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스페이스

덤프버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
<bgcolor=#fff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펼치기 · 접기 ]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주요)
파일:facebook_gaming_logo.png
페이스북 ​게이밍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동양)
파일:BIGO LIVE 심볼.svg
BIGO LIVE
파일:하쿠나 라이브 아이콘.png
하쿠나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양)
파일:owncast_logo.png
오운​캐스트
파일:vstream_logo.jpg
브이​스트림
파일:lightspeedtv_logo.jpg
라이트​스피드티비
파일:playeur_logo.webp
플레이어​(Playeur)
파일:clublive_logo.png
클럽​라이브
파일:jiogames_logo.png
지오​게임즈
파일:mixcloud_logo.png
믹스​클라우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성인)
파일:플렉스티비 아이콘.svg
{{{-3 플렉스​티비 [[청소년 이용불가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비스 중이거나 예정인 플랫폼을 표기
성인용 플랫폼이거나 성인 방송의 비중이 높은 경우 파일:19금 아이콘.svg 표기
<-5><bgcolor=#dddddd,#383b40>[각주]||}}}

||




파일:livespace_logo.png라이브스페이스
Livespace
||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업종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소유주LIVESPACE MEDIA, INC[1]
설립일2023년
서비스 개시2023년, (베타 서비스)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
2. 특징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의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2. 특징[편집]


Kick이나 Rumbla, Dlive와 다르게 도박, 코인 등과 관련이 없다고 해도 될 정도로 관련 규정이 잘 잡혀있고 클린한 편이다.

3. 여담[편집]


트위치의 한국사업 철수선언 사태 이후 대채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2] 다만 현재는 인지도가 좀 낮다.

실제로 라이브스페이스에서도 이런 국내 여론을 의식하고 있는지 한국 스트리머들을 환영한다는 트윗을 올렸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0:24:02에 나무위키 라이브스페이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LIVESPACE MEDIA, INC[2] 특히 유력 후보인 네이버 치지직은 온라인 서비스 운영 능력에 대한 의구심과 자사 웹툰에게 과도한 이중잣대 검열을 가하고 있어서 우려의 목소리도 크기 때문에 트위치와 구조가 비슷한 해외 스트리밍 플랫폼도 강하게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