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도서관

덤프버전 :

||
1~3031~6061~9091~120
121~150151~180181~210211~240
241~270271~300301~330331~360
361~390361~390391~420421~450
451~480451~480491~520521~550
[ 31~60호 목록 ]

31여수시 구 청년회관
32여수 애양원교회
33여수 애양병원
34구 나주경찰서
35진주시 문산성당
36구 통영청년단 회관
37함양 구 임업시험장 하동·함양지장
38남제주 강병대교회
39남제주 비행기 격납고
40서울 번동 창녕위궁 재사
41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42논산 강경 북옥교회
43목포 구 청년회관
44나주 노안성당
45연천역 급수탑
46도계역 급수탑
47추풍령역 급수탑
48연산역 급수탑
49안동역 급수탑
50영천역 급수탑
51삼랑진역 급수탑
52서울시청 본관
53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 회관
54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55충청북도청 본관
56대한통운 제천영업소
57옥천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
58진천 덕산양조장
59영동 노근리 쌍굴다리
60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
파일:문화재청흰로고.png



서울도서관
서울圖書館
Seoul Metropolitan Library
파일:서울도서관 로고.svg
표어내 삶을 바꾸는 지식문화도시, 서울
구분서울특별시청 공공도서관
관장제3대 오지은
개관일1971년 4월 26일 도시개발자료센터
전신서울특별시종합자료관
자료도서543,917권 (2023년 기준)
연속
간행물
715부 (2023년 기준)
비도서22,700점 (2023년 기준)
도서관부호111314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태평로1가)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대한민국 국가등록문화재 제52호
구 서울특별시청사
舊 서울特別市廳舍
Former Building of Seoul City Hall
분류등록문화재 / 기타 / 업무시설
수량 / 면적1동, 연면적 8,506.38㎡
지정연도2003년 6월 30일
완공1926년
소유자
(소유단체)
서울특별시
관리자
(관리단체)
서울특별시

파일:A2B2B853-7635-435C-B8AB-9C8F9C7F37E4.jpg
서울도서관[1]

1. 개요
2. 역사
3. 역대 관장
4. 이용 안내
4.1. 이용 시간
4.2. 휴관일
4.3. 도서 대출 및 자격
4.4. 금지 행위
5. 시설 관련
5.1. 이야깃거리
6. 기타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도서관은 2012년 10월 26일 개관한 서울특별시의 공립 도서관이다. 건물은 옛 서울특별시청 건물을 개조하여 공영 도서관으로 재활용하였다. 서울 지하철 1호선 시청역 5번 출입구로 나오면 바로 건물이 나온다. 주소는 세종대로로 되어있지만 지리상 소공로, 을지로, 세종대로 3개로 둘러 막혀있다.

서울시가 직영하는[2] 서울시 직속 서울시립 도서관으로, 정직원들은 서울시 공무원들이다.

2. 역사[편집]


파일:maru2.jpg
{{{#fff 서울도서관의 시그니처인 일반자료실 1, 2층을 잇는 계단 〈생각마루〉[3]}}}
사실상 이 도서관의 전임지였던 곳은 일제강점기에 경성부립도서관으로 설립된 지금의 서울특별시교육청남산도서관이다.[4] 하지만 이후 시립ㆍ도립 도서관 사무가 교육청에 전속되어 광역지자체는 직속 도서관을 둘 수 없게 되어 시립도서관은 서울교육청 소관이 되었다가 다시 직속도서관을 둘 수 있게 되자 서울도서관이 설치된 것이다. 서울도서관 연혁에 따르면 실제 서울도서관의 모태는 1971년 4월 26일 서울시청 내에 개설된 '도시개발 자료센터'이다. 1980년 5월 1일에 '서울특별시 종합자료실'로 개칭하고 1994년에 서울시청 내에 시정자료실을 개관했다. 이후 1997년에 을지로 별관으로 이전해 '서울특별시 종합자료관'으로 바뀌다가 2007년에 서소문 별관 1동 다산플라자로 이전한 뒤 같은 시기에 도서관법이 개정되어 지역대표도서관 설치가 의무화되자 서울시청 내에서 도서관 설립을 위한 5년간의 준비작업을 거쳐 2012년에 기존의 종합자료관을 신설된 서울도서관에 통합하는 식으로 개관하였다.

현재는 서울특별시 대표도서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대표도서관 기능은 동대문구 전농동에 새로 도서관을 지어 이관할 예정이다.


3. 역대 관장[편집]



4. 이용 안내[편집]




4.1. 이용 시간[편집]


자료실평일(화~금)주말(토, 일)
일반자료실(1, 2)
어린이자료코너[5]
디지털자료실
장애인자료실
09:00 - 21:0009:00 - 18:00
서울자료실
세계자료실
09:00 - 18:00


4.2. 휴관일[편집]



4.3. 도서 대출 및 자격[편집]


구분도서
(일반도서/세계/장애인자료)
비도서
(영화/애니메이션DVD, 오디오북)
권수/기간7권 15일[6]3점 15일
도서서울자료실 소장자료, 세계자료실 대사관 기증자료, 참고도서, 연속간행물, 시청각자료 등
비도서다큐나 통계 등 보전가치가 높은 자료
서울특별시 거주자 및 서울특별시 소재 학교직장에 다니는 사람이면 회원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7] 이 조건들을 만족하지 못하면, 아무리 서울도서관을 자주 방문하는 사람이어도 대출 자격이 부여되지 않는다.

4.4. 금지 행위[편집]



5. 시설 관련[편집]




5.1. 이야깃거리[편집]















6. 기타[편집]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1]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즉 서울시청 직속 부서[3] 정식 명칭은 〈생각마루〉이다. 서울도서관 홈페이지 원본 파일 이미지 이름도 〈maru〉.[4] 다만 남산도서관의 경우 오세훈 시정 1기 시절 완전히 사라질 뻔한 위기를 겪기도 했기 때문에 구서울시청 건물이 서울도서관이 된 것은 그 영향도 있는 듯하다.[5] 일반자료실1(1층)과 일반자료실2(2층) 사이에 있는 계단 벽면에 어린이 자료가 있다.[6] 장애인 회원은 10권 30일링크[7] 퇴사나 졸업으로 해당 직장이나 학교를 나간 상태여도 유효성 검사는 하지 않는다 카더라. 단, 분실하여 재발급받고자 할 때는 곤란할 수 있으니 잘 간수하자. 재학이나 재직 중에 한 번 발급받는 것도 나쁘지 않다.[8] 서울특별시청 근처에서 퀴어축제가 열린 뒤로부터 동성 일행에 대해서도 주시하는 편이다.[9] 일찍 일어나는 노인분들 특성상 아침에 자리잡기가 쉽지 않다. 또한 어째서인지 해를 거듭할수록 노년층이 많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9년 5월 기준으로 이용객 절반이 노년층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4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5:06:24에 나무위키 서울도서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