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기 스타디움

덤프버전 :







파일:宮城スタジアム_20150630143347.jpg
미야기 스타디움
(Miyagi Stadium/宮城スタジアム)
위치미야기현 미야기군 리후정
기공1996년 10월
개장2000년 3월 31일
소유자미야기현
운영자G21 지정 관리 그룹
((공재) 미야기 현 스포츠 진흥 재단 · 동화 흥업 · 중앙 스포츠) (지정 관리자)
그라운드천연 잔디
피치 크기107 × 71m
조명1500 lx
대형 영상장치1기
건설비약 270억 엔
사용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2020 도쿄 올림픽
베갈타 센다이 (부정기)
수용 능력49,133명




1. 개요[편집]


센다이시 도심에서 북동쪽으로 미야기노구 경계를 넘어가 있는 리후정에 있다. 미야기현 종합운동공원 부지 내에 사업비 약 270억 엔을 들여 2000년 3월 31일에 완공한 미야기현 최대의 육상 장 겸 구기 경기장. 수용 인원은 49,000여 명이다.

디자인은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미야기현 일대를 지배했던 다이묘 다테 마사무네의 초승달 투구 장식에서 따 왔다. 다만 너무 미적인 디자인에 경도되어 정작 경기 관람이라는 목적에는 그다지 부합하지 않는 편이라고. 가장 가까운 철도역인 리후역에서 도보 1시간이라는 절망적인 접근성도 흠.

경기장은 전국 농업 협동 조합 연합회 미야기현 본부(JA 전농 미야기)가 2014년 4월 1일부터 2017년 3월 31일까지의 3년간 연간 500만엔으로 명명권을 취득하기로 합의했다. 명칭은 히토메보레 스타디움 미야기(ひとめぼれスタジアム宮城)이다. 이후 3년 더 연장하였고 2020년 3월 31일 만료되었다. 새 경기장 스폰서는 도쿄도 시부야구에 본사를 둔 Q&A 코퍼레이션이며 명칭은 큐 앤드 에이 스타디움 미야기(キユアンドエースタジアムみやぎ)이다.

2001년에 열린 제56회 국민 체육 대회의 주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경기장 중 시(市)급 이상의 지역에 설치되지 않은 유알한 경기장이고 일본이 16강전에서 터키에 패해 8강 진출이 좌절된 쓰라린 기억이 남아 있는 장소다.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조별리그 경기장으로도 사용되었다. 특히 대부분의 경기가 무관중으로 열린 와중에도 유관중 경기가 진행된 몇 안 되는 경기장이다.


2. 경기[편집]



2.1.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편집]


경기일자홈팀결과원정팀라운드관중
2002년 6월 9일 15:30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2 - 1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G조 2차전45,610명
2002년 6월 12일 15:30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1 -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F조 3차전45,777명
2002년 6월 18일 15:30파일:일본 국기.svg 일본0 - 1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16강전45,666명
조별 리그는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F조,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G조 각각 1경기를 개최했다. 특히 16강전에서 일본튀르키예에 패하며 월드컵을 마감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이 이탈리아를 상대로 역전승하는 대형사고를 치는 바람에 더더욱 비교가 되었던 경기로 남았다.


2.2. 2012 FIFA U-20 여자 월드컵 일본[편집]


경기일자홈팀결과원정팀라운드
8월 19일뉴질랜드2 - 1스위스A조
8월 19일일본4 - 1멕시코A조
8월 22일멕시코2 - 0스위스A조
8월 22일일본2 - 2뉴질랜드A조
8월 27일미국0 - 3독일D조
8월 27일노르웨이4 - 1아르헨티나C조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2:27:25에 나무위키 미야기 스타디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