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샌프란시스코 지진

덤프버전 :

1. 1906년의 대지진
2. 1989년의 지진
3. 같이 보기


1. 1906년의 대지진[편집]


1906 San Francisco earthquake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
발생일시
(UTC-10)
1906년 4월 18일 05:12 PDT
진앙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37.75N, 122.55W
규모Mw 7.8 / ML 8.3
진도XI(Extreme)
진원깊이8km
피해최소 3,000명 이상 사망[1]
화재 피해로 샌프란시스코 구시가지의 2/3 손실
쓰나미
피해액 2억 달러(1906년 가치)
106억 달러(2015년 가치)

1906년 4월 18일 리히터 규모 8.3[2]의 강진이 샌프란시스코를 강타했다. 원인은 샌 안드레아스 단층으로, 1300km에 달하는 단층 중 약 450km가 넘는 단층 일부가 최대 6m까지 어긋났다. 쉽게 말하면 서울-부산 거리가 세로로 6m 찢어졌다고 보면 된다. 이 강진으로 최소한 3천 명 이상이 사망했고 피해액이 당시 가치로 2억 달러가 넘었다.

이 지진은 특히 화재를 야기하여 샌프란시스코 구시가지의 2/3이 몽땅 타 버렸고 그나마도 건진 것은 당시의 시 소방당국이 방화지대로 가옥을 철거해서 52m의 소개공지를 확보한 덕택이었다. 시카고 대화재처럼 화재선풍이 불붙은 목재덩어리를 뿜어내는 수준까지 가지 않았기 때문에 반 세기 전 시카고가 당했던 대규모 화재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지진의 여파 자체가 워낙 강력했기 때문에 수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여기에 또다른 불운도 있었는데 사망자 중에는 하필이면 샌프란시스코의 소방 인력을 총지휘해야 할 소방대장인 데니스 설리번(Dennis T. Sullivan)도 있었다. 아파트에서 잠을 자던 도중 지진이 발생해서 방 밖으로 나오려고 했는데 하필이면 그 순간 건물이 무너져서 바닥으로 떨어진 것. 즉사하진 않았으나 5일 후에 사망했다.

일설에 의하면 유명 영화배우 루돌프 발렌티노도 당시 지진의 현장에 있었다고 하며 그 외에도 많은 지진 경험담이 미국에 문서로 많이 남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리더스 다이제스트의 '인류가 겪은 대재앙'에 따로 항목이 개설되어 있다. 또 일본의 사상가 고토쿠 슈스이도 이때 샌프란시스코에 있었는데 그는 샌프란시스코 시민들의 자발적인 지진 구호행위를 보면서 더더욱 아나코-코뮤니즘으로 경도되었다고 한다.

이 지진은 지진학에서 중요한 사례로 남아 있는데 당시까지도 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할 것이라는 추정만 하고 있었고 확실한 근거는 없었지만 샌 안드레아스 단층에서 지진이 일어남으로써 경험론적 근거가 되었다.


위 영상은 지진이 일어나기 4일 전의 영상으로 마지막에 지진 후의 모습도 등장해 가치가 높은 영상이다. 이 영상은 미국 의회도서관National Film Registry에서 영구히 보존하는 영상물이다.


2. 1989년의 지진[편집]


1989 Loma Prieta earthquake
1989년 로마프리타 지진
발생일시
(UTC)
1989년 10월 17일 17시 4분 15초
진앙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규모Mw 6.9 / Ms 7.2
진도
진원깊이18.5km
피해사망자 63명
부상자 3,757명
이재민 55,000명 이상
화재 발생 50건 이상
피해액 7~80억 달러 이상

1989년 10월 17일 현지시간 17시 4분에 규모 6.9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 지진은 진원지가 로마프리타 부근이라 로마프리타 지진으로 불린다. 부두 근처에 있던 집들이 토대부터 부서졌다.

깊이가 19km로 얕아 진동이 15초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피해가 컸는데 이 지진으로 인해 63명이 사망하고 3757명이 부상을 당하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떨어지는 벽돌과 돌조각에 맞아 다쳤다.





이 지진 때문에 당일 샌프란시스코 캔들스틱 파크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1989년 월드 시리즈 3차전이 열흘 연기됐다. 또한 이 경기를 ABC가 생중계했기 때문에 인류 역사상 두 번째로 실시간 생중계된 대지진으로 남았다.[3] 이때 경기 캐스터로 예정됐던 알 마이클스가 지진 직후 남긴 멘션도 유명하다.


당시 생중계 영상으로 공포에 질린 사람들의 비명소리가 선명하게 담겨 있다.

여담으로 이 당시 미국, 특히 샌프란시스코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한인 교포들은 이 1989년 지진 이후에 교육과정에서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당시의 재해와 시민들의 자발적인 극복 노력에 대해 굉장히 많은 교육을 받았다는 뒷얘기가 있다.

3. 같이 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세기 지진
19세기
20세기
2000년대
[ ~1950년대 ]

발생일규모지진명
1906. 4. 18.
M8.3샌프란시스코 지진
1909. 6. 11.
M6.21909년 프로방스 지진
1920. 12. 16.
M8.71920년 간쑤성 대지진
1921. 3. 20.
M4.21921년 경주 지진
1923. 9. 1.
M8.31923년 관동대지진
1925. 12. 9.
M4.41925년 홍성 지진
1936. 7. 4.
M5.3지리산 쌍계사 지진
1939. 1. 24.
M8.31939년 치얀 지진
1939. 12. 26.
M7.8에르진잔 대지진
1944. 12. 7.
M7.91944년 도난카이 대지진
1944. 12. 19.
M6.8조선-중국 국경 지진
1946. 4. 1.
M8.6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1946. 12. 21.
M8.01946년 난카이 대지진
1948. 6. 28.
M7.11948년 후쿠이 지진
1950. 8. 15.
M8.71950년 아삼 지진
1952. 3. 19.
M6.41952년 강서 지진
1952. 4. 24.
M5.61952년 은천 지진
1952. 11. 5.
M9.0세베로쿠릴스크 지진
1959. 5. 4.
M8.31959년 캄차카 지진

[ 1960년대~ ]

발생일규모지진명
1960. 2. 29.
M5.81960년 아가디르 지진
1960. 5. 2.
M9.5칠레 대지진
1960. 10. 8.
M6.81960년 길주 해역 지진
1963. 9. 6.
M6.3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1963. 9. 7.
M6.6
1964. 3. 27.
M9.2알래스카 지진
1964. 6. 16.
M7.51964년 니가타 지진
1965. 8. 3.
~1970. 6. 5.
M6.4마츠시로 군발지진
1973. 9. 29.
M7.81973년 나진 해역 지진
1975. 2. 4.
M7.01975년 하이청 지진
1975. 6. 29.
M7.31975년 속초 해역 지진
1976. 7. 27.
M7.81976년 탕산 대지진
1976. 7. 28.
M7.4
1976. 8. 16.
M8.01976년 필리핀 모로 만 지진
1978. 9. 16.
M5.2속리산 지진
1978. 10. 7.
M5.0홍성 지진
1980. 1. 8.
M5.3의주 지진
1982. 2. 14.
M5.61982년 사리원 지진
1983. 5. 26.
M8.11983년 아키타 지진
1985. 9. 19.
M8.0멕시코시티 대지진
1988. 12. 7.
M6.8아르메니아 대지진
1989. 10. 17.
M7.2샌프란시스코 지진
1990. 6. 21.
M7.41990년 이란 지진
1990. 7. 16.
M7.81990년 필리핀 루손 지진
1992. 4. 13.
M5.81992년 루르몬트 지진
1993. 7. 12.
M7.81993년 홋카이도 해역 지진
1994. 4. 22.
M5.31994년 울산 해역 지진
1994. 7. 26.
M5.91994년 홍도 해역 지진
1995. 1. 17.
M7.3효고현 남부 지진
1996. 12. 13.
M5.61996년 영월 지진
1997. 6. 26.
M5.01997년 경주 지진
1999. 8. 17.
M7.61999년 이즈미트 대지진
1999. 9. 21.
M7.7921 대지진
2000. 6. 17.
~21.
M6.5아이슬란드 지진
2000. 6. 6.
~9. 28.
~ M6.5이즈 제도 군발지진(2000년 7월)A
2000. 10. 6.
M7.32000년 돗토리 지진
A:해당 군발지진의 시작일은 위의 아이슬란드 지진보다 먼저이지만, 가장 큰 지진인 이 문서에 집중적으로 서술된 규모 6.5의 지진은 2000년 7월 1일에 발생함을 고려하여 2000년 7월 1일 지진을 본진으로 분류하여 위의 문서인 아이슬란드 지진 뒤에 기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2:11:35에 나무위키 샌프란시스코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초기에는 375명으로 보고되었지만 이때는 차이나타운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기록을 알 수 없다.[2] 모멘트 규모로는 7.8로 추정[3] 최초는 1985년 멕시코시티 대지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