닉 클레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찰스 브랜던윌리엄 폴레트존 더들리헨리 몬태규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임스 레이에드워드 컨웨이앤서니 애슐리쿠퍼존 로배테스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로런스 하이드조지 새빌로버트 스펜서리처드 그레이엄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토머스 오스번토머스 허버트찰스 시모어토머스 허버트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존 소머즈로런스 하이드존 셰필드대니얼 핀치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윌리엄 캐번디시찰스 스펜서에블린 피어폰트찰스 타운젠드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헨리 보일윌리엄 캐번디시토머스 트레버스펜서 컴프턴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윌리엄 스탠호프리오넬 새크빌존 카터레트존 러셀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대니얼 핀치로버트 헨리그렌빌 레베슨고어헨리 배스러스트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찰스 프래트데이비드 머리그렌빌 레베슨고어찰스 프래트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윌리엄 웬트워스피츠윌리엄데이비드 머리존 피트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헨리 애딩턴존 프래트윌리엄 웬트워스피츠윌리엄헨리 애딩턴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존 프래트헨리 애딩턴더들리 라이더윌리엄 캐번디시스콧벤팅크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헨리 배스러스트헨리 페티피츠모리스제임스 세인트클레어어스킨헨리 페티피츠모리스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제임스 스튜어트워틀리월터 몬태규헨리 페티피츠모리스윌리엄 로우더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그렌빌 레베슨고어존 러셀그렌빌 레베슨고어제임스 개스코인세실
제65대제66대제67대제68대
그렌빌 레베슨고어리처드 템플뉴전트브리지스챈더스그렌빌존 스펜서처칠조지 로빈슨
제69대제70대제71대제72대
헨리 브루스찰스 고든레녹스존 스펜서치체스터 파킨슨포테스큐
제73대제74대제75대제76대
개손 개손하디존 스펜서개손 개손하디존 우드하우스
제77대제78대제79대제80대
아치볼드 프림로즈스펜서 캐번디시찰스 밴템페스트스튜어트로버트 크레어밀른스
제81대제82대제83대제84대
에드워드 머저리뱅크스헨리 파울러윌리엄 라이건존 멀리
제85대제86대제87대제88대
윌리엄 라이건로버트 크레어밀른스조지 커즌아서 밸푸어
제89대제90대제91대제92대
제임스 개스코인세실찰스 크립스조지 커즌아서 밸푸어
제93대제94대제95대제96대
찰스 크립스스탠리 볼드윈램지 맥도널드에드워드 우드
제97대제98대제99대제100대
더글러스 호그월터 런시먼제임스 스탠호프네빌 체임벌린
제101대제102대제103대제104대
존 앤더슨클레멘트 애틀리프레더릭 머퀴스허버트 모리슨
제105대제106대제107대제108대
크리스토퍼 애디슨프레더릭 머퀴스로버트 개스코인세실알렉 더글러스흄
제109대제110대제111대제112대
퀸틴 호그알렉 더글러스흄퀸틴 호그허버트 보우덴
제113대제114대제115대제116대
리처드 크로스먼프레드 퍼트윌리엄 화이트로로버트 카
제117대제118대제119대제120대
짐 프리어에드워드 쇼트마이클 푸트크리스토퍼 솜스
제121대제122대제123대제124대
프랜시스 핌존 비펜윌리엄 화이트로존 웨이크엄
제125대제126대제127대제128대
제프리 하우존 맥그레거토니 뉴턴앤 테일러
제129대제130대제131대제132대
마거릿 베케트로빈 쿡존 레이드가레스 윌리엄스
제133대제134대제135대제136대
발레리 애머스캐서린 애쉬턴자네트 로얠피터 맨델슨
제137대제138대제139대제140대
닉 클레그크리스 그레일링데이비드 리딩턴안드레아 리드섬
제141대제142대제143대제144대
멜 스트라이드제이콥 리스모그마크 스펜서페니 모돈트







영국 부총리 겸 추밀원 의장
닉 클레그 경
Rt Hon. Sir Nick Clegg
파일:닉 클래그.jpg
본명니콜라스 윌리엄 피터 클레그 경
Sir Nicholas William Peter Clegg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출생1967년 1월 7일 (57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버킹엄셔 챌폰트 세인트 자일스
재임기간영국 부총리 겸 추밀원 의장
2010년 5월 11일 ~ 2015년 5월 8일
학력웨스트민스터 스쿨
케임브리지 대학교 (고고학, 인류학 / 학사)
미네소타 대학교 (정치학 / 석사)
유럽 칼리지 (석사)
종교무종교(불가지론)[1]
의원 선수3
의원 대수54, 55, 56
지역구셰필드 핼럼
정당

배우자미리암 곤살레스 두란테스 (결혼: 2000년)
자녀3명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1. 개요[편집]


닉 클레그는 영국자유주의 정치인이다. 에마뉘엘 마크롱과 함께 극중주의의 대표적 인물 중 하나이며 강한 친유럽주의자이다.


2. 생애[편집]


2005년 총선 때 셰필드 핼럼 지역구에서 승리하여 2017년 낙선할 때까지 12년간 하원의원이었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는 유럽의회의원이었다. 초선 의원이었던 2007년 당 대표로 당선되고 이후 2010년 5월 11일부터 2015년 5월 8일까지 보수당과 연정을 통해 보수진영 내 온건파이자 자유보수주의자였던 데이비드 캐머런 내각 하에서 영국의 부총리겸 추밀원 의장을 지냈다.

좌파는 정부의 통제에 대한 집착. 우파는 시장에 대한 숭배. 그러나 자유주의자로서, 우리는 사람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각자의 손에 힘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경쟁자들은 우리를 낡은 좌우의 이름으로 나누려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왼쪽에 있지도 않고, 오른쪽에 있지도 않습니다. 자유주의자라는 우리의 이름이 있습니다. 우리는 자유주의자이며, 영국의 정치에서 중도의 길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정치는 급진적 중도에 기반한 정치입니다!

2011년 당원들을 상대로 한 연설에서.[2]

. New Statesman.]


위와 같이 중도적 성향을 이용해 제55회 영국 총선 유세 기간 동안 33%의 지지율로 1위를 찍은 적도 있지만 투표함을 까보니 오히려 의석이 5석 줄은 57석에 머물렀다. 총선 직후 고든 브라운과 연립 정부를 구성한다는 말도 있었지만 결국은 데이비드 캐머런과 연립 정부를 구성해 5년 동안 유지했다. 그러나 제56회 영국 총선에서 스코틀랜드 국민당과 보수당의 약진으로 스코틀랜드, 콘월, 그리고 런던에서 의석을 대거 잃으며 8석으로 쪼그라들었다. 그 여파로 현재까지 중진 의원들이 거의 없으며 알리스터 카마이클 전 스코틀랜드 장관, 에드 데이비 전 에너지 장관, 팀 패런 전 대표 등만 겨우 살아남았다. 데이비 전 장관의 경우도 2015년 대패 때 의석을 잃었다가 제57회 영국 총선 때 의석을 탈환했다.

제57회 영국 총선에서는 본인의 셰필드 핼럼 의석을 잃었다. 이후 2018년에 기사 작위를 받고 이후 페이스북에서 로비스트 겸 홍보관으로 채용됐다. 직함은 Vice-President, Global Affairs and Communications다. 이후 정책총괄 사장으로 승진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당락비고
19991999년 유럽의회 총선거이스트 미들랜즈

92,398 (12.7%)당선 (1번)
2005제54회 영국 총선셰필드 핼럼20,710 (51.23%)당선 (1위)초선
2010제55회 영국 총선27,324 (53.44%)재선
2015제56회 영국 총선22,215 (40.04%)3선
2017제57회 영국 총선19,756 (34.65%)낙선 (2위)
[1] #[2] Clegg, Nick (13 March 2011). [https://www.ukpol.co.uk/nick-clegg-2011-speech-to-liberal-democrat-spring-conference/|Nick Clegg - 2011 Speech to Liberal Democrat Spring Conference]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18:56:00에 나무위키 닉 클레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