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버스(서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공항버스(버스회사) 문서
공항버스(버스회사)번 문단을
공항버스(버스회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편집]


서울의 공항버스에 관한 문서. 서울 각지에서 김포공항과 인천공항을 빠르게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면허상으로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이지만[1] 한정면허 버스이고, 일반 시내버스와 다른 체계로 분류된다. 공항리무진 운송약관

개편 전에는 일반 시내버스와 번호체계마저 공유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600번대 문서를 참조. 물론 이때도 요금, 도색은 일반 시내버스와 달랐다.

2008년 7월 1일에 번호체계가 바뀌었다. 관련 링크

2020년 3월부터 코로나19 판데믹사태로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 모든 노선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2022년부터는 차츰 노선 운행이 재개되고 있다.


2. 노선[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공항버스
공항광역간선지선순환심야마을
60026003[b]60096100
6101610563006705
공항리무진
6000[a]600160026003
600460056008[b]6010
6011601260136014[b]
6015601660176018
60196021[a]6030
한국도심공항
61006101[a]6101-1[a]6102
61036105[a]
K-리무진
6701670267036705
6707A[b]
서울공항리무진
6006600960206020-1
620063006600
[a] 김포공항이 기점인 노선 / [b] 김포공항 경유 노선



6권역 출발 지선버스와 노선번호 체계를 공유하지만, 2008년에 노선번호를 4자리로 바꾸고 난 뒤로 겹친 적이 없다.[2]그 전에는 서울 버스 600번공항버스 600번이 공존하는 등 겹친 적이 많았다. 다만 김포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6권역에 있긴 하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을 경유하는 모든 노선은 서울시내 ↔ 인천국제공항 T1 ↔ 인천국제공항 T2 순서로 운행한다.


2.1. 공항리무진[편집]




2.2. 한국도심공항[편집]




2.3. K-리무진[편집]


  • 6701 - 시청역, 한진그룹 본사 ↔ 인천공항
  • 6702 - 약수역 ↔ 인천공항
  • 6703 - 삼성역 코엑스 ↔ 인천공항
  • 6705A - 광장동 워커힐 ↔ 인천공항
  • 6705B - 장지역 ↔ 인천공항
  • 6707A - 김포공항 ↔ 인천공항
  • 심야버스 - 대한항공 심야 도착 항공기 시간에 맞춰 운행한다. 매일 2터미널에서 23:50경(심야도착 지원편), 01:30 경에 출발하며, 심야도착 지원편의 경우 2터미널 도착 20분 전에 1터미널에서부터 추가정차한다. 가격 변동은 없으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 N6701(강북방면): 인천공항(1T,2T) - 마포(서울가든) - 시청(KAL빌딩) - 서울역
    • N6703(강남방면): 인천공항(1T,2T) - 팔래스호텔(반포) - 코엑스(삼성역) - 잠실(롯데월드)


2.4. 서울공항리무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3:36:49에 나무위키 공항버스(서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리무진운송약관을 보면 시내버스 한정면허 운송사업자라고 명시되어 있다. 고양과 인천공항을 잇는 3200번, 3300번과 같은 맥락이다. 특별시, 광역시에서는 시외버스 인가를 내줄 수 없기 때문.[2] 6권역 ↔ 0권역 지선버스도 없거니와 6권역 ↔ 1권역 지선버스도 없다.[3] 공항버스 6001번에서 계통분리[4] 서울역발 인천공항제2터미널행 버스만 제1터미널을 중간정차하며 그 이외에는 모두 통과한다. 즉, 제1터미널은 하차만 가능하다.[5] 재개하면서 고덕동-위례신도시 단축