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삼천리그룹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자전거 메이커에 대한 내용은 삼천리자전거 문서
삼천리자전거번 문단을
삼천리자전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삼천리그룹 로고.svg주식회사 삼천리
株式會社三千里
Samchully Co., Ltd.
||
설립일1955년 10월
주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6길 42 (여의도동)
창업주이장균, 유성연
대표자이만득, 유상덕
기업형태준대기업
시가총액5,405억원2023년 05월 09일 기준
파일:삼천리그룹 로고.svg 파일:에스티인터내셔널 로고.svg (구, 삼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지배 구조
4. 계열사
5. 오너 일가
6. 관련 자료
7. 여담




1. 개요[편집]


삼천리를 모태로 에너지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대한민국기업집단. 도시가스·민자발전·집단에너지 등의 사업을 영위한다. 2023년 기준 재계서열 49위의 준대기업집단에 해당된다.


2. 역사[편집]


삼천리그룹은 이장균·유성연 회장의 동업으로 시작되었다. 1955년 두 회장은 '삼천리연탄기업사'를 세워 석탄 사업에 진출했고, 1962년 강원도 정선군에 광산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삼척탄좌[1]'를 세웠다. 두 사람은 각자 삼천리와 삼척탄좌의 지분을 나눠가졌고 이, 유 두 가문의 동업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참고기사

대한민국에서 에너지원으로 연탄이 각광받던 시절 삼천리그룹은 고성장을 구가했으나 연탄은 곧 사양되었고 그룹은 위기를 맞는다. 그러자 삼천리는 1982년 경인도시가스를 인수하며 도시가스 회사로 변신을 시도했는데 이것이 성공하여 지금까지도 도시가스 산업은 그룹의 실적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가스 산업은 그 특성상 변동성이 매우 적은 안정적인 사업이라 삼천리는 꾸준히 흑자를 내는 건실한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통계로 예를 들자면 삼천리는 창업 이후 51년 연속 흑자, 1973년 이후 34년 연속 배당, 외환위기 때도 1998년 198억원 흑자실현에 성공했다. #

그러나 2014년에 다시 위기가 찾아왔다. 이는 2000년대 들어 도시가스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자 자원개발, 민자발전 같은 도시가스 유관업종에 뛰어들었으나 모두 실패했기 때문이다. 자원개발의 경우 이라크우즈베키스탄석유 가스에 투자했으나 유가 급락으로 16년에 1,000억 원에 달하는 손실을 입었고 민자발전에서는 LNG가 정부 정책에 따라 값싼 석탄, 원자력에 비해 급전 순위가 밀리면서 가동률이 급락하여 마찬가지로 재미를 보지 못했다.

다만 자원개발의 실패는 삼천리 계열에만 해당되고 애초부터 광산개발을 모태로 한 삼탄은 인도네시아에서 꾸준히 석탄을 캐며 매년 2~3,000억 원의 안정적인 현금을 창출하고 있다.

최악의 시기를 보낸 삼천리는 다행히 본업인 도시가스 산업의 수요가 반등하고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석탄, 원자력을 대체할 발전원으로 LNG를 지목하며 다시 회생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

앞서 언급했듯 삼천리그룹은 두 창업자의 동업으로 시작되었는데 기본적으로 이씨 가계가 삼천리, 유씨 가계가 삼탄[2]에 대해 더 높은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자세한 지배구조는 기사에서 확인 가능한데 보면 알겠지만 법인격으로서 삼천리와 삼탄은 지분관계가 전혀 없다. 그러나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기업집단을 분류할 때는 특수관계인의 지분관계 또한 고려하기 때문에 삼탄은 삼천리그룹에 포함된다.

대중에게 알려진 삼천리자전거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이 유성연, 이장균 회장의 의기투합 과정과 성공스토리가 워낙 극적이라 1985년열망이라는 제목으로 KBS 드라마로도 제작 되었는데, 이순재가 유성연, 임동진이 이장균 역을 맡았다. 이 두사람이 함경도 출신이라 역시 함경도가 고향인 이순재, 임동진이 캐스팅 됐던 것이라고 한다. 영상 관련내용[3]


3. 지배 구조[편집]


2023년 4월 기준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백9.18%
파일:미국 국기.svg 유용욱9.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만득8.3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상덕6.4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혜숙3.8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선0.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남0.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희0.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찬의0.0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재권0.0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증권금융6.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자사주15.56%


4. 계열사[편집]


지배구조가 괴리되어 있는 삼탄을 제외하면 삼천리그룹의 지주사격에 해당하며 또한 핵심 사업회사이다. 개별 기준으로 도시가스를 주력으로 삼고 있기도 하고 동시에 여러 계열사들을 연결기준 자회사로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삼천리의 연결기준 실적은 삼탄을 제외하고 삼천리그룹 전체의 실적이다. 2016년 기준 약 3조원의 매출과 6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감가상각비 등을 감안한 현금창출력 지표인 EBITDA는 1,800억원 정도다. 매출의 77%가 도시가스 부문에서 창출되었고 민자발전이 15% 그리고 나머지다. 국내 도시가스 시장 점유율 1위라고 회사 측에서 자주 언급하나 이는 반만 맞다. 개별 법인을 기준으로 보면 삼천리가 1위가 맞으나 사실상 국내 도시가스 시장의 절대강자인 SK E&S는 지역별로 여러 자회사들을 두고 사업을 영위하기 때문에 계열을 합산해서 보면 SK가 1위다. 경기도 서남부권과 인천광역시 지역권의 독점적인 도시가스 공급자며 집단에너지 사업자로 광명역세권, 소하, 신촌의 15,000여 가구에 지역난방을 공급하고 있다.

  • 삼탄(현 에스티인터내셔널)
삼천리와 더불어 국내 최고의 회사였던 삼탄으로 더욱 잘 알려져 있다. 현존하는 삼천리 계열사 중에 가장 상징적인 대한민국 성공 기업. 1985년 KBS 드라마 '열망'이라는 드라마가 제작 되었는데, 당시 삼탄 회장인 유성연 역으로 이순재, 삼천리 회장인 이장균 역으로 임동진 이 배역을 맡았으며 이 기업이 바로 현재의 '삼탄'과 '삼천리'다. 특히 1980년대 인도네시아 광산 사업에 크게 성공하여 대한민국에서 가장 돈을 잘 버는 회사로도 알려졌으며, 한때는 같은 계열사의 삼천리와 더불어 서울대 졸업생들이 선망했던 신의 직장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다만 현재는 인도네시아 사업을 종료하고, 현금만 무려 2조 가까이 들고있기 때문에, 투자회사로 변모하는 중이나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상황이 녹록치 않다. 상장기업인 삼천리와 달리 비상장기업으로 유상덕을 비롯한 개인주주가 90%의 지분을 들고 있고 나머지 10%는 그룹과 관계된 것으로 짐작되는 재단·장학회가 소유하고 있다. 이 회사의 주력은 석탄 광산으로 인도네시아에서 광산을 개발해 매우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는 알짜 회사이다. 특히 국제 석탄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던 2010년대 초반에는 무려 1조원의 영업이익을 내기도 했다. 2020년 ST인터내셔널로 사명을 변경하고, 2021년 12월에는 투자전문사로서 주요 관광지인 인도네시아 발리에 1,900억원의 5성급 리조트를 전액 현금으로 인수하기도 하였다. 기사 ST인터내셔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회사 포트폴리오를 참고하기 바람.

  • 삼천리ENG
삼천리ENG는 엔지니어링 사업과 생활문화 사업을 조화롭게 추진하고 있다. 엔지니어링 사업에는 도시가스 공급망 및 열 수송관 등의 배관 시공, 스토핑 사업, CNG 충전소 운영, 대용량 수요처 안전지원 사업 등을 전개한다. 생활문화 사업에서는 외식사업본부(SL&C)가 중식 브랜드 ‘Chai797’, ‘호우섬’과 한식 브랜드 ‘정육점‘, ‘서리재‘ 등을 운영하며 국내 외식 트렌드를 선도해 나가고 있다.

  • 삼천리ES
삼천리ES는 우수한 에너지 효율화 및 엔지니어링 기술을 기반으로 Total Energy Solution을 제공하는 에너지 전문 기업이다. 함평태양광발전소를 운영했으며, 친환경 고효율 에너지 장비(GHP) 사업, 폐자원 에너지 재생 사업, 바이오가스 발전 사업, 연료전지 시공 사업 등을 전개한다. 특히 연료전지 분야에서 국내 최대 시공 실적을 보유했으며 앞으로 신재생 에너지 사업을 더욱 활발히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에스파워
LNG 민자발전 사업자로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참고하기 바람. 삼천리의 연결대상 자회사로 에스파워의 실적은 삼천리의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어 있다.

BMW 공식 딜러사로서 자동차 판매 및 AS 서비스를 전문으로 수행하는 기업. 수도권 및 충청 지역에서 신차 전시장, 서비스센터, BPS(BMW 공식 인증 중고차) 전시장을 운영하며, BMW와 관련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차 전시장은 수도권 3개(안양, 안산, 동탄), 충청 지역 3개(청주, 천안, 세종) 등 총 6개의 전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서비스센터는 수도권 3개(안양, 동탄, 군포), 충청 지역 3개(청주, 천안, 세종) 등 총 6개의 센터를 운영하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PS 전시장은 수도권 1개(안양), 충청 지역 1개(천안) 등 총 2개의 전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안양, 안산, 세종, 군포에서 전시장 및 서비스센터를 신규로 오픈하고 청주 전시장을 충북 지역 최대 규모 전시장으로 확장 이전하는 등 수도권과 충청 지역에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5. 오너 일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한국의 기업 가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관련 자료[편집]




7. 여담[편집]


  • 회사 로고가 미국의 통신 대기업 AT&T와 묘하게 매우 비슷하다.

  • 2023년 기준 준대기업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자산총액 9.8조원으로 한국의 대기업 커트라인인 10조원의 코앞에 다달렀다.

  • 2004년부터 한국능률협회컨설팅에서 진행하는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도시가스 산업 부문 1위에 20년째 수상을 이어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9:52:38에 나무위키 삼천리그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 에스티인터내셔널[2] 現 에스티인터내셔널[3] 관련내용 중간에 드라마 하이라이트가 있으니 보길 권한다. 이순재, 임동진의 걸죽한 함경도 사투리를 들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