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옹 강베타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왕정복고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아르망에마뉘엘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장조제프 데솔엘리 드카스
(제2대)제5대제6대제7대
아르망에마뉘엘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조제프 드 빌리에장바티스트 실베르 게 드 마르티냐크쥘 드 폴리냐크
제8대
카지미르루이빅투르니앙 드 로슈슈아르 드 모르트마르
7월 왕정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자크 라피트카지미르 페리에니콜라 장드듀 술트에티엔 모리스 제라르
제13대제14대제7대제16대
위그베르나르 마레에두아르 모르티에빅토르 드 브로이아돌프 티에르
제17대(제11대)(제16대)(제11대)
마티외 몰레니콜라 장드듀 술트아돌프 티에르니콜라 장드듀 술트
제18대(제17대)
프랑수아 기조마티외 몰레
제2공화국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자크 샤를 뒤퐁 드 뢰르프랑수아 아라고루이외젠 카베냐크오딜롱 바로
제23대제24대
알퐁스 앙리 도풀레옹 포셰
제2제국
제25대제26대
에밀 올리비에샤를 쿠쟁몽토방
제3공화국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루이 쥘 트로쉬쥘 아르망 뒤포르알베르 드 브로이에르네스트 쿠르토 드 시셰
제31대(제28대)제32대(제29대)
루이 뷔페쥘 아르망 뒤포르쥘 시몽알베르 드 브로이
제33대(제28대)제34대제35대
가에탕 드 로슈부에쥘 아르망 뒤포르기욤 워딩턴샤를 드 프레이시네
제36대제37대(제35대)제38대
쥘 페리레옹 강베타샤를 드 프레이시네샤를 뒤클레르
제39대(제36대)제40대(제35대)
아르망 팔리에르쥘 페리앙리 브리송샤를 드 프레이시네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르네 고블레모리스 르비에피에르 티라르샤를 플로케
(제43대)(제35대)제45대제46대
피에르 티라르샤를 드 프레이시네에밀 루베알렉상드르 리보
제47대제48대(제47대)(제46대)
샤를 뒤피장 카지미르페리에샤를 뒤피알렉상드르 리보
제49대제50대(제40대)(제47대)
레옹 부르주아쥘 멜린앙리 브리송샤를 뒤피
제51대제52대(제42대)제53대
피에르 발데크루소에밀 콩브모리스 루비에페르디낭 사리앵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조르주 클레망소아리스티드 브리앙에르네스트 모니조제프 카요
제58대(제55대)제59대제60대
레몽 푸앵카레아리스티드 브리앙루이 바르투가스통 두메르그
(제46대)제61대(제55대)(제46대)
알렉상드르 리보르네 비비아니아리스티드 브리앙알렉상드르 리보
제62대(제54대)제63대제64대
폴 팽르베조르주 클레망소알렉상드르 밀랑조르주 레이그
(제55대)(제58대)제65대제66대
아리스티드 브리앙레몽 푸앵카레프레데리크 프랑수아마르시알에두아르 에리오
(제62대)(제55대)(제66대)(제58대)
폴 팽르베아리스티드 브리앙에두아르 에리오레몽 푸앵카레
(제55대)제67대제68대(제67대)
아리스티드 브리앙앙드레 타르디외카미유 쇼탕앙드레 타르디외
제69대제70대(제67대)(제66대)
테오도르 스테그피에르 라발앙드레 타르디외에두아르 에리오
제71대제72대제73대(제68대)
조제프 폴봉쿠르에두아르 달라디에알베르 사로카미유 쇼탕
(제72대)(제60대)제74대제75대
에두아르 달라디에가스통 두메르그피에르에티엔 플랑댕페르낭 부아송
(제70대)(제73대)제76대(제68대)
피에르 라발알베르 사로레옹 블룸카미유 쇼탕
(제76대)(제72대)제77대제78대
레옹 블룸에두아르 달라디에폴 레노필리프 페탱
비시 정권
(제70대)(제74대)제79대(제70대)
피에르 라발피에르에티엔 플랑댕프랑수아 다를랑피에르 라발
임시정부
제80대제81대제82대(제76대)
샤를 드골펠릭스 구앵조르주 비도레옹 블룸
제4공화국
제83대제84대제85대(제84대)
폴 라마디에로베르 슈만앙드레 마리로베르 슈만
제86대제87대(제86대)제88대
앙리 쾨유조르주 비도앙리 쾨유르네 플레뱅
(제86대)(제88대)제89대제90대
앙리 쾨유르네 플레뱅에드가르 포르앙투안 피네
제91대제92대제93대(제89대)
르네 마예르조제프 라니엘피에르 망데스 프랑스에드가르 포르
제94대제95대제96대제97대
기 몰레모리스 부르제스모누리펠릭스 가야르피에르 플림랭
(제80대)
샤를 드골
제5공화국
제98대제99대제100대제101대
미셸 드브레조르주 퐁피두모리스 쿠브 드뮈르빌자크 샤방델마스
제102대제103대제104대제105대
피에르 메스메르자크 시라크레몽 바르피에르 모루아
제106대(제103대)제107대제108대
로랑 파비위스자크 시라크미셸 로카르에디트 크레송
제109대제110대제111대제112대
피에르 베레고부아에두아르 발라뒤르알랭 쥐페리오넬 조스팽
제113대제114대제115대제116대
장피에르 라파랭도미니크 드빌팽프랑수아 피용장마르크 에로
제117대제118대제119대제120대
마뉘엘 발스베르나르 카즈뇌브에두아르 필리프장 카스텍스
제121대
엘리자베트 보른




[ 펼치기 · 접기 ]

제9대1기제10대1기제11대제12대
쥘 아르망 뒤포르알베르 드 브로이에르네스트 쿠르토 드시세루이 뷔페
제9대2기제13대제10대2기제14대
쥘 아르망 뒤포르쥘 시몽알베르 드 브로이가에탕 드로슈부에
제9대3기제15대제16대1기제17대1기
쥘 아르망 뒤포르기욤 워딩턴샤를 드프레이시네쥘 페리
제18대제16대2기제19대제20대
레옹 강베타샤를 드프레이시네샤를 뒤클레르아르망 팔리에르
제17대2기제21대1기제16대3기제22대
쥘 페리앙리 브리송샤를 드프레이시네르네 고블레
제23대1기제24대1기제25대제24대2기
모리스 루비에피에르 티라르샤를 플로케피에르 티라르
제16대4기제26대제27대1기제28대1기
샤를 드프레이시네에밀 루베알렉상드르 리보샤를 뒤피
제29대제28대2기제27대2기제30대
장 카지미르페리에샤를 뒤피알렉상드르 리보레옹 부르주아
제31대제21대2기제28대3기제32대
쥘 멜린앙리 브리송샤를 뒤피피에르 발데크루소
제33대제23대2기제34대제35대1기
에밀 콩브모리스 루비에페르디낭 사리앵조르주 클레망소
제36대1기제37대제38대제39대1기
아리스티드 브리앙에르네스트 모니조제프 카요레몽 푸앵카레
제36대2기제40대제41대1기제27대3기
아리스티드 브리앙루이 바르투가스통 두메르그알렉상드르 리보
제42대제36대3기제27대4기제43대1기
르네 비비아니아리스티드 브리앙알렉상드르 리보폴 팽르베
제35대2기제44대제45대제36대4기
조르주 클레망소알렉상드르 밀랑조르주 레이그아리스티드 브리앙
제39대2기제46대제47대1기제43대2기
레몽 푸앵카레프레데리크 프랑수아마르살에두아르 에리오폴 팽르베
제36대5기제47대2기제39대3기제36대6기
아리스티드 브리앙에두아르 에리오레몽 푸앵카레아리스티드 브리앙
제48대1기제49대1기제48대2기제50대
앙드레 타르디외카미유 쇼탕앙드레 타르디외테오도르 스테그
제51대1기제48대3기제47대3기제52대
피에르 라발앙드레 타르디외에두아르 에리오조제프 폴봉쿠르
제53대1기제54대1기제49대2기제53대2기
에두아르 달라디에알베르 사로카미유 쇼탕에두아르 달라디에
제41대2기제55대1기제56대제51대2기
가스통 두메르그피에르에티엔 플랑댕페르낭 부아송피에르 라발
제54대2기제57대1기제49대3기제57대2기
알베르 사로레옹 블룸카미유 쇼탕레옹 블룸
제53대3기제58대제59대
에두아르 달라디에폴 레노필리프 페탱



프랑스 제18대 총리
레옹 강베타
Léon Gambetta
파일:Gambetta_par_Étienne_Carjat_(photo_recadrée).jpg
출생1838년 4월 2일
프랑스 왕국 카오르
사망1882년 12월 31일(향년 44세)
프랑스 세브르
국적
파일:프랑스 국기.svg

재임기간제18대 총리
1881년 11월 14일 ~ 1882년 1월 30일
정당중도적 공화주의자(1863년 ~ 1869년)
공화주의 극좌(1869년 ~ 1871년)
공화주의자 동맹(1871년 ~ 1882년)

1. 개요
2. 인생



1. 개요[편집]


프랑스정치인. 왕당파와 대립한 공화주의 성향으로 1881년 총리를 지내는 등 프랑스 제3공화국 초기에 핵심인물 중 한명으로 활동했다. 1870년 9월 4일, 프랑스 제2제국의 소멸 후 프랑스 제3공화국이 들어설 때 공화국을 선포한 것도 강베타다.


2. 인생[편집]


변호사 출신으로, 1860년 즈음 제2제국의 권위주의적 성향이 줄어들고 점차 의회주의로 전향하자, 1869년 제국 반대파 의원으로써 정계에 입문해 나폴레옹 3세 측과 대립각을 세웠다.

1870년 보불전쟁이 터지기 전만 해도 전쟁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허나 보불전쟁이 터지고 나폴레옹 3세는 포로가 되는 등 졸전 끝에 파리프로이센 왕국에 고립되자, 항전론자가 된 강베타는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되고 열기구로 파리를 탈출해 남부 도시 투르에서 전력을 가다듬고 오를레앙을 일시 수복하는 등 반격을 꾀하려 한다. 하지만 레옹 강베타도 직접 참여한 프랑스 제3공화국이 들어선 1871년 파리 정부는 프로이센군에 항복하고, 강베타는 이를 인정치 않는다. 그는 파리의 정부를 적법치 못한 정부로 선포하고 항전을 계속하려 한다.

1871년 2월 8일 선거 때, 자신이 속한 공화주의자들이 승리해 항전을 지원해줄 것을 바랐으나 선거는 왕정주의자들의 승리로 끝나고, 그의 항전 희망은 무산된다. 프랑스 정부의 대표가 된 온건 왕당파 오를레앙주의자 아돌프 티에르는 프로이센과 평화협상을 개시하고 알자스-로렌독일 제국에 병합하는 종전안을 승인한다. 허나 이를 굴욕으로 받아들인 강베타는 국회의원직에서 사임하고 스페인으로 망명한다.

1871년 7월 파리로 돌아와 극좌파 공화주의자로 활동하지만, 아돌프 티에르의 정책에 일견 동조하는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다 1873년 온건 왕당파 티에르는 강경 왕당파들과의 의회 싸움에 휘말려 사임하고[1], 강경 왕당파 파트리스 드마크마옹 장군이 권력을 잡는다. 이에 왕당파와 중도파(리버럴) 중 중도파를 차악으로 여긴 강베타는 중도파로 일종의 전향을 하나 이 때문에 정치 철새/기회주의자라고 비판받기도 한다. 1876년 마크마옹의 쿠데타에 반대하고, 선거 승리를 이끌며 1879년 공화파의 리더로서 마크마옹의 사퇴를 얻어내는데 성공한다.

1881년 총리직과 외무부 장관직을 겸임했지만 곧 내려왔다.

1882년 12월 31일 총상으로 사망한 것으로 잘못 아는 사람들이 많으나, 사실이 아니라고 한다. 실제로 사망년도에 사격 연습을 하다 손에 실수로 발포해 부상을 입은 이력이 있지만 치명상은 아니었다고. 결정적인 사인은 위암으로 진단되었다고 한다.

1920년 강베타의 유해는 팡테옹에 안치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2:32:02에 나무위키 레옹 강베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좀 더 정확하게는 이때 이미 티에르도 공화주의자 비슷하게 성향이 변신한 상태였다. 그러니 왕당파와는 당연히 으르렁대고, 공화파도 파리 코뮌을 강제 진압한 티에르를 크게 좋아하진 않았기에 결과적으로는 의회와의 파워 게임에서 밀려 사퇴한 것. 참고로 당시 대통령은 국민투표가 아닌 의회에서 뽑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