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 갑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시흥시/정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시흥시 갑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등
始興市 甲
Siheung A
||
파일:국회선거구 시흥시 갑.svg
선거인 수249,063명 (2020)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시흥시 일부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목감동, 과림동, 연성동, 능곡동, 장곡동
신설년도2004년
이전 선거구시흥시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문정복



1. 개요[편집]


기존의 단일 선거구를 17대 총선 때 갑/을 2개의 선거구로 개편하였다. 전반적으로 과거 소래읍, 수암면 전역과 군자면 장곡리를 계승한다. 시흥시 자체는 옛날부터 민주당이 힘을 쓰던 곳이고 최근에도 임대아파트와 원룸촌이 많이 둘어오면서 민주당세가 상당히 강한 곳이지만 이 지역구의 경우 시흥의 원도심과 농촌지역을 다수 끼고 있어서 보수세도 만만치 않은 편이다.[1]

이 때문에 민주당 우세지역임에도 보수정당이 종종 당선자를 배출했었는데[2] 대표적으로 한나라당 당적으로 활동한 바 있던 제정구 의원[3]이 시흥시에서 오랫동안 터를 잡고 활동해왔으며, 19~20대 국회의원을 지낸 함진규 전 의원이 이 지역구 출신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황철수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과천시∙시흥군
제14대제정구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시흥시∙군포시
제15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6년 5월 30일 ~ 1999년 2월 11일시흥시
김의재
ta-hash-start=w-9d2682367c3935defcb1f9e247a97c0d[[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9년 3월 31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박병윤
ta-hash-start=w-455504f86a454a70b77c13a556435f13[[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백원우
ta-hash-start=w-05f06ecaefa00d025fe0b2e8cd776699[[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시흥시 갑
제18대
ta-hash-start=w-b624aa2412de85663c807d6b1cb776ae[[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함진규
ta-hash-start=w-490d3a9dd72716b3101890d0d8241c5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문정복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3. 3선 도전 실패 징크스[편집]


2004년 총선에서 이 선거구가 신설된 이후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보는 재선까지는 성공했으나, 3선 도전에 실패한 징크스가 있다. 이 선거구도 마찬가지.

4. 과천시·시흥군, 시흥시∙군포시 (13 ~14대)[편집]



4.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과천시·시흥군
과천시, 시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철수(黃哲秀)48,354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8.46%당선
2김상원(金祥源)42,5482위

ta-hash-start=w-2ef80c94a699fe337acb4f8236ace1cc[[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3.84%낙선
3강상섭(姜相燮)29,6623위

ta-hash-start=w-1d3b870a10ac880f27c0b5b69756e749[[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23.59%낙선
4김병규(金炳奎)5,1394위

파일:우리정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4.08%낙선
선거인 수198,174투표율
64.15%
투표 수127,126
무효표 수1,423


4.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시흥시·군포시
시흥시 일원, 군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철수(黃哲秀)32,3622위

ta-hash-start=w-298923c8190045e91288b430794814c4[[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1.50%낙선
2제정구(諸廷坵)48,406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47.12%당선
3장학수(張鶴秀)12,3393위

ta-hash-start=w-d74782f0751ddbf0f54d53d417b367ea[[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12.01%낙선
4이강원(李康源)1,5906위

ta-hash-start=w-ae2772b21b613743d53e95ec3d6e7041[[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1.54%낙선
5박재영(朴在榮)2,0995위
2.04%낙선
6김종호(金鍾豪)1,2577위
1.22%낙선
7서정선(徐廷善)4,6604위
4.53%낙선
선거인 수151,992투표율
70%
투표 수104,068
무효표 수1,355


5. 시흥시 (15 ~ 16대)[편집]



5.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시흥시
{{{#ffffff 시흥시 일원
}}}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병수(李炳守)16,6382위
27.92%낙선
2백청수(白淸水)12,5963위
21.14%낙선
3제정구(諸廷垢)25,5841위
42.94%당선
4장천수(張千秀)4,7554위
7.98%낙선
선거인 수96,058투표율
63.20%
투표 수60,721
무효표 수1,148

5.2. 1999년 재보궐선거[편집]


시흥시
시흥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경우(張慶宇)25,2172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47.52%낙선
2김의재(金義在)27,8511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52.48%당선
선거인 수167,045투표율
32.25%
투표 수53,868
무효표 수800

제정구 의원이 폐암으로 별세하여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국민회의-자민련 단일후보로 출마한 김의재 후보가 당선되었다.

5.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시흥시
시흥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경우(張慶宇)36,4932위
37.86%낙선
2박병윤(朴炳潤)38,6201위
40.07%당선
3김의재(金義在)13,1573위
13.65%낙선
4신부식(申富植)3,9224위
3.06%낙선
5이길호(李吉鎬)4,1893위
4.34%낙선
선거인 수193,001투표율
50.40%
투표 수97,275
무효표 수894


6. 시흥시 갑 (17대 ~ )[편집]



6.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시흥시 갑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목감동, 과림동, 연성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경우(張慶宇)29,9032위
38.5%낙선
2이길호(李吉鎬)6,6413위
8.55%낙선
3백원우(白元宇)41,1241위
52.95%당선
선거인 수131,881투표율
59.44%
투표 수78,391
무효표 수723


6.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시흥시 갑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목감동, 과림동, 연성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백원우(白元宇)30,9251위
49.79%당선
2함진규(咸珍圭)29,6592위
47.75%낙선
3권한숙(權漢俶)1,5303위
2.46%낙선
선거인 수142,330투표율
44.03%
투표 수62,667
무효표 수553


6.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시흥시 갑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목감동, 과림동, 연성동, 능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함진규(咸珍圭)39,9391위
47.83%당선
2백원우(白元宇)39,7372위
47.59%낙선
6위준상(魏準相)1,8804위
2.25%낙선
7이태한(李泰翰)1,9343위
2.31%낙선
선거인 수159,527투표율
52.63%
투표 수83,955
무효표 수465
19대 총선에서 170표차(19대 총선 지역구중 최소)가 나온 경기 고양 덕양 갑 다음으로 표차가 적은 곳이 바로 시흥 갑이다.(202표차) 재밌는건 한나라당에 웃어줬던 18대 총선에서는 백원우가 이긴 반면 19대 총선에서는 선거 판세가 새누리당에 불리하게 돌아갔는데도 함진규가 이겼다.

함진규 후보의 승리 요인으로는 원도심권에서 불어닥친 재개발 여론으로 인해 지역 야론 자체가 보수 여당인 새누리당에 웃어준 측면이 있었고 현역 의원이였던 백원우 후보의 지역구 평판이 매우 안좋았던 점[4], 그리고 선거 막판에 김용민 막말파문이 터진 것이 결정적이였다.[5]

6.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시흥시 갑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목감동, 과림동, 연성동, 장곡동, 능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함진규(咸珍圭)44,8461위
46.41%당선
2백원우(白元宇)39,7892위
41.18%낙선
3임승철(林承哲)10,6483위
11.02%낙선
5이정우(李正禹)8574위
0.88%낙선
6이홍철(李鴻喆)4705위
0.48%낙선
선거인 수163,569투표율
59.6%
투표 수97,447
무효표 수837
백원우 후보에 대한 비호감과 국민의당의 표 잠식으로 인해 비록 함진규 후보가 저번보다 득표율은 감소했지만, 표차는 202표에서 5,077표로 더 벌렸다. 세부적으로 보면, 은행동(5,855:6,137), 장곡동(3,157:3,625)을 제외한 나머지 동에서 모조리 패배했다. 옆 지역구는 관외사전투표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900표 이상 격차로 이긴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사전투표에서도 패배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6.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시흥시 갑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목감동, 과림동, 연성동, 장곡동, 능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문정복(文貞福)68,6531위
51.71%당선
2함진규(咸珍圭)59,5952위
44.89%낙선
6양범진(梁氾鎭)3,6223위
2.72%낙선
7홍석준(洪碩晙)8754위
0.65%낙선
선거인 수205,839투표율
65.1%
투표 수134,026
무효표 수1,281

국회의원 선거 (시흥시 갑)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정복함진규
득표수
(득표율)
68,653
(51.71%)
59,595
(44.89%)
+ 9,058
(△6.82)
134,026
(65.08%)
대야동50.50%46.05%△4.4563.96
신천동48.18%47.86%△0.3254.84
신현동43.71%53.42%▼9.7265.31
은행동53.76%42.97%△10.7965.34
매화동46.80%50.06%▼3.2662.68
목감동54.67%42.21%△12.4564.46
과림동35.17%62.88%▼27.7267.89
연성동52.16%45.01%△7.1664.89
능곡동52.25%44.24%△8.0065.22
장곡동53.81%43.12%△10.6966.15
후보문정복함진규격차
거소·선상투표34.68%56.56%▼21.88
관외사전투표56.40%39.03%△17.37
재외투표69.46%28.24%△41.22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문정복 전 시흥시의회 의원이 처음으로 출마를 해 바로 당선되는 기쁨을 누렸다.

미래통합당에서는 현역 의원 함진규가 3선에 도전했으나 좌절되었고, 정의당에서도 역시 양범진 정의당 전국위원이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김포시 을과 선거 결과가 비슷하다. 둘 다 도심, 도심로 이루어졌고, 민주당+민생당+정의당 후보자 득표율 총합과 통합당 현직 의원의 득표율이 54:44로 유사하다.

원래 이 지역 선거구는 민주당계의 텃밭으로 유명하지만 백원우가 당시 지역구를 제대로 돌보지 않아 빼앗긴 지역구로 유명했고, 후에 당선되는 함진규 역시 약간의 개인기와 야권 분열으로 당선되다가 다시 민주당에 탈환되었다. 즉 정당(민주당)은 지지하지만 후보 개인(백원우)은 지지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6.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시흥시 갑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목감동, 과림동, 연성동, 장곡동, 능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의 문정복 의원이 재선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6]

국민의힘에서는 함진규 전 의원이 출마할 것으로 보였으나 2023년 2월 한국도로공사 사장으로 취임하여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1] 특히 원도심 쪽인 신천동이나 은행동이 잇다른 재개발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엄청나게 뛰면서 원도심권과 농촌지역에서 재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편이다.[2] 민주당 소속 현역의원에 대한 반감으로 상대 후보를 지지한 것이지, 보수정당 간판을 보고 지지한 것은 아니다.[3] 빈민운동가이며 복음자리를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시흥시에서는 시흥시 단일 선거구 시절 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었다. 다만 이분은 통합민주당에 있다가 새정치국민회의로 가지 않고 한나라당과 흡수합당되면서 자연스레 합류한 케이스이다. 본인의 정치성향도 반 DJ 성향이였을 뿐, 보수성향과는 거리가 멀어서 작고하지 않았다면 열린우리당 창당 때 김부겸, 김영춘, 이부영, 이해식처럼 노무현을 따라갔을 가능성이 높다. 사실 최종당적만 한나라당이고 선거때는 모두 민주당 당적으로 당선되었었다. 다만 당시 제정구 의원보다 더 진보적이였던 김문수이재오가 한나라당에 끝까지 남았었던걸 감안하면 혹시 모를 일이긴 하다.[4] 친노 정치인이라 초선의원 때부터 노무현에 너무 묻어간다는 인식이 있었고 18대 국회의원 시절에는 노무현 장례식에 문상을 온 이명박에게 막말을 하는가 하면 시흥시 원도심의 발이자 시흥시 회차하는 서울시 버스 노선이 단축되는 것을 막지 못하고 결정적으로 시흥의 특산물인 햇토미와 복음자리 딸기잼은 나몰라라하면서 장작 자기 지역구에다가 봉하쌀을 홍보하는 정신나간 짓을 저지르는 바람에 토박이들이 많은 원도심과 농촌지역에서 단단히 찍혀버렸다.[5] 이것 때문에 민주당이 역전당한 지역구가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적게 잡아도 20석이 넘는다는 여론조사기관의 분석만 수십개가 나왔다.[6] 백원우 전 의원의 경우, 지역구 내의 반발 여론이 크기 때문에 승산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21대 총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이 전국 선거에서 연패하는 것과 별개로 이 지역구에선 과반 이상을 항상 지킨 것을 보면 현역 문정복 의원과 경선도 장담 못 할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