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수시 을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여수시 을.svg
선거인 수120,540명 (2020)
상위 행정구역전라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여수시 일부
둔덕동, 쌍봉동, 시전동, 여천동, 주삼동,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화정면
신설년도2004년
이전 선거구여수시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회재



1. 개요[편집]


여수시 일원을 담당하던 여수시 선거구가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 2개로 나뉘어져 현재의 여수시 을이 되었다. 관할구역으로 보면 옛 여천시 중 옛 쌍봉면과 여천군 북서부 지역을 포함하는 곳으로, 화학 공단에 종사하는 외지인 비율이 높은 선거구이다. 다만 외지인이 많아서 호남 여타 지역보다 보수 정당, 진보 정당이 비교적 선전할 거라는 오해를 할 수도 있는데[1] 실제로는 여타 호남과 차이가 없다.[2]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다.

1.1. 선거구 경계 조정[편집]


여수시 을(개편 전)여수시 을(개편 후)
파일:국회선거구 여수시 을(2016).svg
파일:국회선거구 여수시 을.svg

2. 특징[편집]


여수시는 외지인 인구 유입으로 인한 보수세와 여수화학단지 때문에 있는 노동계 정당 지지율이 조금 있어서 만약 다음 총선 때 한국당 + 노동계 정당이 10% 정도 가져가면 남은 90%를 더불어민주당이랑 민생당이 서로 누가 많이 먹나 경쟁할 여지가 있는 지역구이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13대김충조
ta-hash-start=w-12fc3734e6e65b6a3957db507c721049[[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여수시
신순범여천시·여천군
14대김충조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여수시
신순범여천시·여천군
15대김충조
ta-hash-start=w-1b53b480a498ff6a2ca2f2e608f3b716[[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여수시
김성곤여천시·여천군
16대김충조
ta-hash-start=w-6721e8332154c61a68a38816866a869f[[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여수시
17대주승용
ta-hash-start=w-b79daeb88b395cd98299ae2a75ba77e5[[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여수시 을
18대
ta-hash-start=w-a6d5ab67798f3a675dc50c1d5b6c03d4[[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ta-hash-start=w-d140b46b9030bd231b950b3e6cf02ee4[[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
ta-hash-start=w-a184af8d7fd7cbd41994bcf1731757ff[[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김회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예정)

3.1. 여수시, 여천시·여천군 (13대~15대)[편집]



3.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여수시
여수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선규(金宣圭)12,915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6.73%낙선
2김인수(金仁洙)8943위

ta-hash-start=w-dcc5c249e15c211f21e1da0f3ba66169[[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15%낙선
3김충조(金忠兆)62,3601위

ta-hash-start=w-5dacaefdfe1de8fa40f26a8ed0c82fd4[[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82.15%당선
선거인 수99,706투표율
78.03%
투표 수77,799
무효표 수630

여천시·여천군
여천시 일원, 여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하택(黃夏澤)13,878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0.86%낙선
2신장호(申璋浩)2,9183위

ta-hash-start=w-ab7c5cdb20164d2d25769bddd2fe1493[[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38%낙선
3신순범(愼順範)49,7231위

ta-hash-start=w-ad4cc1fb9b068faecfb70914acc63395[[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74.75%당선
선거인 수86,823투표율
77.96%
투표 수67,527
무효표 수1,008

3.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여수시
여수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선규(金宣圭)18,0122위

ta-hash-start=w-26c0a195973b46ba52a013c89dd8231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2.27%낙선
2김충조(金忠兆)57,0611위


70.56%당선
3박정웅(朴政雄)1,9494위
2.51%낙선
4김영로(金泳魯)3,8463위
4.75%낙선
선거인 수113,440투표율
72.02%
투표 수81,695
무효표 수827

여천시·여천군
여천시 일원, 여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길종(劉吉鍾)23,4502위
33.12%낙선
2신순범(愼順範)39,0671위
55.18%당선
3김용일(金容日)6,2223위
8.78%낙선
4신장호(申璋浩)2,0584위
2.90%낙선
선거인 수94,352투표율
76.13%
투표 수71,834
무효표 수1,037

해당 선거구에서 보수 정당이 선전한 마지막 선거. 그 이후로는 보수 정당 후보가 10%를 넘은 사례가 한 번에 불과하다.

3.1.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여수시
여수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성재(李聖才)3,3763위
4.59%낙선
2김충조(金忠兆)55,7521위
75.80%당선
3김강식(金康湜)14,4192위
19.60%낙선
선거인 수119,974투표율
62.73%
투표 수75,256
무효표 수1,709

여천시·여천군
여천시 일원, 여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로(金泳魯)6,7722위
11.16%낙선
2김성곤(金星坤)47,8191위
78.87%당선
3김제봉(金濟琫)1,2154위
2.00%낙선
4이기창(李起彰)4,8243위
7.95%낙선
선거인 수95,983투표율
65.95%
투표 수63,299
무효표 수2,669

3.2. 여수시 (16대)[편집]



3.2.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여수시
여수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로(金泳魯)3,4287위
2.67%낙선
2김충조(金忠兆)71,0161위
55.47%당선
4김강식(金康湜)9,7424위
7.60%낙선
5김인수(金仁洙)1,4039위
1.09%낙선
6김재출(金在出)6,9446위
5.42%낙선
7박종옥(朴鍾玉)9,4775위
7.40%낙선
8신순범(愼順範)10,0033위
7.81%낙선
9신현일(申鉉溢)13,3042위
10.39%낙선
10이광진(李光眞)2,7048위
2.11%낙선
선거인 수224,046투표율
57.91%
투표 수129,755
무효표 수1,734

3.3. 여수시 을 (17대~현재)[편집]



3.3.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여수시 을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화정면, 미평동, 둔덕동, 만덕동,
쌍봉동, 시전동, 여천동, 주삼동, 삼일동, 묘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박종옥(朴鍾玉)13,4662위
20.42%낙선
3주승용(朱昇鎔)44,1121위
66.90%당선
4이준상(李俊相)8,3543위
12.57%낙선
선거인 수109,597투표율
61.1%
투표 수66,939
무효표 수1,007

3.3.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여수시 을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화정면, 미평동, 둔덕동, 만덕동,
쌍봉동, 시전동, 여천동, 주삼동, 삼일동, 묘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주승용(朱昇鎔)42,9581위
83.86%당선
2심정우(沈廷祐)2,4074위
4.69%낙선
4김형운(金亨運)3,0532위
5.96%낙선
6박귀언(朴貴彦)2,8043위
5.47%낙선
선거인 수113,719투표율
45.6%
투표 수51,802
무효표 수580

3.3.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여수시 을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화정면, 미평동, 둔덕동, 만덕동,
쌍봉동, 시전동, 여천동, 주삼동, 삼일동, 묘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영남(劉永男)3,6844위
5.86%낙선
2주승용(朱昇鎔)44,3131위
70.50%당선
6박종옥(朴鍾玉)10,9122위
17.36%낙선
7김성훈(金聖勳)3,9413위
6.27%낙선
선거인 수121,718투표율
52.6%
투표 수64,032
무효표 수1,182

3.3.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여수시 을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화정면, 둔덕동, 쌍봉동,
시전동, 여천동, 주삼동, 삼일동, 묘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훈(金聖勳)2,8524위
4.19%낙선
2백무현(白武鉉)25,0212위
36.80%낙선
3주승용(朱昇鎔)34,2841위
50.42%당선
4황필환(黃弼換)1,6395위
2.41%낙선
5김상일(金尙日)4,1913위
6.16%낙선
선거인 수115,348투표율
59.54%
투표 수68,679
무효표 수692

3.3.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여수시 을
둔덕동, 쌍봉동, 시전동, 여천동, 주삼동,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화정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회재(金會在)55,2731위
71.58%당선
2임동하(林東河)2,8684위
3.71%낙선
6김진수(金珍守)3,7743위
4.89%낙선
7권세도(權勢徒)15,3022위
19.82%낙선
선거인 수120,540투표율
65.08%
투표 수78,442
무효표 수1,225

[전라남도 여수시 을 면동별 개표 결과 보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여수시 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김회재권세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5,273
(71.58%)
15,302
(19.81%)
+ 39,971
(△51.76)
78,442
(65.07%)
둔덕동73.45%17.76%△55.6964.34%
쌍봉동69.00%21.57%△47.4365.06%
시전동69.76%21.53%△48.2262.64%
여천동71.79%19.83%△51.9658.29%
주삼동72.38%19.09%△53.2962.66%
소라면71.57%20.93%△50.6361.05%
율촌면85.53%8.07%△77.4661.90%
화양면71.60%21.60%△50.0059.44%
화정면76.13%18.29%△57.8468.37%
후보김회재권세도격차
거소·선상투표65.17%23.10%△42.07
관외사전투표72.56%17.43%△55.13
재외투표71.05%5.26%△52.63[1]
[1] 재외투표 2위는 미래통합당 임동하 후보였다.


이 지역구 현역인 주승용 전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해서 무주공산이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권세도 국민통합위 부위원장[3], 김회재 전 광주지검장, 박종수 전 주러시아공사, 정기명 지역위원장[4]이 예비 후보로 등록했고, 김회재 - 정기명 양자 경선 끝에 김회재가 공천을 받았다.

사실 이 지역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후보 결정 이후 국가혁명배당금당 후보도 없고 한동안 다른 야당 후보들도 없어서 김회재 후보가 2016년 이군현에 이어 무투표 당선의 기록을 쓰나 했는데... 더불어민주당 경선이 격화되면서 정기명이 김회재를 검찰에 고발하고 수사가 진행되면서, 원래 컷오프 되고 당의 결정에 승복해서 불출마를 선언했던 권세도가 재보궐선거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출마를 결정했다는 다소 궁색한 이유로(...) 결정을 번복하고 탈당해서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그리고 원래 여수시 갑에 출마하려고 했던 정의당 김진수 후보가 김회재 후보의 역사관과 과거 행적을 문제 삼으면서 지역구를 변경해서 출마했고, 미래통합당에서는 심정우 전 호남대 초빙교수가 예비 후보로 등록했으나 임동하 전 자유한국당 여수시 갑 당협위원장이 대신 공천을 받으면서[5] 결국은 선거를 치르게 됐다.

물론 그렇다고 결과가 달라진 것은 아니라, 김회재 후보가 71% 넘는 득표율로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여담이지만 전라남도 동부의 중심도시인 순천시에서 모두 검사장 출신의 후보들이 당선되는 진기록을 남겼다.

여담으로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서 단일 정당 최대 득표율이 이 지역구에서 나왔는데, 화정면 제6투(조발마을 회관)에서는 11명이 투표했는데 개표 결과 11표 모두더불어민주당 김회재 후보의 표였다. 더불어민주당으로만 따지면 전국 득표율 2위, 3위도 모두 이 지역구에서 나왔는데 2위인 화정면 제12투는 김회재 후보가 91.67%(22/24), 3위인 율촌면 제2투는 김회재 후보가 90.78%(325/358)를 득표했다. 반대로 더불어민주당의 득표율이 가장 낮았던 곳은 인천광역시 서구 갑신현원창동 제5투(세어도 마을 공동작업장)였다.[6]

여담으로 이 선거구는 전국에서 18곳 뿐인 국가혁명배당금당 후보가 없는 지역구 중 하나다.

3.3.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산광역시 남구처럼 단일 선거구로 변경될 수 있다.


[1] 광양시가 구 동광양(특히 금호동) 지역에서 그런 편이긴 하나, 그렇다고 당선 가능성이 보이는 정도는 아니다.[2] 오히려 원도심에 해당하는 갑 선거구보다 더 더불어민주당 지지가 강한 편이다.[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여수시장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4] 여수시 고문변호사를 역임.[5] 심정우는 대신 여수시 갑 공천을 받았다.[6] 전체 투표자 13명 중 12명(92.31%)이 미래통합당 후보에게 투표. 더불어민주당에게 투표한 인원은 1명(7.69%)에 불과했다. 낙도 지역이다 보니 노인이 대부분이고 비호남 지역이라 반공 성향이 아주 강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한편 이 투표소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때 11명이 투표에 참여하여 2명은 이재명을 찍었고 9명은 윤석열을 찍었다.(출처:중앙선관위 선거통계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