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수구 갑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연수구 갑.svg
선거인 수144,384명 (2020)
상위 행정구역인천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연수구 일부
옥련2동, 동춘3동, 선학동, 연수1동, 연수2동, 연수3동, 청학동
신설년도2016년
이전 선거구연수구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찬대
1. 소개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1. 소개[편집]


연수구에서 연수신도시와 舊 송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이다.

본래 연수구는 단일 선거구였으나 송도국제도시 건설로 인해 인구가 증가하여 상한선을 초과하자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 갑/을 선거구로 분구되었다. 24년간 신한국당~자유한국당이 당선된 지역으로, 보수 텃밭이었으며 서울의 강남3구와 유사한 성향을 보였다. 특히 친박계의 핵심 인사였던 황우여 전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선거구 분리 전 이곳에서 4선을 했다.

박근혜 탄핵 이후 21대 총선까지는 민주당이 근소하게나마 승리했던 지역구이지만 20대 대선을 기점으로는 다시 보수 강세로 회귀하는 모습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 종부세 폭탄을 맞은 을 선거구 만큼은 아니지만 이 곳 역시 인천의 전통적인 부촌 중 한 곳인지라 최근의 선거에서는 보수정당이 꽤 큰 격차로 승리하고 있다.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하한 인구수 미달 선거구로 선정되어 연수구 을 지역에서 동춘동옥련동 일부 지역을 양도받을 가능성이 생겼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
제20대박찬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2020년 5월 30일 ~

2.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연수구 갑
옥련2동, 동춘3동, 선학동, 연수1동, 연수2동, 연수3동, 청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승연(鄭升硯)29,8332위

ta-hash-start=w-fd8dbb4dd83ae0e2694f88fe69f699b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0.28%낙선
2박찬대(朴贊大)30,047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0.57%당선
3진의범(陳義範)14,1753위

ta-hash-start=w-06cdc05791b8af29eed72084f39143c7[[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19.14%낙선
선거인 수133,338투표율
56.15%
투표 수74,864
무효표 수809

20대 총선 인천 연수구 갑 개표 결과
정당
ta-hash-start=w-5aaa384f657cd101b3a175299813067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a67b5b83f4dfe5c971655fa7e06bbca3[[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정승연박찬대진의범
득표수
(득표율)
29,833
(40.28%)
30,047
(40.57%)
14,175
(19.14%)
-214
(▼0.29)
74,864
(56.15%)
옥련2동41.74%40.78%17.48%△0.9656.01
선학동43.67%38.35%17.98%△5.3252.66
연수1동40.63%39.69%19.68%△0.9444.95
연수2동39.10%42.05%18.84%▼2.9557.63
연수3동37.73%42.84%19.43%5.1157.72
청학동42.11%36.08%21.81%6.0351.17
동춘3동40.02%42.35%17.63%▼2.3365.04
후보정승연박찬대진의범격차
거소·선상투표48.87%33.08%18.05%15.82
관외사전투표34.11%46.03%19.86%▼11.92
국외부재자투표24.49%55.78%19.73%31.29
연수구가 이번 선거부터 단일 선거구에서 갑/을 선거구로 분구됐다. 단일 선거구 시절 이곳에서 4선을 한 황우여 의원은 이번엔 서구 을에서 출마한다. 그래서 새누리당은 정승연 인하대 교수를 공천했다. 한편 연수구 입성을 노리는 더불어민주당박찬대 지역위원장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당도 진의범 후보를 공천했다.

야권 후보 2명에 여당 후보 1명인데다가 단일화까지 무산되어 중도-진보진영은 박찬대와 진의범 두 갈래로 표심이 분열되는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개표 결과 40.57% : 40.28%로 초접전 끝에 박찬대가 당선됐다.[1] 이로서 박찬대는 연수구 최초의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 되었다.

정승연은 옥련2동, 연수1동, 선학동, 청학동에서 이겼다. 또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도 이겼다. 박찬대는 연수 2,3동, 동춘3동과 관외사전투표, 국외부재자투표에서 이겼다. 본 투표는 정승연이 앞섰다. 그러나 박찬대가 국외부재자투표와 관외사전투표에서 이겨 당선되었다.

이렇게 초접전이었던 이유는 진의범이 야권 표를 갈라먹었던 게 컸다. 만약에 후보 단일화가 이뤄졌다면 더 큰 차이가 날 수도 있었다. 보수 텃밭이 아니란 걸 보여주기도 했다. 이건 4년 후에 완벽하게 입증된다.

2.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연수구 갑
옥련2동, 동춘3동, 선학동, 연수1동, 연수2동, 연수3동, 청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찬대(朴贊大)45,479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6.87%당선
2정승연(鄭升硯)33,6462위

ta-hash-start=w-9ffafdbde2567d33a37c9a2edb70052e[[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42.08%낙선
7주진영(朱昣映)8323위

ta-hash-start=w-cc0ec50248642a1df8306d37126a7241[[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1.04%낙선
선거인 수124,956투표율
64.76%
투표 수80,926
무효표 수969

21대 총선 인천 연수구 갑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5ea43997c9e00317564201ca5267210[[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찬대정승연
득표수
(득표율)
45,479
(56.87%)
33,646
(42.08%)
+11,833
(△14.79)
64.76%
옥련2동56.24%42.78%△13.4663.66
선학동53.64%45.34%△8.3060.94
연수1동55.67%43.37%△12.3055.26
연수2동56.16%42.66%△13.5065.07
연수3동57.72%41.05%△16.6765.18
청학동54.85%44.11%△14.7459.43
동춘3동58.47%41.0%17.4772.18
후보박찬대정승연격차
거소·선상투표48.03%45.67%△2.36
관외사전투표65.28%33.36%△31.92
국외부재자투표74.77%25.23%49.54
더불어민주당은 박찬대 의원을 단수 공천했다.

미래통합당에서는 정승연 후보가 4년 전에 이어 다시 공천을 받았다. 원래 김진용 전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이 공천을 받았으나, 그의 경력을 문제 삼아 결국 정승연이 공천을 받게 되었다.

본선은 유승민이 선거 사무실을 방문했을 때 정승연이 '인천 촌구석' 발언을 해 논란이 되었고, 결국 약 15%p차로 박찬대가 승리하는 원인을 제공했다.

출구조사에서도 박찬대가 크게 우세했으며, 모든 동과 거소 및 선상투표, 관외사전투표, 국외부재자투표까지 다 승리했다.

2.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연수구 갑
옥련2동, 동춘3동, 선학동, 연수1동, 연수2동, 연수3동, 청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00.00%
2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00.00%
30

ta-hash-start=w-ce76bd604997d26b8af5561c84f25517[[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5:06:11에 나무위키 연수구 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출구조사에서는 정승연의 투표율이 더 높게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