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역귀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영화의 원작 웹툰에 대한 내용은 옥수역 귀신 문서
옥수역 귀신번 문단을
옥수역 귀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옥수역귀신 (2023)
Ghost Station
파일:영화_옥수역귀신_포스터.jpg
장르공포, 스릴러, 미스터리, 서스펜스
감독정용기
제작영화사 조아
각본타카하시 히로시, 이소영
원작호랑옥수역 귀신
출연김보라, 김재현, 신소율
촬영선상재
음악김우철, 김두환, 박광복
제작사(주)미스터리픽처스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image_readtop_2015_1041594_14463535412202792.jpg
촬영 기간2021년 6월 20일 ~ 2021년 7월 29일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4월 19일
파일:베트남 국기.svg 2023년 4월 26일
상영 시간80분 (1시간 20분 13초)
월드 박스오피스$2,305,305
대한민국 총 관객수256,520명 (최종)
스트리밍파일:넷플릭스 로고.svg | 파일:TVING 로고.svg | 파일:wavve 로고.svg | 파일:왓챠 로고.svg
상영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파일:베트남 국기.svg 16세 미만 관람 불가

1. 개요
2. 예고편
2.1. 기타 영상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여담




1. 개요[편집]


2022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최초로 공개했고, 2023년 4월에 전면 개봉했다. 감독은 정용기[1], 각본은 여우령, 링 시리즈의 각본가 타카하시 히로시[2]가 맡았으며 김보라, 김재현, 신소율 등이 출연했다.


2. 예고편[편집]


런칭 예고편

메인 예고편


2.1. 기타 영상[편집]


공포자극 CCTV 유출 영상

댓글 읽기 영상


3. 시놉시스[편집]


특종이 필요한 기자 '나영'은 옥수역에서 근무하는 친구 '우원'을 통해
'옥수역'에서 계속해서 일어난 사망사건들을 듣게 된다.
'나영'은 '우원'과 함께 취재를 시작하고 그녀에게 계속 괴이한 일들이 벌어지는데…
무언가 있다. 옥수역에…

파일:icon_daum_movie.png


4. 등장인물[편집]


  • 김나영 (김보라 [3])
데일리모두 기자. 사망사건이 벌어진 옥수역에서 벌어진 사건을 심층 취재하는 기자.
옥수역에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
  • 태희 (신소율, 임하윤[아역] [4])
  • 승준 (오진석)
  • 염습사 (김강일)
  • 모두연 대표 (김수진)
  • 태호 (박재한, 조연호[아역])
  • 기관사 (김광현)
  • 중재위원 (김나윤)
  • 최 간사 (김균하)
  • 썸머잇걸 (김은민)
나영이 옥수역에서 썸머잇걸 취재로 만나게 된 여성. 하지만 사실은 진짜 여성이 아니라 여장남자로 남자 역이지만 여배우가 캐스팅되었다. 여담으로 배우의 외모가 여장남자 느낌이 난다.
  • 태호 아버지 (진대연)
  • 역무원 (이종성)
  • 지하철 승객 (호랑)[5]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
기자·평론가
4.75 / 10
관람객
7.01 / 10
네티즌
없음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옥수역귀신+평점|

기자·평론가
4.75 / 10
관람객
7.01 / 10
네티즌
없음 / 10
]]
평점 7.01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5.4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69%





★★

말라빠진 일본 우물[6]

을 파대니

- 박평식


★★☆

일상의 공포 대신 추억의 아련함이

- 김소미


★★☆

올드 패션의 장단점이 골고루

- 이용철


구체적인 내용 없이 귀신과 그 희생자만 나왔던 원작과는 달리, 이야기에 이리저리 살을 붙이고, 기자 윤리에 대한 스토리도 넣는 등 많이 각색을 하긴 했으나, 오히려 그게 독이 되었다는 평이 많다. 특히 캐릭터들의 개연성이나 행적은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조잡하고 작위적[7]이라 여러 모로 몰입이 되지 않는다. 언론 윤리라는 주제의식도 마찬가지라, 스토리에 잘 섞이지 않고, 변두리에서 놀다가 흐지부지 마무리된다.

연출에 대한 평가도 매우 낮다. 3D 효과와 실감나는 사운드로 높은 평가를 받은 원작 단편과는 달리, 딱히 참신한 연출들은 찾아보기 힘들며, 어디까지나 관객들이 예상 가능한 전형적인 점프스케어 범위에 머물어, 공포감을 선사하지도 못한다.

네이버 영화의 경우, 평점이 3점으로 내려갔으나, 어떤 이유인지 몰라도 이후에 7점까지 오르긴 했다. 다음 영화에서의 평균 평점은 5.4이다.


7. 흥행[편집]


관객 수 면에서는 처참해 보이지만, 홍콩, 프랑스 등에 판매하여 손익분기점은 넘었다고 한다. 다만, 흥행 부진을 끊지 못한 건 다른 영화들처럼 마찬가지다.


8.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09:42:43에 나무위키 옥수역귀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가문의 영광 3, 5편, 인형사 등을 연출했다.[2] 그래서인지 작중에 오마주(혹은 자기 표절)가 종종 보인다. 가령 시신이 매장된 장소가 우물이었다던가, 처음에 저주를 내린 후 일정 시간이 지나야 피해자가 죽는다던가, 이 저주를 타인에게 넘길 수 있다던가 등등[3] 신소율 같은드라마 정글피쉬2에서 같이 출연한적이 있다.[아역] A B [4] 김보라 같은드라마 정글피쉬2에서 같이 출연한적이 있다.[5] 이 작품의 원작 작가이다.[6] 링 시리즈의 각본가 타카하시 히로시가 각본과 각색을 맡은 탓인지 스토리 등 영화 전반에서 링과 유사점이 많다.[7] 사람이 자살한 내용이 담긴 cctv 영상이 내부에서 유출되어 자극적인 제목으로 기사화되고, 엄청난 조회수를 기록해 이슈가 되었음에도, 코레일과 그 직원들은 내사는커녕 아무 대처도 하지 않고, 그냥 세상이 흉흉하다면서 푸념이나 하고 있다. 거기다 문제의 현장을 통제하지도 않아, 주인공 일행을 포함한 사람들이 자유자재로 드나든 건 덤. 주인공 기자의 동료들은 아무리 자극적인 걸 중시하는 언론사라고 해도 그렇지, 대놓고 장례식장 사진을 찍어와 기사화하라는 등, 작중시점인 2022년에는 기레기들조차 눈치보는 행위를 매우 당당하게 요구한다.[8] 원작 작가인 호랑이 연기한 배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