[20] 2021년 2월 Pre-IPO에서 3,050억 원의 투자를 받았으나, 기업가치는 공개되지 않음. 1조 원대 후반으로 추정.[21] 기업명 비공개[22] 상장기업은 2022년 8월 22일 종가를 기준으로 함.[뉴욕거래소] [23] 舊 블루홀[24] 원래 타다 서비스를 만든 VCNC의 서비스였으나, 2021년 5월에 인수.[유가증권시장] A B C D E [25] 舊 빅히트엔터테인먼트[26] 세븐틴, 지코, 투모로우바이투게더, 프로미스나인, ENHYPEN, LE SSERAFIM, New Jeans 등이 소속되어 있다.[27] 舊 CJ 게임즈[28] CJ ENM에서 분할한 시점. CJ게임즈와 CJ넷마블이 합병한 시점은 2014년 10월이다. [코스닥] A B C [29] 당시 환율 기준[30] 딜리버리히어로의 우아한형제들 인수 조건부 승인 시점. 최초 매각 보도 시점은 2019년 12월 13일.[31] 2019년 3월 12일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상장.[32] CJ게임즈와 CJ넷마블의 합병이 이루어진 2014년 10월 기준으로 봐도 옐로모바일의 유니콘 등재 시기보다 앞선다.[33] 이 기간 동안 한 해도 흑자를 기록한 적이 없다.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봐도 2017년에만 35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을 뿐, 5년간 1,088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34] 2022년 3월 포브스에서 선정한 세계 2위 암호화폐 거래소. 거래량 기준 2위가 아니라, 다양한 기준들을 고려한 순위다. 1위는 코인베이스, 바이낸스는 6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