룸비아

덤프버전 :

1. 개요
2. 2000년 제22호 태풍
3. 2006년 제17호 태풍
4. 2013년 제6호 태풍
4.1. 2013년 제6호 진로 경과
5. 2018년 제18호 태풍
5.1. 기록


1. 개요[편집]


룸비아(Rumbia)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야자수의 한 종류이다. 2018년 태풍이 중국에 끼친 큰 피해 때문에 제명되었으며, 풀라산으로 대체되었다.


2. 2000년 제22호 태풍[편집]




2000년 태풍
제21호 버빈카제22호 룸비아 → 제23호 솔릭

2000년 제22호 태풍 룸비아
위성사진파일:룸비아2000.jpg
진로도파일:룸비아TRACK.png
활동 기간2000년 11월 28일 ~ 11월 30일
영향 지역팔라우,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태풍 등급열대폭풍[JTWC]
10분 등급열대폭풍[JMA]
태풍 크기소형(직경 370km)
최저 기압990hPa
최대 풍속1분 평균26m/s
10분 평균21m/s

발생 후 서북서진하며 필리핀에 열대폭풍(TS)급의 세력으로 상륙하였고, 그 후 서서히 서남서진하며 열대저기압 수준으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잠깐 열대폭풍(TS)으로 발달하였으나 다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베트남 최남단 해역에서 소멸했다.


3. 2006년 제17호 태풍[편집]


2006년 태풍
[ 펼치기 · 접기 ]

짠쯔즐라왓에위니아*빌리스개미
쁘라삐룬마리아사오마이보파우쿵*
소나무이오케산산*야기상산
버빙카룸비아솔릭시마론제비
두리안우토르짜미
← 2005년 태풍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2007년 태풍 →
※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때의 이름이 붙어있다. 허리케인 명명기준 '이오파'로 변경.



2006년 태풍
제16호 버빙카제17호 룸비아 → 제18호 솔릭

2006년 제17호 태풍 룸비아
위성사진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진로도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활동 기간2006년 10월 3일 ~ 10월 6일
영향 지역괌,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태풍 등급열대저기압[JTWC]
10분 등급열대폭풍[JMA]
태풍 크기대형(직경 1,050km)
최저 기압985hPa
최대 풍속1분 평균15m/s
10분 평균23m/s


4. 2013년 제6호 태풍[편집]




2013년 태풍
제5호 버빙카제6호 룸비아 → 제7호 솔릭

2013년 제6호 태풍 룸비아
진로도
파일:1306track.png
활동 기간2013년 6월 28일 21시 ~ 2013년 7월 2일 21시
영향 지역필리핀, 중국
태풍 등급1등급[JTWC]
10분 등급강한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중형(직경 610 km)
최저 기압985 hPa
최대 풍속1분 평균36 m/s
10분 평균26 m/s

4.1. 2013년 제6호 진로 경과[편집]


발표 시각1분풍속10분풍속SSHS 등급JMA 등급
6월 28일 21시30kn35kn열대저기압
6월 29일 3시35kn35kn열대폭풍
6월 29일 9시35kn35kn
6월 29일 15시40kn35kn
6월 29일 21시40kn35kn
6월 30일 3시40kn35kn
6월 30일 9시40kn35kn
6월 30일 15시40kn40kn
6월 30일 21시45kn40kn
7월 1일 3시45kn45kn
7월 1일 9시50kn45kn
7월 1일 15시65kn50kn1등급
7월 1일 21시65kn50kn
7월 2일 3시60kn45kn열대폭풍
7월 2일 9시50kn40kn
7월 2일 15시-35kn소멸
7월 2일 21시소멸 및 감시 종료

5. 2018년 제18호 태풍[편집]


제명된 태풍
[ 펼치기 · 접기 ]

2001
와메이
2002
차타안
2002
루사*
2002
봉선화
2003
야냔
2003
임부도
2003
매미*
2004
수달
2004
팅팅
2004
라나님
2005
맛사*
2005
나비*
2005
룽왕
2006
짠쯔
2006
빌리스
2006
사오마이
2006
이오케※
2006
상산
2006
두리안
2009
모라꼿*
2009
켓사나
2009
파마
2010
파나피
2011
와시
2012
비센티
2012
보파
2013
소나무
2013
우토르
2013
피토
2013
하이옌
2014
람마순
2015
사우델로르*
2015
무지개
2015
곳푸
2015
멜로르
2016
므란티*
2016
사리카
2016
하이마
2016
녹텐
2017
하토
2017
카이탁
2017
덴빈
2018
룸비아*
2018
망쿳
2018
위투
2019
레끼마*
2019
파사이
2019
하기비스
2019
간무리
2019
판폰
2020
봉퐁
2020
린파
2020
몰라베
2020
고니
2020
밤꼬
2021
꼰선
2021
곤파스
2021
라이
2022
말라카스
2022
메기
2022
망온
2022
힌남노*
2022
노루
2022
날개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 때의 이름이 붙어있다. 허리케인 명명기준 '이오파'로 변경.





2018년 태풍
제17호 헥터제18호 룸비아 → 제19호 솔릭

2018년 제18호 태풍 룸비아
진로도
파일:Rumbia20180823track.png
활동 기간2018년 8월 15일 15시 ~ 2018년 8월 18일 9시
영향 지역일본 류큐 제도, 대한민국, 중국 저장 성, 장쑤 성, 안후이 성, 허난 성, 후베이 성
태풍 등급열대폭풍[JTWC]
10분 등급열대폭풍[JMA]
태풍 크기중형(직경 610 km)
최저 기압985 hPa
최대 풍속1분 평균26 m/s
10분 평균23 m/s
피해사망53명
피해총액53억 6,000만 달러[1]

중국으로 가면서 2018년 폭염의 원인인 열돔을 날려버린 태풍이다. 태풍의 진로를 보면 알겠지만 3일만에 소멸된 태풍이고, 중국으로 상륙한 태풍이지만 그동안 대한민국에 강한 영향을 주었던 티베트 열적 고기압의 영향력을 날려버리고 북쪽에서 건조한 찬공기를 한반도로 내려보내는 데 성공해서 결국 이 태풍이 중국으로 상륙한 동시에 지긋지긋한 열대야가 끝나버리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한국 입장에서는 리피와 함께 그야말로 지긋지긋한 폭염에서 벗어나게 만들어준 고마운 태풍이 되겠다. 물론 기간은 잠시였고 2018년 폭염을 완전히 끝낸 것은 제19호 태풍 솔릭이다.

흥미롭게도 8월 20일 밤에는 편서풍에 튕겨져 나와 북한 쪽으로 이동하였는데 중국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의 세력을 회복했다고 하였다. 그로 인해 대한민국 수도권 일대에 바람이 강해졌었다.

태풍 자체의 세기는 고작 열대폭풍 수준으로, 바람은 무척 약했으나 이런 종류의 태풍들이 다 그렇듯 세력의 대부분이 비에 집중되어 있었고, 결국 중국 창장강 일대에 대홍수를 일으켜 53명의 사망자와 50억 달러를 훌쩍 넘는 엄청난 규모의 재산 피해를 남겼다. 이로 인해 결국 제명되었다.

한편 한국은 태풍의 위험반원에 잠깐동안 속해 있어서 적은 비가 오고, 다소 강한 바람이 불었으며 한반도 북부, 중부에서는 20~21일에도 룸비아에서 약화된 열대저압부의 영향을 받았다. 이 때문에 수도권 일대에 비바람이 쳤다.

또한 야기, 암필과 방향이 비슷해서 오키나와도 큰 해를 입었다. 그러나 일본의 4대 섬에는 영향을 안 줬고 한국에는 영향을 줬다고 했다.

큰 피해를 입힌 태풍이라 제명되었지만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열돔을 파괴시키는데 기여한 태풍이라 효자 태풍이라 불리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보여줬다.

5.1. 기록[편집]


순간최대풍속(m/s)경기백령도 23.7 강화 18.1 서울 17.8 인천 14.7
강원태백 17.3 대관령 17.2 강릉 10.9 철원 10.4 춘천 10.3
전라흑산도 17.2 여수 16.7 흑산도 12.4 목포, 부안 10.8
제주고산 17.2 제주 16.4 성산 16.2 서귀포 11.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5:02:05에 나무위키 룸비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JTWC] A B C D [JMA] A B C D [1] 2018년 미국 환율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