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유(전연)

덤프버전 :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 펼치기 ]
#999,#666666 ||<tablewidth=100%><rowbgcolor=#7C283F><width=250> {{{-1 {{{#ffffff 1권}}}}}} {{{-2 {{{#fff 「전조록일(前趙錄一)」}}} }}} ||<width=250> {{{-1 {{{#ffffff 2권}}}}}} {{{-2 {{{#fff 「전조록이(前趙錄二)」}}} }}} ||<width=250> {{{-1 {{{#ffffff 3권}}}}}} {{{-2 {{{#fff 「전조록삼(前趙錄三)」}}} }}} ||<width=250> {{{-1 {{{#ffffff 4권}}}}}} {{{-2 {{{#fff 「전조록사(前趙錄四)」}}} }}} || ||<rowbgcolor=#fff,#191919> [[유연(전조)|{{{#000,#e5e5e5 유연}}}]] · [[유화(전조)|{{{#000,#e5e5e5 유화}}}]] || [[유총(전조)|{{{#000,#e5e5e5 유총}}}]] || [[유총(전조)|{{{#000,#e5e5e5 유총}}}]] || [[유총(전조)|{{{#000,#e5e5e5 유총}}}]] · [[유찬(전조)|{{{#000,#e5e5e5 유찬}}}]] || ||<width=250><rowbgcolor=#7C283F> {{{-1 {{{#ffffff 5권}}}}}} {{{-2 {{{#fff 「전조록오(前趙錄五)」}}} }}} ||<width=250> {{{-1 {{{#ffffff 6권}}}}}} {{{-2 {{{#fff 「전조록육(前趙錄六)」}}} }}} ||<width=250> {{{-1 {{{#ffffff 7권}}}}}} {{{-2 {{{#fff 「전조록칠(前趙錄七)」}}} }}} ||<width=250> {{{-1 {{{#ffffff 8권}}}}}} {{{-2 {{{#fff 「전조록팔(前趙錄八)」}}} }}} || ||<rowbgcolor=#fff,#191919> [[유요(전조)|{{{#000,#e5e5e5 유요}}}]] || [[유요(전조)|{{{#000,#e5e5e5 유요}}}]] || [[유요(전조)|{{{#000,#e5e5e5 유요}}}]] || [[유선(전조)|{{{#000,#e5e5e5 유선}}}]] · [[유성(전조)|{{{#999,#666666 유성}}}]] · [[유익(전조)|{{{#999,#666666 유익}}}]] || ||<width=250><bgcolor=#7C283F> {{{-1 {{{#ffffff 9권}}}}}} {{{-2 {{{#fff 「전조록구(前趙錄九)」}}} }}} ||<width=250><bgcolor=#7C283F> {{{-1 {{{#ffffff 10권}}}}}} {{{-2 {{{#fff 「전조록(前趙錄十)」}}}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11권}}}}}} {{{-2 {{{#fff 「후조록일(後趙錄一)」}}}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12권}}}}}} {{{-2 {{{#fff 「후조록이(後趙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석륵|{{{#000,#e5e5e5 석륵}}}]] || [[석륵|{{{#000,#e5e5e5 석륵}}}]] || ||<width=250><rowbgcolor=#71A6D2> {{{-1 {{{#ffffff 13권}}}}}} {{{-2 {{{#fff 「후조록삼(後趙錄三)」}}} }}} ||<width=250> {{{-1 {{{#ffffff 14권}}}}}} {{{-2 {{{#fff 「후조록사(後趙錄四)」}}} }}} ||<width=250> {{{-1 {{{#ffffff 15권}}}}}} {{{-2 {{{#fff 「후조록오(後趙錄五)」}}} }}} ||<width=250> {{{-1 {{{#ffffff 16권}}}}}} {{{-2 {{{#fff 「후조록육(後趙錄六)」}}} }}} || ||<rowbgcolor=#fff,#191919> [[석륵|{{{#000,#e5e5e5 석륵}}}]] || [[석홍|{{{#000,#e5e5e5 석홍}}}]] || [[석호(후조)|{{{#000,#e5e5e5 석호}}}]] || [[석호(후조)|{{{#000,#e5e5e5 석호}}}]] || ||<width=250><rowbgcolor=#71A6D2> {{{-1 {{{#ffffff 17권}}}}}} {{{-2 {{{#fff 「후조록칠(後趙錄七)」}}} }}} ||<width=250> {{{-1 {{{#ffffff 18권}}}}}} {{{-2 {{{#fff 「후조록팔(後趙錄八)」}}} }}} ||<width=250> {{{-1 {{{#ffffff 19권}}}}}} {{{-2 {{{#fff 「후조록구(後趙錄九)」}}} }}} ||<width=250> {{{-1 {{{#ffffff 20권}}}}}} {{{-2 {{{#fff 「후조록십(後趙錄十)」}}} }}} || ||<rowbgcolor=#fff,#191919> [[석호(후조)|{{{#000,#e5e5e5 석호}}}]] || [[석세|{{{#000,#e5e5e5 석세}}}]] · [[석준|{{{#000,#e5e5e5 석준}}}]] · [[석감|{{{#000,#e5e5e5 석감(鑒)}}}]] || [[염민|{{{#000,#e5e5e5 석민}}}]]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21권}}}}}} {{{-2 {{{#fff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22권}}}}}} {{{-2 {{{#fff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 ||<width=250><bgcolor=#233067> {{{-1 {{{#ffffff 23권}}}}}} {{{-2 {{{#fff 「전연록일(前燕錄一)」}}} }}} ||<width=250><bgcolor=#233067> {{{-1 {{{#ffffff 24권}}}}}} {{{-2 {{{#fff 「전연록이(前燕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모용외|{{{#000,#e5e5e5 모용외}}}]] || [[모용황|{{{#000,#e5e5e5 모용황}}}]] || ||<width=250><rowbgcolor=#233067> {{{-1 {{{#ffffff 25권}}}}}} {{{-2 {{{#fff 「전연록삼(前燕錄三)」}}} }}} ||<width=250> {{{-1 {{{#ffffff 26권}}}}}} {{{-2 {{{#fff 「전연록사(前燕錄四)」}}} }}} ||<width=250> {{{-1 {{{#ffffff 27권}}}}}} {{{-2 {{{#fff 「전연록오(前燕錄五)」}}} }}} ||<width=250> {{{-1 {{{#ffffff 28권}}}}}} {{{-2 {{{#fff 「전연록육(前燕錄六)」}}} }}} || ||<rowbgcolor=#fff,#191919> [[모용황|{{{#000,#e5e5e5 모용황}}}]] || [[모용준|{{{#000,#e5e5e5 모용준}}}]] || [[모용준|{{{#000,#e5e5e5 모용준}}}]] || [[모용위|{{{#000,#e5e5e5 모용위}}}]] || ||<width=250><rowbgcolor=#233067> {{{-1 {{{#ffffff 29권}}}}}} {{{-2 {{{#fff 「전연록칠(前燕錄七)」}}} }}} ||<width=250> {{{-1 {{{#ffffff 30권}}}}}} {{{-2 {{{#fff 「전연록팔(前燕錄八)」}}} }}} ||<width=250> {{{-1 {{{#ffffff 31권}}}}}} {{{-2 {{{#fff 「전연록구(前燕錄九)」}}} }}} ||<width=250> {{{-1 {{{#ffffff 32권}}}}}} {{{-2 {{{#fff 「전연록십(前燕錄十)」}}} }}} || ||<rowbgcolor=#fff,#191919> [[모용위|{{{#000,#e5e5e5 모용위}}}]] || [[토욕혼|{{{#000,#e5e5e5 토욕혼}}}]]· [[모용한|{{{#999,#666666 모용한}}}]]· [[모용인|{{{#000,#e5e5e5 모용인}}}]]· [[모용각|{{{#000,#e5e5e5 모용각}}}]]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rowbgcolor=#483D8B> {{{-1 {{{#ffffff 33권}}}}}} {{{-2 {{{#fff 「전진록일(前秦錄一)」}}} }}} ||<width=250> {{{-1 {{{#ffffff 34권}}}}}} {{{-2 {{{#fff 「전진록이(前秦錄二)」}}} }}} ||<width=250> {{{-1 {{{#ffffff 35권}}}}}} {{{-2 {{{#fff 「전진록삼(前秦錄三)」}}} }}} ||<width=250> {{{-1 {{{#ffffff 36권}}}}}} {{{-2 {{{#fff 「전진록사(前秦錄四)」}}} }}} || ||<rowbgcolor=#fff,#191919> [[부홍|{{{#000,#e5e5e5 부홍}}}]] || [[부건|{{{#000,#e5e5e5 부건}}}]] || [[부생|{{{#000,#e5e5e5 부생}}}]] || [[부견|{{{#000,#e5e5e5 부견}}}]] || ||<width=250><rowbgcolor=#483D8B> {{{-1 {{{#ffffff 37권}}}}}} {{{-2 {{{#fff 「전진록오(前秦錄五)」}}} }}} ||<width=250> {{{-1 {{{#ffffff 38권}}}}}} {{{-2 {{{#fff 「전진록육(前秦錄六)」}}} }}} ||<width=250> {{{-1 {{{#ffffff 39권}}}}}} {{{-2 {{{#fff 「전진록칠(前秦錄七)」}}} }}} ||<width=250> {{{-1 {{{#ffffff 40권}}}}}} {{{-2 {{{#fff 「전진록팔(前秦錄八)」}}} }}} || ||<rowbgcolor=#fff,#191919> [[부견|{{{#000,#e5e5e5 부견}}}]] || [[부견|{{{#000,#e5e5e5 부견}}}]] || [[부비|{{{#000,#e5e5e5 부비}}}]] || [[부등|{{{#000,#e5e5e5 부등}}}]] || ||<width=250><bgcolor=#483D8B> {{{-1 {{{#ffffff 41권}}}}}} {{{-2 {{{#fff 「전진록구(前秦錄九)」}}} }}} ||<width=250><bgcolor=#483D8B> {{{-1 {{{#ffffff 42권}}}}}} {{{-2 {{{#fff 「전진록십(前秦錄十)」}}} }}} ||<width=250><bgcolor=#6F00FF> {{{-1 {{{#ffffff 43권}}}}}} {{{-2 {{{#fff 「후연록일(後燕錄一)」}}} }}} ||<width=250><bgcolor=#6F00FF> {{{-1 {{{#ffffff 44권}}}}}} {{{-2 {{{#fff 「후연록이(後燕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모용수|{{{#000,#e5e5e5 모용수}}}]] || [[모용수|{{{#000,#e5e5e5 모용수}}}]] || ||<width=250><rowbgcolor=#6F00FF> {{{-1 {{{#ffffff 45권}}}}}} {{{-2 {{{#fff 「후연록삼(後燕錄三)」}}} }}} ||<width=250> {{{-1 {{{#ffffff 46권}}}}}} {{{-2 {{{#fff 「후연록사(後燕錄四)」}}} }}} ||<width=250> {{{-1 {{{#ffffff 47권}}}}}} {{{-2 {{{#fff 「후연록오(後燕錄五)」}}} }}} ||<width=250> {{{-1 {{{#ffffff 48권}}}}}} {{{-2 {{{#fff 「후연록육(後燕錄六)」}}} }}} || ||<rowbgcolor=#fff,#191919> [[모용수|{{{#000,#e5e5e5 모용수}}}]] || [[모용보|{{{#000,#e5e5e5 모용보}}}]] || [[모용성|{{{#000,#e5e5e5 모용성}}}]] || [[모용희|{{{#000,#e5e5e5 모용희}}}]] || ||<width=250><rowbgcolor=#6F00FF> {{{-1 {{{#ffffff 49권}}}}}} {{{-2 {{{#fff 「후연록칠(後燕錄七)」}}} }}} ||<width=250> {{{-1 {{{#ffffff 50권}}}}}} {{{-2 {{{#fff 「후연록팔(後燕錄八)」}}} }}} ||<width=250> {{{-1 {{{#ffffff 51권}}}}}} {{{-2 {{{#fff 「후연록구(後燕錄九)」}}} }}} ||<width=250> {{{-1 {{{#ffffff 52권}}}}}} {{{-2 {{{#fff 「후연록십(後燕錄十)」}}} }}} || ||<rowbgcolor=#fff,#191919> [[고운|{{{#000,#e5e5e5 모용운}}}]]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rowbgcolor=#9966CC> {{{-1 {{{#ffffff 53권}}}}}} {{{-2 {{{#fff 「후진록일(後秦錄一)」}}} }}} ||<width=250> {{{-1 {{{#ffffff 54권}}}}}} {{{-2 {{{#fff 「후진록이(後秦錄二)」}}} }}} ||<width=250> {{{-1 {{{#ffffff 55권}}}}}} {{{-2 {{{#fff 「후진록삼(後秦錄三)」}}} }}} ||<width=250> {{{-1 {{{#ffffff 56권}}}}}} {{{-2 {{{#fff 「후진록사(後秦錄四)」}}} }}} || ||<rowbgcolor=#fff,#191919> [[요익중|{{{#000,#e5e5e5 요익중}}}]] || [[요양(후진)|{{{#000,#e5e5e5 요양}}}]] || [[요장|{{{#000,#e5e5e5 요장}}}]] || [[요흥|{{{#000,#e5e5e5 요흥}}}]] || ||<width=250><rowbgcolor=#9966CC> {{{-1 {{{#ffffff 57권}}}}}} {{{-2 {{{#fff 「후진록오(後秦錄五)」}}} }}} ||<width=250> {{{-1 {{{#ffffff 58권}}}}}} {{{-2 {{{#fff 「후진록육(後秦錄六)」}}} }}} ||<width=250> {{{-1 {{{#ffffff 59권}}}}}} {{{-2 {{{#fff 「후진록칠(後秦錄七)」}}} }}} ||<width=250> {{{-1 {{{#ffffff 60권}}}}}} {{{-2 {{{#fff 「후진록팔(後秦錄八)」}}} }}} || ||<rowbgcolor=#fff,#191919> [[요흥|{{{#000,#e5e5e5 요흥}}}]] || [[요흥|{{{#000,#e5e5e5 요흥}}}]] || [[요홍|{{{#000,#e5e5e5 요홍}}}]]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9966CC> {{{-1 {{{#ffffff 61권}}}}}} {{{-2 {{{#fff 「후진록구(後秦錄九)」}}} }}} ||<width=250><bgcolor=#9966CC> {{{-1 {{{#ffffff 62권}}}}}} {{{-2 {{{#fff 「후진록십(後秦錄十)」}}} }}} ||<width=250><bgcolor=#4B0082> {{{-1 {{{#ffffff 63권}}}}}} {{{-2 {{{#fff 「남연록일(南燕錄一)」}}} }}} ||<width=250><bgcolor=#4B0082> {{{-1 {{{#ffffff 64권}}}}}} {{{-2 {{{#fff 「남연록이(南燕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모용덕|{{{#000,#e5e5e5 모용덕}}}]] || [[모용초|{{{#000,#e5e5e5 모용초}}}]] || ||<width=250><bgcolor=#4B0082> {{{-1 {{{#ffffff 65권}}}}}} {{{-2 {{{#fff 「남연록삼(南燕錄三)」}}}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6권}}}}}} {{{-2 {{{#fff 「하록일(夏錄一)」}}}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7권}}}}}} {{{-2 {{{#fff 「하록이(夏錄二)」}}}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8권}}}}}} {{{-2 {{{#fff 「하록삼(夏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혁련발발|{{{#000,#e5e5e5 혁련발발}}}]] || [[혁련창|{{{#000,#e5e5e5 혁련창}}}]] || [[혁련정|{{{#000,#e5e5e5 혁련정}}}]]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9권}}}}}} {{{-2 {{{#fff 「하록사(夏錄四)」}}}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0권}}}}}} {{{-2 {{{#fff 「전량록일(前涼錄一)」}}}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1권}}}}}} {{{-2 {{{#fff 「전량록이(前涼錄二)」}}}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2권}}}}}} {{{-2 {{{#fff 「전량록삼(前涼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장궤|{{{#000,#e5e5e5 장궤}}}]] || [[장식(전량)|{{{#000,#e5e5e5 장실}}}]] || [[장준(전량)|{{{#000,#e5e5e5 장준}}}]]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3권}}}}}} {{{-2 {{{#fff 「전량록사(前涼錄四)」}}}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4권}}}}}} {{{-2 {{{#fff 「전량록오(前涼錄五)」}}}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5권}}}}}} {{{-2 {{{#fff 「전량록육(前涼錄六)」}}} }}} ||<width=250><bgcolor=#CD7F32> {{{-1 {{{#ffffff 76권}}}}}} {{{-2 {{{#fff 「촉록일(蜀錄一)」}}} }}} || ||<rowbgcolor=#fff,#191919> [[장중화|{{{#000,#e5e5e5 장중화}}}]] · [[장령요|{{{#000,#e5e5e5 장령요}}}]] · [[장조(전량)|{{{#000,#e5e5e5 장조}}}]] || [[장현정|{{{#000,#e5e5e5 장현정}}}]] · [[장천석|{{{#999,#666666 장천석}}}]]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이특(성한)|{{{#000,#e5e5e5 이특}}}]] || ||<width=250><rowbgcolor=#CD7F32> {{{-1 {{{#ffffff 77권}}}}}} {{{-2 {{{#fff 「촉록이(蜀錄二)」}}} }}} ||<width=250> {{{-1 {{{#ffffff 78권}}}}}} {{{-2 {{{#fff 「촉록삼(蜀錄三)」}}} }}} ||<width=250> {{{-1 {{{#ffffff 79권}}}}}} {{{-2 {{{#fff 「촉록사(蜀錄四)」}}} }}} ||<width=250> {{{-1 {{{#ffffff 80권}}}}}} {{{-2 {{{#fff 「촉록오(蜀錄五)」}}} }}} || ||<rowbgcolor=#fff,#191919> [[이류|{{{#000,#e5e5e5 이류}}}]] · [[이웅|{{{#000,#e5e5e5 이웅}}}]] || [[이반(성한)|{{{#000,#e5e5e5 이반}}}]] · [[이기(성한)|{{{#000,#e5e5e5 이기}}}]] · [[이수(성한)|{{{#999,#666666 이수}}}]] · [[이세(성한)|{{{#000,#e5e5e5 이세}}}]]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rowbgcolor=#002338> {{{-1 {{{#ffffff 81권}}}}}} {{{-2 {{{#fff 「후량록일(後涼錄一)」}}} }}} ||<width=250> {{{-1 {{{#ffffff 82권}}}}}} {{{-2 {{{#fff 「후량록이(後涼錄二)」}}} }}} ||<width=250> {{{-1 {{{#ffffff 83권}}}}}} {{{-2 {{{#fff 「후량록삼(後涼錄三)」}}} }}} ||<width=250> {{{-1 {{{#ffffff 84권}}}}}} {{{-2 {{{#fff 「후량록사(後涼錄四)」}}} }}} || ||<rowbgcolor=#fff,#191919> [[여광|{{{#000,#e5e5e5 여광}}}]] || [[여소(후량)|{{{#000,#e5e5e5 여소}}}]] · [[여찬|{{{#000,#e5e5e5 여찬}}}]] || [[여륭|{{{#000,#e5e5e5 여륭}}}]]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663854> {{{-1 {{{#ffffff 85권}}}}}} {{{-2 {{{#fff 「서진록일(西秦錄一)」}}} }}} ||<width=250><bgcolor=#663854> {{{-1 {{{#ffffff 86권}}}}}} {{{-2 {{{#fff 「서진록이(西秦錄二)」}}} }}} ||<width=250><bgcolor=#663854> {{{-1 {{{#ffffff 87권}}}}}} {{{-2 {{{#fff 「서진록삼(西秦錄三)」}}} }}} ||<width=250><bgcolor=#E34234> {{{-1 {{{#ffffff 88권}}}}}} {{{-2 {{{#fff 「남량록일(南涼錄一)」}}} }}} || ||<rowbgcolor=#fff,#191919> [[걸복국인|{{{#000,#e5e5e5 걸복국인}}}]] · [[걸복건귀|{{{#999,#666666 걸복건귀}}}]] || [[걸복치반|{{{#000,#e5e5e5 걸복치반}}}]] · [[걸복모말|{{{#000,#e5e5e5 걸복모말}}}]]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독발오고|{{{#000,#e5e5e5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000,#e5e5e5 독발리록고}}}]] || ||<width=250><bgcolor=#E34234> {{{-1 {{{#ffffff 89권}}}}}} {{{-2 {{{#fff 「남량록이(南涼錄二)」}}} }}} ||<width=250><bgcolor=#E34234> {{{-1 {{{#ffffff 90권}}}}}} {{{-2 {{{#fff 「남량록삼(南涼錄三)」}}} }}} ||<width=250><bgcolor=#A48252> {{{-1 {{{#ffffff 91권}}}}}} {{{-2 {{{#fff 「서량록일(西涼錄一)」}}} }}} ||<width=250><bgcolor=#A48252> {{{-1 {{{#ffffff 92권}}}}}} {{{-2 {{{#fff 「서량록이(西涼錄二)」}}} }}} || ||<rowbgcolor=#fff,#191919> [[독발녹단|{{{#000,#e5e5e5 독발녹단}}}]]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이고(서량)|{{{#000,#e5e5e5 이고}}}]] || [[이흠(서량)|{{{#000,#e5e5e5 이흠}}}]] || ||<width=250><bgcolor=#A48252> {{{-1 {{{#ffffff 93권}}}}}} {{{-2 {{{#fff 「서량록삼(西涼錄三)」}}} }}} ||<width=250><rowbgcolor=#39A78E> {{{-1 {{{#ffffff 94권}}}}}} {{{-2 {{{#fff 「북량록일(北涼錄一)」}}} }}} ||<width=250> {{{-1 {{{#ffffff 95권}}}}}} {{{-2 {{{#fff 「북량록이(北涼錄二)」}}} }}} ||<width=250> {{{-1 {{{#ffffff 96권}}}}}} {{{-2 {{{#fff 「북량록삼(北涼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저거몽손|{{{#000,#e5e5e5 저거몽손}}}]] || [[저거목건|{{{#000,#e5e5e5 저거무건}}}]]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39A78E> {{{-1 {{{#ffffff 97권}}}}}} {{{-2 {{{#fff 「북량록사(北涼錄四)」}}} }}} ||<width=250><rowbgcolor=#32127A> {{{-1 {{{#ffffff 98권}}}}}} {{{-2 {{{#fff 「북연록일(北燕錄一)」}}} }}} ||<width=250> {{{-1 {{{#ffffff 99권}}}}}} {{{-2 {{{#fff 「북연록이(北燕錄二)」}}} }}} ||<width=250> {{{-1 {{{#ffffff 100권}}}}}} {{{-2 {{{#fff 「북연록삼(北燕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풍발|{{{#000,#e5e5e5 풍발}}}]] || [[풍홍|{{{#000,#e5e5e5 풍홍}}}]]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분류:둘러보기 틀/중국의 역사/사서|{{{#000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陽裕
생몰연도 미상

전연의 인물. 자는 사륜(士倫). 유주(幽州) 우북평군(右北平郡) 무종현(無終縣) 출신.


2. 생애[편집]


어려서부터 고아가 된 것도 모자라 형제들까지 모두 요절하는 바람에 일찍 자립해야만 하였다. 비록 양유의 재능을 알아보는 친족은 없었지만, 오직 숙부 양탐만은 어린 양유를 보고 범상치 않게 여기며

"이 아이는 비단 우리 가문만을 대표할 준걸 정도가 아니라 시대의 임금을 보좌할 좋은 기량을 가지고 있구나."

라 말했다. 이후 장성한 양유는 유주자사 화연(和演)의 휘하로 들어가 주부에 임명되었다.

영안 원년(304년) 8월, 화연을 살해하고 유주를 장악한 영삭장군 왕준이 양유를 치중종사로 삼았으나, 왕준으로부터 꺼리낌을 받아 제대로 된 일을 받지 못했다.

건흥 2년(314년) 3월, 왕준을 사로잡고 계성(薊城)을 점령한 석륵이 왕준의 부하였던 산기상시 조숭(棗嵩)에게 물었다.

"유주에서 누가 가장 뛰어난가?"

이에 조숭이 답했다.

"연국(燕國)의 유한(劉翰)은 덕과 소박함이 장자(長者)라 할 수 있고, 북평의 양유는 간사(幹事)의 재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석륵이 다시 물었다.

"만약 그대의 말이 그러하다면 왕공(王公: 왕준)은 어찌하여 그들을 쓰지 않았소?"

조숭이 다시 답했다.

"왕공은 그들을 쓰지 않은 것이 아니라 쓰지 못하여 명공(明公)께 사로잡히고 만 것입니다."

그 말을 들은 석륵은 양유를 불러 쓰고자 하였으나, 양유는 석륵을 꺼려 몰래 선비족 단부의 영역인 영지(令支)로 달아났다.

당시 진나라로부터 표기대장군, 요서공(遼西公)이라는 관작을 받았던 단부의 대인 단질육권은 양유가 훌륭한 인물이라는 소문을 듣고 그를 초빙하려 하였다. 이에 양유는 친구인 성반(成泮)에게 말했다.

"중니는 필힐(佛肸)의 부름에 기뻐하며 스스로를 포과(匏瓜)라 칭하였고, 이윤 역시 '누구를 섬기든 임금이 아니겠으며, 누구를 부린들 백성이 아니랴'라 칭하였소. 성현(聖賢)의 부름을 귀하게 여김이 이와 같았는데, 하물며 우리들은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지금 단질육권이 나를 부르지만 내 어찌 그를 따를 수 있을리오!"

성반이 답했다.

"지금 화하(華夏)가 분열하여 무너지고, 구주(九州)와 섬들이 널리 쪼개져버린 바, 통치가 미치는 지역은 오직 역수(易水) 뿐이오. 다시 기반을 일으켜 세우기 위해서는 강물이 맑아지기만을 기다리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소. 하나, 인간에게 허락된 수명은 매우 짧아, 과거의 사람들도 이를 한탄하지 않았는가. 마소유(馬少游)[1]

가 이르길 '죽을 때까지 군(郡)의 관리를 지낸 것만으로도 족하다'라 하였는데, 하물며 국상(國相)의 지위라면 무엇이 부족하겠는가! 경이 이윤과 공자를 따르려는 마음은 이해하나, 이번이 신이 내린 기회임을 명심하게나."

그러자 양유는 마음을 바꿔 단질육권에게 귀순하였고, 낭중령, 중군장군에 임명되어 상경의 지위를 역임하였다. 이후로 양유는 단료에 이르기까지 단부의 다섯 군주를 섬기며 대대로 중용받았다.

함강 3년(337년) 3월, 단료가 당시 요동에서 할거하던 모용부의 모용황과 불화하자, 양유가 간했다.

"신이 듣기로, 이웃과 사이좋게 지내는 것은 곧 나라의 보배라 하였습니다. 모용부와 우리 국가는 서로 사돈으로 맺어진 사이이고, 그 수장인 모용황은 영덕이 있는 군주입니다. 병사들을 한데 아울러 서로 원한만 쌓고 백성들을 피폐하게 하는 일이므로, 신은 이것이 결국 재앙이 들이닥치는 원인이 될까 두렵습니다. 바라건대, 이전처럼 모용부와의 교류를 확대하여 국가에게는 태산과도 같은 안정을 도모하고, 백성들에게는 마음 놓고 휴식할 수 있는 은혜를 베풀어 주시옵소서."

하지만 단료는 양유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고, 오히려 그를 연군태수, 북평상으로 삼아 외지로 보냈다.

함강 4년(338년) 3월, 후조의 천왕 석호가 쳐들어오자, 양유는 수천 호의 백성들을 이끌고 연산(燕山)에 올라 저항하였다. 천왕 석호가 양유를 뒤로 한 채 다시 진군을 재개하려 하니, 후조의 여러 장수들이 양유가 배후를 습격할 것을 걱정하였다. 이에 석호가 그들을 안심시키며 말했다.

"양유는 한낱 유생으로, 그저 자신의 명성과 절개가 아까워서 항복하지 않을 따름이니, 그는 아무것도 하지 않으리라."

그러고는 양유를 무시하고 단부의 수도인 영지로 향해 계속 진군하였다. 이후 석호가 영지를 떨어뜨리자, 양유는 저항을 포기하고 무리와 함께 산에서 내려와 석호에게 투항하였다. 양유와 대면한 석호는 그를 꾸짖으며 말했다.

"경은 이전에 노예마냥 도망쳐 숨었더니, 오늘은 고고한 선비처럼 나타났구려. 그대가 정녕 천명(天命)을 알았다면 어찌 그때 도망쳤을까!"

이에 양유가 답했다.

"신은 과거 왕준을 섬기면서 그를 바르게 하지 못해 단부로 도망쳤으나, 단부마저도 온전케 하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지금 폐하께서는 하늘에 그물을 높이 걸어두시면서 사해(四海)를 휩쓸어, 유주, 기주의 호족들도 마치 바람에 나부끼듯 폐하의 곁으로 몰려들었습니다. 신의 재능에 견줄만한 이는 세상에 많으니, 신이 죽고 사는 것은 오직 폐하께 맡기겠습니다."

석호는 흡족해하며 양유를 북평태수로 삼았고, 얼마 뒤에 중앙의 부름을 받고 상서좌승이 되었다.

함강 4년(338년) 12월, 후조군에게 패해 밀운산(密雲山)에 숨어있던 단료가 후조와 전연으로 각각 사신을 보내 항복을 청하였다. 천왕 석호는 정동장군 마추(麻秋)에게 30,000 군사를 주어 단료를 영접해오게 하는 동시에, 옛 단료의 신하였던 양유를 마추의 사마로 배속시켜 종군하게 하였다. 하지만 더 빨리 움직였던 전연의 모용황이 친히 나아가 단료를 먼저 영접하였고, 단료는 모용황과 후조군을 습격하자 모의하였다. 모용황은 모용각에게 정예 기병 7,000기로 밀운산에 매복해있다가 후조군이 오면 기습케 하였고, 마추의 후조군은 모용각의 매복에 당해 삼장구(三藏口)에서 대패하여 죽은 자가 6~ 7할이었다. 마추는 말까지 잃은 채로 발로 걸어서 전장을 빠져나와 겨우 목숨을 구하였으나, 양유는 전연군의 포로가 되어 모용황에게 넘겨졌다. 모용황은 일찍이 양유의 명성을 익히 들어 알고 있었기에, 그를 낭중령으로 삼았다가 당국(唐國)내사로 옮겼다.

함강 7년(341년) 정월, 모용황의 명령을 받아 용산(龍山) 서쪽에 성 축조를 감독하였고, 그곳에 종묘와 궁궐을 세운 뒤 성은 용성(龍城), 궁궐은 화룡궁(和龍宮)이라 명명하였다.

함강 7년(341년) 7월, 모용황이 동진으로부터 조서를 받아 대장군에 임명되자, 양유는 좌사마로 옮겨졌다.

함강 8년(342년) 10월, 양유 등이 용성을 마침내 완공시키니, 모용황은 수도를 극성에서 용성으로 천도하였다. 이후 양유는 모용황을 종군하여 고구려, 우문부를 정벌할 때 공을 세웠고, 이때 그의 모략이 활약한 바가 많아 모용황은 그를 중히 여겼다.

양유가 모용황을 섬긴 날은 비록 다른 신하들에 비해 적은 편이었지만, 그 총애와 신임은 다른 이들을 훨씬 능가하였다. 그의 성격 또한 겸손하여 늘 남을 높이고 자신을 낮추었으며, 강직함과 자애로움을 두루 갖추었고, 생활도 소박하여 조정에서도 항상 베옷을 입고 근무하였다. 방랑하던 유민이 죽었을 때, 그 어린 자녀들을 거두어 대신 보살피기도 하니, 현명한 자이든 우매한 자이든 가리지 않고 모두 그를 존경하였다. 그리고 얼마 뒤 62세의 나이로 전연에서 세상을 떠났고, 모용황은 그의 죽음을 무척 비통해 하였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5 12:40:28에 나무위키 양유(전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복파장군 마원의 사촌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