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구·남구 을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동구·남구 을.svg
선거인 수128,725명 (2020)
상위 행정구역광주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남구 일부
양림동, 사직동, 방림1동, 방림2동, 백운1동, 백운2동

동구 전역
학동, 충장동, 동명동, 서남동, 학운동, 계림1동, 계림2동, 산수1동, 산수2동, 지산1동, 지산2동, 지원1동, 지원2동
신설년도2016년
이전 선거구동구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병훈



1. 개요[편집]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전에 선거구 개편에 따라 동구 선거구와 남구 선거구 일부를 가져와 통합 신설된 선거구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이병훈 의원이다. 동구 선거구를 계승하는 선거구라고도 할 수 있겠다.

동구 원도심 일대를 포함하다 보니 노년층과 중장년층이 많아 광주광역시에서는 보수 지지층이 다소 높은 편이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선거구가 개편되어 새로 들어온 남구 지역 역시 남구에서 백운1동을 제외하고 가장 낙후된 곳만 편입되기도 했다. 정치 지형이 바뀐 현재는 이전에 편입된 남구 지역에서 이재명이 표를 비교적 더 얻었으며, 윤석열은 동구 지역에서 가장 높은 15.04%를 득표하였다. 종합적으로는 갑, 을 지역구 모두 양당 득표율은 비슷한 수준이다.

5.18 민주화운동을 겪은 아픔이 서려있는 동네이다.[1] 따라서 민주화 시위에 대한 폭동적 진압을 일으킨 신군부계 정당을 계승한 보수 정당의 지지가 약한 편이고, 민주당계 정당의 세력이 매우 강한 편인데도 불구하고 계림동과 학동에 재개발로 인해 고가 아파트들이 들어서 상대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하다. 특히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기존의 보수 정당인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동구에서 선거 보존 득표율인 15.04%를 얻어 제일 높게 나왔다. 다만 학동은 재개발보다는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철거건물 붕괴 사고 영향이 더 크다고 보는게 맞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13대신기하
ta-hash-start=w-1112c538fb7a2014a387aa19cc4fd4b2[[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동구
14대

1992년 5월 30일 ~ 1996년 2월 10일
15대
ta-hash-start=w-47751950afeac8d6e92962c690667e0f[[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1997년 8월 6일
이영일1997년 12월 19일 ~ 2000년 5월 29일
16대김경천
ta-hash-start=w-c41c0323dd77add26d14610dac7b6f33[[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17대양형일
ta-hash-start=w-a7c2fa485508eb3890858493a5c7ed8b[[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18대박주선
ta-hash-start=w-3b712de48137572f3849aabd5666a4e3[[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무소속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
ta-hash-start=w-e42e08e1475a8da551093509853004de[[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동구·남구 을
21대이병훈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현재
22대

2.1. 동구 (13대~19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광주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귀남(高貴南)9,512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0.72%낙선
2신기하(辛基夏)78,0931위

ta-hash-start=w-d1ac55fb85059d577e41c993909d8b0f[[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88.05%당선
3안광양(安光洋)1,0863위

ta-hash-start=w-48bbfd2497b88edea00746d7c8cb96bf[[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1.22%낙선
선거인 수115,994투표율
77.01%
투표 수89,329
무효표 수638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광주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규범(曺圭範)4,0433위

ta-hash-start=w-6e03a3928e2f0af1aacfc88f28e4c94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89%낙선
2신기하(辛基夏)51,8041위


62.74%당선
3윤재걸(尹在杰)2,7124위

ta-hash-start=w-a1677f67c9e0342b5dd4dd69762a0c43[[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3.28%낙선
4황광우(黃光祐)1,2675위

파일:민중당 1990년 글자.svg

1.53%낙선
5이문옥(李文玉)22,7312위

무소속

27.53%낙선
선거인 수116,094투표율
71.75%
투표 수83,293
무효표 수736

2.1.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광주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규범(曺圭範)4,2642위
6.53%낙선
2신기하(辛基夏)58,6731위
89.90%당선
3김범태(金範泰)1,7113위
2.62%낙선
4고병렬(高秉烈)6154위
0.94%낙선
선거인 수104,310투표율
63.35%
투표 수66,085
무효표 수822

2.1.4. 1997년 재보궐선거[편집]


동구
광주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영일(李榮一)무투표
당선
1위
당선

제15대 대통령 선거와 함께 동시에 치러진 선거로, 한나라당 측 후보가 사퇴해 민주정의당 출신 이영일 전 의원이 무투표 당선되었다.

2.1.5.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광주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봉훈(趙俸勳)8165위
1.49%낙선
2김경천(金敬天)30,5081위
55.75%당선
3구봉우(具鳳祐)3057위
0.55%낙선
4양회창(梁會昌)3,2233위
5.89%낙선
5이영일(李榮一)17,9702위
32.84%낙선
6조규범(曺圭範)1,5764위
2.88%낙선
7조방현(曺放玄)3208위
0.58%낙선
선거인 수93,191투표율
59.23%
투표 수55,198
무효표 수480

2.1.6.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광주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대웅(金大雄)23,0002위
42.40%낙선
3양형일(梁亨一)28,0761위
51.75%당선
4류계석(柳癸錫)5014위
0.92%낙선
5안상연(安相連)2,6673위
4.91%낙선
선거인 수90,504투표율
60.55%
투표 수54,799
무효표 수555

2.1.7.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광주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주선(朴柱宣)34,6251위
88.73%당선
2김태욱(金泰旭)2,9802위
7.63%낙선
3구봉우(具鳳祐)6214위
1.59%낙선
6김공수(金功洙)7943위
2.03%낙선
선거인 수89,403투표율
44.15%
투표 수39,468
무효표 수448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장 선거에서 3위로 낙선한 박주선은, 광주광역시로 지역구를 옮겨 2년 만에 재기에 성공했다.

2.1.8.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광주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3구봉우(具鳳祐)5188위
1.06%낙선
4김관희(金官姬)5,0394위
10.34%낙선
6양형일(梁亨一)14,9162위
30.61%낙선
7이병훈(李炳勳)9,1773위
18.83%낙선
8박현(朴顯)1,7175위
3.52%낙선
9박동수(朴東洙)6477위
1.32%낙선
10박주선(朴柱宣)15,3721위
31.55%당선
11김강열(金江烈)1,3296위
2.72%낙선
선거인 수89,255투표율
55.17%
투표 수49,239
무효표 수524

2.2. 동구·남구 을 (20대~현재)[편집]



2.2.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남구 을
남구 양림동, 사직동, 방림1동, 방림2동,
백운1동, 백운2동 + 동구 일원[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문충식(文忠植)2,1934위
2.37%낙선
2이병훈(李炳勳)31,1362위
39.44%낙선
3박주선(朴柱宣)43,1901위
54.70%당선
5황인용(黃仁勇)2,4253위
3.07%낙선
선거인 수127,632투표율
62.64%
투표 수79,946
무효표 수1,002

2.2.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남구 을
남구 양림동, 사직동, 방림1동, 방림2동,
백운1동, 백운2동 + 동구 일원[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병훈(李炳勳)61,5871위
72.29%당선
3박주선(朴柱宣)8,6133위
10.11%낙선
6최만원(崔挽源)1,7104위
2.01%낙선
7이향숙(李香淑)4965위
0.58%낙선
8김성환(金成宦)12,8042위
15.03%낙선
선거인 수128,725투표율
67.24%
투표 수86,557
무효표 수1,367

[광주광역시 동구·남구 을 동별 개표 결과 보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동구·남구 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이병훈박주선김성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2,465
(69.63%)
6,197
(10.16%)
10,752
(17.63%)
+ 31,713
(△52.00)
61,992
(68.69%)
충장동69.53%11.86%14.50%△55.0254.66%
동명동64.01%10.15%22.55%△41.4665.85%
계림1동73.12%10.40%14.55%△58.5756.83%
계림2동69.57%9.57%18.76%△50.8072.14%
산수1동71.39%9.52%16.88%△54.5259.98%
산수2동67.12%9.02%21.64%△45.4866.83%
지산1동66.71%9.82%20.79%△45.9262.61%
지산2동65.61%11.09%20.17%△45.4462.64%
서남동67.92%9.29%20.29%△47.6357.29%
학동67.42%12.93%17.82%△49.6066.79%
학·운동63.00%11.99%23.09%△39.9168.73%
지원1동68.17%10.07%19.34%△48.8367.31%
지원2동70.85%10.04%17.19%△53.6663.67%
후보이병훈박주선김성환격차
거소·선상투표62.18%18.48%13.86%△43.70
관외사전투표77.40%8.51%10.20%△67.20
재외투표86.20%1.72%10.34%△75.86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남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동구·남구 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이병훈박주선김성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9,122
(78.93%)
2,416
(9.97%)
2,052
(8.47%)
+ 31,713
(△52.00)
61,992
(68.69%)
양림동78.13%10.26%9.62%△67.8767.88%
방림1동77.15%9.89%10.25%△66.8966.45%
방림2동79.19%9.10%8.86%△70.0864.06%
사직동79.78%10.88%6.16%△68.9055.81%
백운1동80.00%9.20%8.11%△70.8065.68%
백운2동78.91%11.91%6.61%△67.0059.39%


[광주광역시 동구·남구 을 아파트별 개표 결과 보기]
광주광역시 동구·남구 을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
후보이병훈박주선김성환(1위/2위)
송촌파인힐81.09%8.04%8.46%△72.63
백운 휴먼시아 3단지79.45%9.42%8.33%△70.03
라인 효친 1차78.11%9.73%9.73%△68.38
모아 2단지 2차77.58%10.45%7.63%△67.13
백운 우방이아유쉘76.42%11.31%8.46%△65.11
계룡리슈빌70.56%15.48%11.49%△55.08
월남 호반베르디움 1차70.51%7.62%19.65%△50.86
금호타운 1차68.92%11.48%17.17%△51.75
푸른길 두산위브68.64%9.69%19.07%△49.57
학2마을68.17%10.10%19.46%△48.71
두암타운61.51%12.72%23.76%△37.75
학동 삼익세라믹아파트60.77%13.56%23.93%△36.84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병훈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과 김해경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특별위원이 예비 후보로 등록했다. 경선을 거쳐 이병훈 전 부시장이 승리해 2020년 2월 28일 공천이 확정되었다.

제1야당 미래통합당에서는 후보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 미래통합당 내에서 험지 광주광역시 출마를 하려는 후보를 구하기가 워낙 힘들다는 평.

한편 민생당에서는 현역 국회의원 박주선이 5선에 도전한다. 이에 당내에서 김성환동구청장이 예비 후보로 등록하며 경쟁을 할 예정이다. 그런데 2020년 3월 24일, 예상밖으로 민생당 공관위에서 박주선 전 의원을 아예 컷오프하고 김성환 전 동구청장을 전략 공천하겠다고 발표하자 박주선 전 의원 측에서 강력 반발했다. 공관위는 이에 하루만에 입장을 바꿔 박주선 전 의원을 전략 공천하기로 입장을 바꾸며 체면을 구겼다. # 그리고 다음날인 2020년 3월 25일, 김성환 전 동구청장은 민생당을 탈당하고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정의당에서는 최만원 전 지역위원장을 후보로 내보낼 예정이다.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병훈 후보가 72.29%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민생당 박주선 후보와 무소속 김성환 후보를 누르고 승리, 초선 뱃지를 다는데 성공했다. 민생당의 중진인 박주선 후보는 자신의 전략 공천에 반발해 무소속 출마를 강행한 김성환 후보에게도 득표율에서 뒤지는 엄청난 굴욕을 당하고 말았다. 지역 정당인 민생당의 난맥상이 호남 유권자들에게 얼마나 좋지 않은 이미지로 다가왔는지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례가 되었다.

2.2.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남구 을
남구 양림동, 사직동, 방림1동, 방림2동,
백운1동, 백운2동 + 동구 일원[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충장동에 금남로와 전일빌딩이, 서남동에 구) 도청 등의 5.18 문화재가 위치해있다.[동] A B C 학동, 충장동, 동명동, 서남동, 학운동, 계림1동, 계림2동, 산수1동, 산수2동, 지산1동, 지산2동, 지원1동, 지원2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