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r1판)

편집일시 :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엘리멘틀 히어로





1. 설명[편집]


파일:프레임슛.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좆맨-프레임 젖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E・HERO<rp>(</rp><rt>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rt><rp></ruby> フレイム・ウィングマン-フレイム・シュート,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Flame Wingman - Infernal Rag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바람, 레벨=8, 공격력=2100, 수비력=1200, 종족=전사족,
소재=속성이 다른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x 2,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페이버릿"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일반 몬스터를 소재로 융합 소환한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 / 엑스트라 덱에서 레벨 7 이하의 통상 소환할 수 없는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더 밸류어블 북 EX 3의 동봉 카드이자,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의 리메이크 겸 필살기 카드.

GX 1기 시절의 프레임 윙맨을 일부 재현한 컨셉으로, 상세 구도는 좀 다르지만 프레임 슛을 쏘는 일러스트인 점과 레벨이 8인 점이 같다. 다만 배경이 마천루 스카이 스크레이퍼인 점을 고려하면 정확하게는 프레임 슛이 아니라 스카이 스크레이퍼 슛이다.

①번 효과는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페이버릿" 카드를 서치하는 효과. 화력 강화와 대상 내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페이버릿 히어로나 넓은 범위의 기습 융합을 시도할 수 있는 페이버릿 콘택트를 서치할 수 있다. 자체 효과는 좋은 편이나 마땅한 서치 방법이 없었던 이상의 카드에게 가뭄의 단비같은 효과.

②번 효과는 일반 몬스터를 소재로 융합했을 경우, 통상 소환이 불가능한 엘리멘틀 히어로 1장을 덱 /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 일반 몬스터를 소재로 해야 하지만, 효과를 무효로 하지 않고 융합 몬스터 또한 부를 수 있어 유용하다. 페이버릿 콘택트와의 시너지를 고려하면 융합 소재로는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가 우선될 것이다.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를 불러낼 수 있는 수단이 늘었다는 실용성 없는 의의도 있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네오스 윙맨의 소환 난이도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 원본 프레임 윙맨도 네오스도 실전형 히어로 비트의 전개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지 못하는 몬스터였기에 인스턴트 콘택트 등의 수단으로 소재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덱 스페이스를 할애해야 했다. 그러나 이 카드는 널널한 융합 조건과 전개에 도움이 되는 어드밴티지 수급 효과를 가지고 있어, 샤이닝 네오스 윙맨을 쓰기 위해 넣는 추가 파츠를 메인 덱 1~2장[1] / 엑스트라 덱 2장[2]으로 크게 줄여준다. 덕분에, 기존 히어로의 주력 빌드인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디드라군 루트에 자연스럽게 페이버릿 콘택트를 추가할 수 있다.[3] 다만 이를 위해 투입하는 엘리멘틀 히어로 세크스가 패에 잡히면 좀 불알할 수 있다는 게 문제.


2. 관련 카드[편집]



2.1.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3 05:35:11에 나무위키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네오스, 취향에 따라 페이버릿 콘택트[2]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샤이닝 네오스 윙맨[3] 엑스트라 히어로 크로스 가이로 소재를 서치해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를 융합 소환하는 과정에서 네오스를 서치하고 이 카드를 대신 소환한 후 콘택트 서치, 효과로 선라이저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