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양남대천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한강권역
한강수계안성천수계양양남대천수계
삼척오십천수계강릉남대천수계한강서해권수계
한강동해권수계
낙동강권역
낙동강수계형산강수계태화강수계
영덕오십천수계서낙동강수계회야강수계
낙동강동해권수계낙동강남해권수계
금강권역
금강수계삽교천수계만경강수계
동진강수계금강서해권수계
섬진강권역
섬진강수계섬진강남해권수계
영산강권역
영산강수계탐진강수계영산강서해권수계
제주도권역






파일:남대천.jpg

강원특별자치도강릉시연곡면 삼산리 두로봉 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양양군 현북면, 손양면, 서면을 거쳐 양양읍 낙산해수욕장 인근에서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

양양 남대천은 연어고향으로도 유명하다.[1] 이곳 남대천에서 알을 낳고 태어난 연어들이 북태평양을 누비다가 다시 이 남대천으로 돌아와서 알을 낳고 생을 마감한다. 남대천을 모천으로 삼고 있는 연어의 종류는 백연어이다.연어 뿐만 아니라 잉어, 숭어, 황어, 뱀장어, 고니, 오리 등도 발견된다.

하지만 장마로 인한 침수를 막는답시고 수십개[2]의 보를 남대천에 설치하고 물고기가 제대로 올라가지도 못하는 쓸데없는 어로만 만들어 놓은 바람에 연어, 황어 등의 회유성 어종이 엄청난 피해를 받았다. 환경 단체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현재 현재진행형으로 노력중이지만 워낙 정부나 지자체에서 벌려놓은 일이 많다보니 쉽게 회복 또는 수습이 되고 있지 않다.
2020년에 TV생물도감이러한 남대천의 문제점을 촬영해 남대천의 문제를 지적했다.2년 뒤인 2022년에도 딱히 큰 변화가 없자 시청자들은 분노했다.굳이 개선 된 점이 있다면 수량 부족이었던 어도의 수량이 좀 더 많아진 것과 수중보의 경사가 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완만하게 만든 정도.

원래 연어의 개체수가 부족한 것과 전술(前述)한 어로 공사 때문에 연어 방류 축제를 열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7:07:39에 나무위키 양양남대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태화강도 연어의 모천으로 알려져있지만 보통 연어하면 남대천을 가장 먼저 꼽는다.[2] 약 60개 가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