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산구 을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광산구 을.svg
선거인 수182,793명 (2020)
상위 행정구역광주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산구 일부
첨단1동, 첨단2동, 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수완동[1], 하남동, 임곡동
[1] 이상 舊 광산군 비아면.
신설년도2008년
이전 선거구광산구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형배



1. 개요[편집]


본래 단일 선거구였던 광산구는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분구되어 갑/을 선거구로 나뉘게 되었다. 지리적으로 광산구 갑에 둘러싸인 광산구 북동부 지역으로, 광산구의 신시가지에 해당하며 과거 전남 광산군 비아면(운남동 제외), 하남면(월곡동 제외), 임곡면 지역에 해당한다.

광주광역시 내에서도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구역이라서(첨단지구, 수완지구) 유권자 연령대가 광주광역시에서도 가장 낮은 곳인만큼[1] 광주광역시 광산구 내에서도 손꼽히는 더불어민주당 강세 지역이었다.[2] 그러나 정치 지형이 바뀐 현재는 노인층이 많아 보수 표가 상대적으로 더 나오던 광산구 갑보다 광산구 을이 보수 지지가 더 나오는 쪽으로 변하였다.[3][4]

농경 외곽 지역이 다수 포함된 광산구 갑과는 여러모로 대조적이라 볼 수 있다. 송정권과의 미묘한 관계도 그렇고 동네 분위기 자체가 상당히 다르다. 다만, 임곡동의 경우 농촌동에 해당하여 위 서술에 해당사항이 없다. 하남동 생활권이기는 하나, 광산구 갑과 더 유사한 점이 많다.

이용섭광주시장의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이며, 현재 국회의원은 민선 5·6기 광산구청장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당선인당적임기
18대이용섭
ta-hash-start=w-6a303086ab98cf4e367fb8178900d535[[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ta-hash-start=w-7d3b76212a8ebdd03d45fc49a95a9868[[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4년 5월 15일[5]
권은희
ta-hash-start=w-866f347aa27cc53d99287c788ca46c79[[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31일 ~ 2016년 5월 29일
20대
ta-hash-start=w-7898802cd6fcfd431385162218e7533b[[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민형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현재
22대

2.1.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광산구 을
비아동, 첨단1동, 첨단2동, 신가동, 하남동, 임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용섭(李庸燮)26,5401위

ta-hash-start=w-f282615824815d9e7482a33dd5ceebfc[[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73.16%당선
2강경수(姜炅秀)2,6083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19%낙선
4장연주(張蓮珠)6,4822위

ta-hash-start=w-fe131d7f5a6b38b23cc967316c13dae2[[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17.87%낙선
6김경옥(金經玉)6484위

ta-hash-start=w-654dd74cfe6a0767d67ad0ef76f8eeea[[파일: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1.79%낙선
선거인 수88,999투표율
41.06%
투표 수36,544
무효표 수266

2.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광산구 을
비아동, 첨단1동, 첨단2동, 신가동, 신창동,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용섭(李庸燮)53,1541위

ta-hash-start=w-fb306d161c5d5ff68fb2512de815a8f9[[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74.67%당선
4황차은(黃次銀)18,0222위

ta-hash-start=w-e4bdb2a2986c8f4b14fe24bfd17922cd[[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25.32%낙선
선거인 수140,667투표율
51.18%
투표 수71,998
무효표 수822

2.3.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광산구 을
첨단1동, 첨단2동, 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송환기(宋煥基)2,4843위

ta-hash-start=w-5331e0dba8e45c378b42fe29ea41ceff[[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6.98%낙선
2권은희(權垠希)21,5451위

ta-hash-start=w-6fe67d201dbdacef258b62e272ef9ee5[[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60.61%당선
3장원섭(張元燮)9,3752위

ta-hash-start=w-4ab4e72cf6ff12f804df153cd2563372[[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26.37%낙선
4문정은(文晶垠)1,3434위

ta-hash-start=w-f8d4a265256e7b9fc67f8e4632a09d10[[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3.77%낙선
5양청석(梁淸錫)7995위

무소속

2.24%낙선
선거인 수159,974투표율
22.31%
투표 수35,683
무효표 수137

이용섭 전 의원이 광주광역시장 출마로 사퇴하면서 치러진 선거.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최측근인 기동민이 지역에 출마하려 하였으나 동작구 을에 전략 공천되면서 무산되었다. 이후 성북구로 지역구를 옮기면서 국회의원이 되었다.

2.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광산구 을
첨단1동, 첨단2동, 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정우(沈廷祐)1,9404위

ta-hash-start=w-d97bed96d5646177251e99b9567b139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1.91%낙선
2이용섭(李庸燮)43,7492위
43.25%낙선
3권은희(權垠希)50,7241위
50.14%당선
4문정은(文晶垠)2,3803위
2.35%낙선
5최경미(崔景美)1,6545위
1.63%낙선
6한남숙(韓南淑)7036위
0.69%낙선
선거인 수165,038투표율
61.66%
투표 수101,768
무효표 수618

이용섭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주광역시장에 당선되었다.

2.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광산구 을
첨단1동, 첨단2동, 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민형배(閔馨培)96,8081위
84.05%당선
3노승일(盧承一)8,6062위
7.47%낙선
6김용재(金容載)7,1103위
6.17%낙선
7김홍섭(金弘燮)1,2415위
1.07%낙선
8이병훈(李昞勳)1,4074위
1.22%낙선
선거인 수182,793투표율
64.08%
투표 수117,137
무효표 수1,965

[광주광역시 광산구 을 동별 개표 결과 보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78ff5ad3e86e20985bc2792f0b440469[[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민형배노승일김용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6,808
(84.05%)
8,606
(7.47%)
7,110
(6.17%)
+ 88,202
(△76.58)
117,137
(64.08%)
비아동85.40%7.17%5.25%△78.2359.16%
첨단1동82.50%8.14%6.72%△74.3666.18%
첨단2동83.72%8.02%5.98%△75.7059.22%
신가동85.84%6.35%5.57%△79.4960.47%
신창동85.27%7.02%5.55%△78.2560.99%
수완동83.90%7.10%6.79%△76.8060.31%
하남동84.36%8.21%5.37%△76.1560.17%
임곡동75.75%15.65%5.89%△60.1062.96%
후보민형배노승일김용재격차
거소·선상투표 82.90%5.81%6.90%△76.00
관외사전투표83.90%7.06%6.45%△76.84
재외투표91.93%1.61%1.61%△87.10[1]
[1] 재외투표 2위는 노동당 이병훈 후보(3표, 4.83%)였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민형배광산구청장 및 전 청와대 행정관 박시종 예비 후보가 경선을 통해, 박시종 후보가 공천을 받았으나 권리당원 명부가 불법으로 활용되었다며 민형배 후보 측이 제기한 재심 요청이 인용되었다.[6] 이에 따라 재경선을 치르기로 결정했다. # 재경선은 문제가 된 권리당원 부분을 배제하고 일반 유권자 대상 여론조사 100%로 진행하기로 했다. 2020년 3월 19일 ~ 2020년 3월 20일 이틀간 실시된 경선 결과 민형배 전 광산구청장이 공천을 받았다.

국민의당 소속의 유일한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권은희 의원은 국민의당이 지역구 후보 미공천을 결정함에 따라 해당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했다.[7]

한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폭로한 인물 중 한 명인 노승일 전 K스포츠재단 부장도 이 지역구에 출마를 선언했는데 2020년 3월 11일에 민생당에 입당하여 이 지역구에 민생당 후보로 나서게 됐다.

정의당에서는 김용재 전 정의당 전국 위원이 출마했다.

여담으로 예비 후보들 중에서 윤창호법 시행 이후 음주운전이 적발된 후보가 2명(박시종, 노승일)이나 있는 상태이다.

결과는 무려 84.05%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후보가 민생당 노승일 후보를 제치고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참고로 84.05%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 최고 득표율이다.[8]

2.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광산구 을
첨단1동, 첨단2동, 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더불어민주당 당내 경선이 가장 치열할 것으로 예측되는 선거구 중에 하나이다. 지역구 현역 의원인 민형배 의원이 복당하면서 출마가 기정 사실화 되었고, 지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주광역시장에 도전했으나 낙선한 이용섭 전 의원 역시 자신의 지역구였던 이곳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

국민의힘은 이 지역구에서 당선된 경험이 있는 권은희 의원이 출마할 가능성도 있으나, 최근 당 지도부와 마찰을 빚고 있고, 당협위원장도 맡지 않아 가능성은 적은편이다.


[1] 실제로 광산구는 전국 기초자치단체중에서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곳이다. 그 광산구에서도 신도심에 해당하는 곳이니...[2] 한마디로 이곳은 보수 정당의 가장 험지인 호남에서, 그 중심으로써 더불어민주당 세가 가장 강한 광주광역시의 지역구이고, 그 중에서도 젊은 층 비율이 압도적인 신도심이 포함된 지역구라는 소리다.[3] 바로 위에 설명된 첨단1동, 수완동은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이 광산구 득표율 1위, 2위를 한 곳이다.[4] 물론 2%가 안 되는 극히 미미한 차이다.[5] 지방선거 출마로 인한 사퇴.[6] 박시종 예비 후보와 단일화한 김성진 예비 후보가 권리당원 불법조회가 적발되어 사퇴했는데 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7] 대신 비례대표로 출마했고, 당선되었다.[8] 반대로 최저 득표율로 당선된 후보자는 울산광역시 동구에서 38.36%의 득표율로 당선된 권명호 후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